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동차·바이크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BMW X6 X-drive

narse

15.08.02 03:16:10추천 1조회 5,459

143845296013328.jpg
짤방은 X6 이미지 입니다..

 

 

각설하고 개인사업자로 사업한지 약 10여년 됩니다.

 

작년에 세금 폭탄 맞고 올해 법인(비과세)으로 전환준비중입니다.( 약 8월경..)

 

기존의 개인 명의로 가지고 있던 차량들을 화물차는 법인에 양도하려 하고

 

승용차들은 일부는 법인에 양도 일부는 처분하고 새로 차를 사려고 합니다.

 

사실 골라둔 차가 X6-30d x-드라이브 인데요 

 

차량을 구매(적절한 표현인지는 잘 모르겠지만..)하는 방법에 대해서 여쭤 보려고요.

 

크게 일시불 할부 리스 렌탈 이렇게 4가지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차량 가격도 비싸고 그 정도의 현금은 없으므로..-_- 일시불은 패스 하고

 

할부와 리스 렌탈 이정도 인데.

 

어느게 제일 좋을지 몰라서 그렇습니다.

 

차량관리는 하는 편입니다만 사실 차가 여러대다 보니 (5~7대) 관리하기도 귀찮고 

 

각각의 장단점은 대략적 개요는 알고 있긴 합니다. 

 

가장 주 목적은 절세이고요.

 

절세하면서 타고 싶은 차나 타봐야 겠다 싶은데.

 

그래서 리스와 렌탈 2가지로 방법을 찾았는데 

 

둘의 차이는 알겠으나 어느게 더 저한테 유리 할지 몰라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일단 법인은 비과세 법인이고요.

 

연 매출은 약 40억 정도 되고 작년에 비용처리를 30억정도밖에 못 해서 

 

세금폭탄 맞았어요. (사족입니다만 법인이 과세율이 절반수준이기에 법인으로 전환을...ㅠㅠ)

 

 

차량은 

 

평균 주행거리가 1년에 3만 정도는 타고요.

 

 

 

리스나 렌탈이나 둘다 전액 비용처리 된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맞는건지 확인 하고 싶고요.

 

 

리스나 렌탈이나 처음에 보증료 내는데 보통 30%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보증료를 더 내면 월 사용료를 더 줄겠지만요.

 

근데 잔존가치를 설정하는건 도대체 뭐죠?

 

보통 이야기 들어보면 3,3,3 으로 30% 보증료에 3년 (36개월) 차량사용, 30% 잔존가치 이렇게 이야기 하는데

 

어디선가 얼핏 보기에는 잔존가치를 제가 정할수 있기에 잔존가치를 높이고 (50%이상) 보증료를 줄이고 (0%정도)

 

차량은 3년지난 시점에서 인수하지 않고 그냥 계약 종료 시키는게 더 좋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그 3가지 보증료와 사용기간 잔존가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어요.

 

과연 어떤 식으로 사용하는게 사용자의 입장에서 가장 유리 한지요.

 

전 비용처리가 주 목적입니다.. 어차피 세금으로 낼 바에야-_-;; 제가 차를 타는게..

 

 

 

아 그리고 하나더 렌탈의 단점이 부가세라고 들었는데요.

 

부가세를 환급받지 못해서 리스가 더 좋다라고 리스업자들은 이야기 하더라고요.

 

 

근데 저 같은경우는 비과세 법인사업자로 전환 하기 때문에 어차피 부가세 환급이 안되거든요.

 

그냥 단순히 비용차리만 될뿐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게 맞는지..?

 

 

그리고 리스의 경우 중고차 리스를 하면 6천짜리 차를 7천에 세금계산서를 끊어 준다 하더라고요.(혹은 그 이상도..)

 

해서 그 차액을 돈으로로 돌려 준다고 하던데 

 

그런식으로 그 차액으로 리스료를 내면 오히려 중고차 리스가 더 좋다는 소리도 있던데요.

 

 

 

어느게 가장 좋은지... 어려운 질문인거 같네요 ㅠㅠ

 

 

 

사족입니다만//

 

 

사실 전 렌탈쪽에 마음에 더 끌리긴 해요

 

차량 관리 및 소모품에 대해서 전부 렌탈회사에서 해주는걸로 알고 있어서.

 

 

(차량이 5~7대 정도되면 그것도 은근 귀찮더라고요.

 

정기검사 받으랴 엔진오일 미션오일 갈으랴. 4륜차는 TC오일에 디퍼련설 오일 갈아줘야지

 

브레이크액, 부동액  등등 점검 항목은 더럽게 많은데 정기검사 시기 놓쳐서 벌금도 몇번 내봤어요 ;;)

 

 

리스는 차량만 빌려 주는것이지 보험이나 취,등록세 등은 다 개인이 내야 한다고 들어서 이게 맞는지도 

 

궁금하네요. 

 

 

 

 

 

 

 

 

 

 

살만하냐? 15.08.02 03:52:57

잔존가치는 3년 계약이면 3년 뒤 그 차의 값어치.

님이 보증금 30에 잔존가치 30을 했다면 3년뒤 차량 인수시 내는 돈이 없음 하지만 잔존가치가 50프로이면 차 인수하려면 보증금과의 차액을 내야함.

만약 보증금 0프로나 10프로에 리스하고 싶다면 신용이 엄청 좋아야함.

세금 털수 있는 문제는 여기 사람들 누구도 님의 회계상황을 모르니 답해줄 수 없고 세무사에게 물어보세요.

참고로 차량가격이 엄청 높거나 업무상 필요한차 아니면 세무서에서 안받아줍니다.

_화우 15.08.02 07:33:45

세금 문제는 돈이 크게 왔다 갔다 하기에 회계사나 세무사에게 직접 돈 주고 맡기는게 좋아요 ( 변수가 많기 때문에 어설프게 세법 안다고 알려주다가 혼나는 경우 많이 봤음 )

narse 15.08.02 08:58:11

음 세무회계는 담당으로 처리하는 세무회계법인이 있습니다.
그래서 세무회계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차량은 어떤식으로 하는게 더 좋은지를 여쭤보는거라..ㅠㅠ

으헤렉렉 15.08.02 12:41:18

담당 세무사에게 어떤게 좋을지 문의하세요
사람마다 다 달라서 세무사가 제일 잘 압니다

data10 15.08.02 17:52:42

세무사가 알아서해줍니다

곤드레막걸리 15.08.02 23:03:15

저희도 회사에서는 임원차 다 렌탈 합니다 .
이유는 아시다시피 비용정산과 차량정비, 유지보수,
그리고 임원이 교체되면 차량 처리가 쉽죠(가져가라고 하면되니까 ), 여러 차를 골라타볼수도 있고
차량관리도 그회사에서 나와서 정기적으로 해주고, 차이상하면 바꿔달라고 하면되고 편하죠 (계약기간차이죠)
신차가 나오거나,??1~2년마다 신차로 교체도 해주고??늘 새차를 타니 차가 엄청 좋쵸 임원들도 좋아하죠
리스는 일종의 회사에서 사준차를 제가 타기는 하는데 소유가 리스회사 소유이면서 내가 관리해야되는
점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기타 비용정산은 유리한 점도 있지만,
교체가 상대적으로 어려운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저희는 국산차만 렌탈해서 외제차는 어떤점이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회사에서는 차량 공급용으론 렌탈이 제일 편하고, 개인 사업자시면 리스도 좋을듯 합니다
- 비용을 법인 처리 해서 저렴한거지 사실 엄청 비싼거죠 따지고 보면 그래도 법인처리니까 공짜처럼 보이는
게 아닐까 합니다 임원이나 경영주 입장에서는 회사돈 막쓰면 횡령이죠 잡혀가죠

flvirus 15.08.03 15:19:18

다른건 잘 모르겠지만...
아는 형님들은 3~5년 리스로 만기시 인수로 합니다
그리고 만기 후 중고차로 판매 (현금은 수천만원 용돈 되죠)
그리고 다시 새차 리스~합니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