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동차·바이크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차대보강 장단점

마시께

13.09.26 13:11:53추천 2조회 7,738

후배가 hd에 프론트 휀더보강킷이랑 강화 스테빌라이저 한걸 타봤는데

체감은 확 오더라구요. 빠르고 위협적으로 다니지는 않더라도 안정성에는

도움이 될 거같은데 k5도 좀 필요할거같아서요...

차대보강 장단점은 뭐가 있나요? 오히려 더 위험해질 수도 있을거같아요.

138016867371679.jpg

사진은 차대보강키틉니다.

최회장님 13.09.26 13:34:29

장점 : 안정된 코너링. 개선된 주행성능.
단점 : 승차감 하락. 체결부위 피로파괴. 충격의 분산으로 사고부위외 파손위험.

보복공격 13.09.26 13:40:51

헉 이렇게 간단하게 쓰실수 있다니 ㅠㅠ 제가 쓴댓글 요약하면 님 말씀인데 ㅠㅠ

보복공격 13.09.26 13:39:53

보강킷이 장비되있다 하더라도 섀시 비들림에 의한 휨 모멘트를 어느정도 막아주는것은 가능합니다만 모노코크바디의 단점을 완화해 줄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모노코크 바디의 피로도를 어느정도 상쇄시킴으로 인한 기대수명 연장은 가능하지요 단 충돌이나 충격시 보강킷이 모노코크바디 자체의 강성보다 월등할경우 강한 보깅킷으로 충격이 가는것이 아니라 그 보강킷이 모노코크 바디를 찢을수도 있다는거에 유의 하시길 바랍니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강철소재 박스와 플라스틱소재 박스를 충돌 시켰을시 나오는 현상이랑 비슷한 현상이 보강킷과 섀시에 올 가능성도 크다는걸 명심하시길

마시께 13.09.26 13:58:11

상세한 덧글 고맙습니다. 이렇게 풀어써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하긴 순정자체가 고루 받아주어야 할 부분을 보강킷이 대신할 수는 없는거겠지요..
그냥 순정으로 곱게 삭히면서 타는게 제일인가 봅니다.? ㅎㅎ

어딜보는거 13.09.26 14:23:14

고른 노면에서는 코너링시 단단한 느낌이 강해지는 반면, 고르지 않은
노면에서는 작은 요철만 만나도 신경질적으로 튀는 느낌이 강해지더군요.
고로 섣부른 차대보강보다는 k5 순정상태가 가장 좋다는 느낌입니다.

NA풀 13.09.26 15:44:59

세상엔 일어날수 없는 일들이 일어나곤 합니다
차체보강킷만으로도 노면이 다르게 느껴지곤합니다
그리고 느낌이란건 지극히 개인적이기 때문에 절대란건 있을수 없습니다

티몬 13.09.26 16:33:17

잘못알고계시네요 보강킷으로 어딜보는거님말처럼돼요 단점이라면차체나 모든부분이 수명이 줄어드는느낌?

아라빠따따따 13.09.27 16:45:41

청록조님 여기도 계시네 처음 본데가 밀리터리 였는데 엄청 해박해서 아이디가 기억에 남았는데
자동차쪽도 해박하시네요

아편쟁이 13.09.26 17:00:41

윗분들이 너무 잘 써주셨는데...
보강킷도 여러종류가 있는만큼 첨언해봅니다.
쿠페같은 경우 대체로 뒷자리 격벽이 없기 때문에 트렁크 부위 강화가 되면
승차감에 영향을 줄만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전륜 휀더 보강을 하게되면 노면 충격량이 바디에 전달되기도 하죠.
차대보강의 대표적인 예로 하체 3Way바와 실내 롤바설치가 있는데,
이 두가지만 하더라도 차체의 비틀림을 잡아줌으로서 후륜 추종성이 바뀌어 실제적인
주행질감과 승차감이 바뀌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제품을 세단에 적용하는 수준이라면 승차감이 나빠질 일은 거의 없겠죠.

보복공격 13.09.26 19:34:25

청록조님 그렇지는 않죠
모노코크 바디는 휨 모멘트에 약합니다 쇼바가 있다하더라도
쇼바가 완벽히 요철이나 노면 불량스러운 부분에서 좌우 전후에 각각 차고의 차이가 생긴다면 모노코크 바디는 비틀리게 되있고 이 비틀림이나 휨 모멘트를 쇼바가 완벽히 소화하지 못합니다
프레임 바디가 승차감이 모노코크보다 못한이유이기도 하구요
오노코크 섀시가 비틀리는 증거는 간단하게 내장제가 부딪히는 소리 혹은 좌우문 내장제에 차이가 생긴다는지 하는것이 단적이 예이고 로워암도 약간이나마 차이가 생깁니다 그래서 항상 5000키로마다 타이로드를 다시 조절해주는 이유이구요 통칭 얼라이먼트라고 하죠
비틀림을 줄였기에 독립현가 장치에 가는 부담은 더커지고 승차감은 프레임 바디만큼 불편하기도 합니다 대신 코너링에서는 원심력을 줄여주고 구심력을 최대한 얻게 해주죠
차량이 반드시 쇼바에 의해 좌우 되지는 않습니다 큰부분에서야 쇼바지만 전체적으로 본다면 쇼바에만 코너링과 안정감이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보복공격 13.09.26 21:26:45

전 틸팅 부위를 말씀 드린것이 아닙니다
쇼바가 한계까지 압착이 왔을때 그다음은 모노코크가 하중을 받는겁니다 차가 기울어진다가 정확한 표현이지요 제아무리 멀티링크건 맥퍼슨이건 코일스프링이건간에 섀시 자체가 쇼바하중을 뎀퍼를 넘었을때는 바디가 그충격을 가져가는거고 그건 섀시에 휨 모멘트가 발생한다는겁니다 ㅡ.ㅡ
그리고 그 바디 자체에 휨모멘트와 피로도를 잡아주는게
언더에 박은 보강킷이 잡아주는거고 그건 결국 보킹킷 연결즉 체결 부위에 피로도를 축적한다는겁니다
근데 어떻게 쇼바가 모든걸 다잡아준다고 말씀 하십니까?
바닥에 포트홀 깊이가 20센치 이사이거나 좌우 도로 고도가 20센치 이상 차이가 난다면 바디에 휨 모멘트가 작용합니다 그걸 어떻게 부정하시는지 그 이론과 정황을 부탁드립니다 청록조님이 요잉 피칭 롤링 에대해 이해하시리라 생각하니 말씀 드린겁니다

보복공격 13.09.26 21:37:05

그리고 청록조님 모노코크는 엔진을 프레임이 아닌 모노코크 구조 자체어 고정하고 파워팩과 즉 구성품중 미션 출력축에 등속조인트가 있고 그전에 미션에 종감속 기어가 있습니다 아무리 등속조인트 boj의 범위가 높다한들 휠과 등속조인트 그리고 쇼바에서 오는 충격을 모노코크 바디에 제로에 해당하는 영향력이 없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쇼바한겨점은 순정은 비슷하고 사제에 따라서 셋팅값이 틀린데 어떻게 깊게 패이거나 울퉁불퉁 요철구간을 지나가는데 쇼바가 섀시 자체에 휨 모멘트를 안준다면 차가 그 어터한 상황에서도 물컵을 들고 타서 올려놨을때 몰이 흔들리면 안돼거든요 그런 완벽에 가까운 현가장치가 있다면 알려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아편쟁이 13.09.28 17:15:44

오 재미난 댓글들입니다. 이 게시글이 베스트가 되어야 할텐데...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