커뮤니티 자동차·바이크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BMW의 연비운전

내이름은우키

12.06.26 11:10:50추천 7조회 9,127

 134067664521130.jpg

 

 

BMW 동호회에서 재밌는 글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1. 서비스 주기를 잘 지켜라. 특히 타이어 공기압은 연비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2. 트렁크를 자주 관리하라. 100kg 당 연비는
3%가 즉각 떨어진다.

3. 워밍업을 하지 말고 바로 출발하라. 최신 차종은 워밍업이 불필요하다.

4. 교통신호와 흐름을 멀리 내다보고 균형있게 운전하라.

5. 온보드 컴퓨터를 통해 순간연비와 변속시점을 주의깊게 살펴보라.

6. 가속패달에서 일찍 발을 떼어라. 브레이크를 밟는 대신 퓨얼컷을 이용해 감속하라.

7. 신호대기나 교통정체 시 시동을 꺼라. 스탑앤고 기능을 활용하라.

8. 높은 기어를 넣고 강하게 가속하라. 가속할 때 평소보다 더 높은 기어를 넣고 가속패달은 2/3만 밟아라.

9. 50km/h -> 100km/h로 가속할 때 3단보다 5단을 이용하면 연비가 10% 향상된다.

10. 감속주행거리가 1km 이상이면 중립으로 관성주행을, 1km 미만이면 퓨얼컷을 이용하라.

 

이를 바탕으로 기자가 330i로 뮌헨 외각지역 (한국으로 치면 수도권 외곽 국도 정도) 에서 신호등 지키며 운전을 했는데 공인연비 9.2km/l 짜리 차로 35km 주행 후 13.8km/l가 나왔다고 합니다.

 

저도 지켜보려 하지만 쉽지는 않네요...ㅋ

520d 출고한지 이제 세 달 되었는데, 바로 이전에 슴5 탈 때와 상당히 다른 드라이빙 습관이 필요하다는 점을 느낍니다.

예를 들어 엔진브레이크가 강하게 걸려서 퓨얼컷을 잘 활용할 수 있고 해야 합니다. 브레이크 사용이 확실히 많이 줄어듭니다.

빠른 가속 -> 관성주행 -> 퓨얼컷 -> 엔진브레이크 로 드라이빙을 했는데 서울->원주 연비가 21km 나오더군요...ㅋ

고유가 시대에 연비운전도 펀드라이빙의 하나입니다~^^

 

** bmw 드라이빙스쿨에서 밝히는 연비법칙이기 때문에 다른 차종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특히 중립과 푸얼컷에 관련한 10번 항목의 경우가 그렇군요...비머는 엔진브레이크가 강하게 걸리기 때문에 1km 이후에 퓨얼컷을 이용하면 다시 가속을 해야 한다고 하네요...이건 차종의 문제이기에, 본인의 차와 엔진브레이크의 강도 등을 고려하셔야 겠죠..

 

응샤 12.06.26 11:18:01

나중에 성공해서 320D를 타보리다. 그치만 이미 소나타인걸...

고아라남친 12.06.26 11:45:09

ㅋㅋ 소나타도 에코모드 있잖아요..... 근데 그거 끄고 달리는게 오히려 연비 더 잘나오는듯 ㅡㅡ;

응샤 12.06.26 11:49:15

현기뻥연비라서...ㅋㅋ에코켜면 엑셀만 무거울뿐ㅠ

스피릿고어 12.06.26 23:54:44

뻥연비 진짜 에코 모드 달리면서 15 찍었느대 실제 거리랑 비교해보니 11.7 역시 뻑이군.

superk 12.06.26 11:28:27

BMW굴리는 사람이 연비생각하면서 탈까..? 자기버는것보다 과분한 차를 산사람이 연비 생각하지.. 보통 비싼차 타는 사람은 연비 그닥 생각안함 왜냐? 내가 이만큼 버는데 이정도야 하는 생각이 대부분

내이름은우키 12.06.26 11:38:44

그런가요? ㅋ 연비운전 하나 안하나 사실 기름값은 얼마 차이 안납니다...다만 숫자놀이 + 환경보호운동놀이죠..ㅋ 오히려 연비운전은 고학력, 고소득층에서 많이 한다는 통계도 있습니다....물론 재벌이 아니라서 아벤타도르를 타면서 연비 신경 안쓰는 정도까지는 아니지만요;;

시아z 12.06.26 13:38:17

글쎄요~ 그런 생각이라면 차라리 디젤 버전이 아닌 가솔린버전으로 구입하지 않을까요? 528i같은..

까를로쑤 12.06.26 14:03:45

저도 04년 식 스포티지, 320d 몰고 있는데, 두대 다 연비 신경쓰고, 320은 거의 ECO 모드로 놓고 다닙니다.
그렇다고 연봉에 비해 터무니 없이 비싼차를 몰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본인이 조금만 신경쓰면, 기름값을 아낄 수 있는데 차가 BMW 냐 경차냐 하는것은 크게 상관없지 않을까요?
전 부자는 아니지만, 주변에 보면, 돈 많은 사람들도 자기 돈 아까워 하는 건 건 똑같더군요.
superk 님은 연비 크게 신경 안쓰고 BMW 타시는지 몰라도..... 저처럼 안 그런 사람들도 있답니다.

신귀두 12.06.26 17:09:51

연비 신경 겁나게 쓰고 다니는데요?? 뭐 솔직히 m시리즈나 z4같은 스포츠카 타는 사람들은 님이 말한 사항에 해당될 수도 있겠죠. 그런 선입견을 갖고 계신걸 보니 참 안타깝네요ㅎㅎ

hyruan 12.06.27 16:03:09

부자가 괜히 부자 되나요? 쓸 땐 쓰고 아낄건 아끼고..나도 A7 디젤인데 내일 A8 로 바꾸면서 디젤로 다시 삽니다....성능 차이 없으면 당연 연비도 고려 대상이죠..더군다나 독일차는 가솔린이나 디젤이나 진동과 소음에 우리나라 차 처럼 큰 차이 없어요..

김쎈스 12.06.27 20:30:49

잘못 생각하시네요.. 비엠이 무슨 수억짜리 차도 아니고 소득 월 몇백만 되도 충분히 모는 찬데 연비를 왜 생각 안합니까? 저랑 지인들도 다 수입찬데 맨날 연비얘기만 합니다... 520d가 왜그리 많이 팔리겠나요?

카오우 12.06.26 11:40:12

관성주행이라는게 중립으로 놓고 가만히 굴린다는 건가요..? 혹시나 브레이크가 안걸린다거나 아니면 미션에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나요.?

내이름은우키 12.06.26 11:52:53

중립으로 굴리는 개념인데, 사실 한국에선 그닥 쓸 곳도 쓸 일도 없는게 현실이죠..

_냐암_ 12.06.26 13:44:26

관성 주행은 가속이 된 상태에서 내리막길에서 중립에 놓고 내려가면 됩니다.
D에 놓고 엑셀을 안밟으면 퓨엘컷과 엔진브레이크가 걸리는데 중립에 놓으면
엔진브레이크가 걸리지 않고 소량의 연료가 소모됩니다.

마인드소울 12.06.27 01:23:59

내리막길은 1단 넣고 가시는게 좋습니다 N에 놓고 가면 기름 먹는데 기어 넣고 가면 위에 말한것 처럼 퓨엘컷 됩니다.

_냐암_ 12.06.28 17:02:48

마인드소울// 제타의 경우 기어 넣으면 엔진 브레이크 심하게 걸립니다. 다른 차도 비슷하지 않나요?

예전에 아반떼 HD 탈 때도 무주 리조트 다녀오면서 내리막길에서 2 ~ 3단으로 엔진브레이크 걸면서 내려온
기억이 분명히 나는데....-_-a

마인드소울 12.06.29 00:03:02

물론 차종에 따라서, 경사에 따라서 변속은 하셔야죠 ㅎ

바다 12.06.26 12:48:23

ㅊㅊㅊㅊㅊ

최영장군 12.06.26 13:24:13

큐브가 공인연비 14km 입니다 ,??일반적으로 12km 나오는듯 싶어요..

저도 게시물에 있는 방법으로 연비운전을 하는데..??대략 15~18km 나옵니다..
작정하고 고속도로에서 타봤는데..??저와 친구 그렇게 둘다 100kg 넘습니다...
연비 19km 나온적 있죠..??청주시에서 서초법원까지...????
연비 운전만 잘하면..??기름값 아낄수 있죠..??그렇다고 남들에게 피해가는
짓은 하면 안됩니다.??연비 운전한다고 고속도로에서 60km 달리는 분은 없겠죠..

연비 운전에 핵심은 관성법칙을 얼마나 잘이해하냐에 달렸있음.

시아z 12.06.26 13:40:40

전 요즘 그냥 급가속 급제동만 최대한 안하고 타고 있습니다~

요정도만 해줘도 연비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니까요~

그냥 가끔씩 도로위에 차들 없을때 스트레스 풀기위해 풀악셀한번씩 쳐주는게 다네요.

_냐암_ 12.06.26 13:45:37

연비 운전의 최고봉은 80km/h로 달리는 화물차 뒤에 붙어가기 입니다. -_-;;;

흔들리는남심 12.06.26 19:03:20

휘청대는 적재물이 무서워서....

_냐암_ 12.06.28 17:03:22

택배 차량 같이 밀폐된 차량 ^^;;

딸기맛삼겹살 12.06.26 14:20:12

저는 그냥 차없는시간에 운전.. 막히면 ㅈㅈ쳐야죠

멀라요 12.06.26 14:26:24

급가속 급제동 만 안하면 뭐...그리고 과속도 ㅋㅋ 120부터는 어느차든 연비하락되는건 마찬가지더군요
80~120사이가 연비 가장잘나오는 구간 (기어가 높으니..흫헣)

흔들리는남심 12.06.26 16:24:03

50~100km 구간까지 5단 주행이라 ㅎㄷㄷ
국내 차로했다간 빌빌빌빌 대긋네ㅠㅠ

응샤 12.06.26 16:27:42

아반테 엠디 아무리 잘타도 시내서 10키로 타기힘든뎅..고속이면 공인은 될듯...

azarea 12.06.26 22:19:43

택시 기사 아저씨랑 얘기했는데 연비는 다 필요없고 그냥 빨리가서 빨리 시동꺼버려야된데요 ㅋㅋ

LuxuryD 12.06.26 22:25:18

근데 50km에서 5단이면 rpm이 좀 많이 낮을텐데

어디서 주워들은 지식으로는 수동차경우 너무 낮은 rpm으로 주행해도 연비감소가 된다는데...

개소린가요??? 그냥 무조건 낮은 rpm일수록 좋은겁니까??

Zordic 12.06.26 22:49:17

3. 워밍업을 하지 말고 바로 출발하라. 최신 차종은 워밍업이 불필요하다.

이건 도대체 무슨 근거로 나온 글인가요..
가솔린 차량은 고사하고, 디젤 차량은 예열 후열이 필수인걸 모르시나보네요.

내이름은우키 12.06.26 23:44:11

BMW 드라이브트레이닝센터에서 나온 말입니다.....독일 뮌헨에 있구요.....트레이너가 그런 점은 모르나 보네요

내이름은우키 12.06.26 23:55:22

아..참고로 비머는 메뉴얼에서 예열과 후열이 필요없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0.5초만에 1300도까지 올라가는 예열플러그와 히터가 있어서 시동과 동시에 풀악셀을 밟지 않는 이상 주차선을 벗어나면서 예열이 완료된다고 합니다. 후열이 필수라는 말은 스탑엔고 기능이 차를 망가트리는 기능이라고밖에 설명할 수 없겠네요...

Zordic 12.06.27 00:27:35

음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제가 몰랐던 부분이었던걸 잘 설명해주셨군요!
솔직히 아직도 제 생각엔, 엔진의 예열과 후열의 필요성은 기술의 발전에 상관 없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지만..
독일의 기술이라면 가능하겠지.. 라는 생각도 견주어 봅니다.

나름의 자동차 공부?! 를 소홀히 해서 그런건지 아니면 제가 정보력이 떨어진건지는 모르겠지만,
써주신 댓글의 내용이 전부 사실이라면 정말 대단한거 같네요.

읽어본 기간은 좀 오래 되었긴 했지만.. 6기통 엔진의 정점에 서 있는 포르쉐에서 조차 엔진의 예열은 반드시 해주는게 좋다는 기사를 봤던게 기억 납니다.

모쪼록, 잘 배웠습니다^^ 추천 드릴게요!

Zordic 12.06.27 00:34:51

아 그리고, 내이름은우키 님!
제가 저 위에 써 놓은 댓글은 우키님께 말씀 드린게 아닙니다.
특정 인물에게 지칭한 글이 아니니 혹시라도 기분 상하신 점 있었다면 부디 마음 푸시기 바랍니다.

내이름은우키 12.06.27 10:06:29

저도 밤중에 약간 욱하는 마음에 리플을 달았던 것 같은데, 역시 아무리 짧은 글귀라도 사람의 마음이 그대로 보이는 듯 해서 부끄럽습니다.
차종별로 예열 후열에 있어서 다른 점이 있는 듯 합니다. 어쨌든 기술이 발전하면서 예열 후열에 따르는 환경오염과 연료낭비도 줄어드는 것 같아 다행입니다. 요즘 나온 디젤현기차는 예-후열에 있어 어떤 메뉴얼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_냐암_ 12.06.28 17:08:55

요즘 디젤이 다 그런지 모르겠지만 후열은 딱히 필요 없는거 같더라구요.
시동 꺼도 엔진 팬이 계속 돌면서 열을 식혀줍니다.
삭제 된 댓글입니다.

_냐암_ 12.06.28 17:11:29

독일차 중 가장 저렴한 폭스바겐만 해도 자동 미션이 수동 미션과 같아서 주행 중
기어 조작에 무리가 없습니다. 폭스바겐에서 권장하는 주행 방법도 위에 적힌 방법과 비슷하구요.

김쎈스 12.06.27 20:28:22

전 g37, 와이프는 sm5 몰다가 제 차를 2012년형 520d로 바꿨는데, 그동안 하도 연비가 안좋아서 이제 연비에서 해방되나 했더니 이번엔 연비가 너무 좋아서 얼마나 더 좋나 볼려고 더 신경쓰게 되더군요. ㅎㅎ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