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동차·바이크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sm6 궁금한점

내아를낳아도

16.02.13 23:11:47추천 2조회 5,416

이번에 나오는 SM6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처음에는 토션빔때문에 말이 많앗었는데...

어떻게 된건지 설명좀 해주세요 ~ 

 

그리고 개인적으로 짱공님들 SM6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의견을 묻고싶어 이렇게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145537263264579.jpg
 

델타스나이퍼 16.02.15 11:36:05 바로가기

토션빔의 경우 멀티링크에 비해서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어서 중고급차에는 안쓰지만
구조가 단순해서 부피 및 무게가 줄어들고, 정비가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분명 있습니다.
줄어든 부피는 비슷한 크기의 차일 경우 내부 공간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됩니다.

SM6는 애초에 토션빔 장착형으로 개발된 모델이라 우리나라에서만 따로 멀티링크를 장착하기 어려운
실정에서 르삼에서는 AM링크라고 개선형을 따로 개발해서 장착했다고 들었습니다.
본질은 토션빔이라고 해도 우리가 흔히 접하는 준중형차나 소형차의 싸구려 토션빔이 아니라는 거죠.
그리고 승차감이라는게 단순히 멀티링크나, 토션빔같은 서스펜션으로만 좌우되는게 아닌 차체, 타이어, 휠,
심지어 시트구조에다 재질까지 종합적으로 얼마나 잘 세팅되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같은 멀티링크라고 해도 현X차나 싸구려 중국차 같이 대충 이정도면 되겠지 하고 세팅한 제품과
독일이나 일본차처럼 제대로 세팅한 제품들과는 분명 확실한 차이가 납니다.
토션빔형식이라 하더라도 다른부위와의 조합이 얼마나 잘 되어있느냐에 따라서 어설픈 멀티링크보다
괜찮은 주행감각과 승차감을 보일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더구나 SM6(탈리스만)은 르삼의 독자모델이 아닌 르노그룹차원에서 기함급으로 만든 제품입니다.
푸조나 르노등 프랑스 회사들은 우리로 치면 중형차급을 기함급으로 생산하며 대형 차량은 아예 안만듭니다.
대형은 열심히 잘 만들어봤자 독일3사와의 싸움에서 실구매층에게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가 현격하게 밀리기
때문에 어차피 안팔릴 것으로 생각하고 자기들이 잘하는 경, 소형차 시장에 집중하지만 메이저 차량 브랜드의
마지막 자존심과 위상을 놓칠 수 없어서 중형차급의 기함을 만드는거죠.
그 회사가 자존심을 걸고 만든차가 SM6인데 구매자들에게 욕 들어먹을 만한 차량은 만들지 않습니다.
더구나 본국인 프랑스에서는 최소 3천 중반대부터 시작해서 최고등급은 5천을 넘는 나름 고급차입니다.
물론 유럽쪽의 차량기본가격이 우리나라보다 높은편인데다 기본옵션들이 풍부한건 있지만
우리쪽 풀옵션가가 3천중반대인데 거기는 가장 기본가인걸 생각하면 가격도 절대 나쁜편은 아니라고 봅니다.

르삼에서 이번 만큼은 칼을 제대로 갈고 출시한 모델같다는 느낌이 들만큼 괜찮다고 생각되네요.

살인기계코난 16.02.13 23:29:31

http://tvcast.naver.com/motorgraph

기자리뷰가 올라오긴 시작했는데 직접 타봐야 알겠죠?
삼성차 좋아라하지만 아직 직접 본적도 타본적도 주변에 타본이도 없기에 기자단리뷰가 현재 취할수 있는 최선의 방법인거 같네요

그렇게나 의구심을 자아내던 AM링크도 생각보다 나쁘진 않다는 평이고 운동성능도 나쁜평은 아니고 실차나오면 재미있는 상황들이 많이 생길것 같아요

LASH 16.02.14 01:54:12

sm6/탈리스만 카페 가입해서 찾아보세용

김한용기자 시승기
http://youtu.be/gV8WlKG5TtM Play

모터리언 시승기 1,2부
https://www.youtube.com/watch?v=a_olfsY_yJA&feature=youtu.be Play ?? < 인테리어
https://www.youtube.com/watch?v=uGsIcs6qpBc&feature=youtu.be Play < 주행성능 , am링크관련 12:40초부터

펜이지 16.02.14 05:06:25

기자시승기 몇편봤는데 그냥 국산중형차급이라던데요 국산차보단 세팅이 더 스포티해서 안정감이 국산차보다 더 뛰어나진않다고 하던데요 그리고 어드밴스크루즈컨트롤기능은 국산차가 더 좋타 합디다 그냥 꼴리는거 뽑는게 좋을듯

멋째이 16.02.14 14:22:39

현기꺼는 ascc 르삼꺼는 acc로 알고있어요. 물론 ascc가 더 진보된거죠.

돼지들쥐 16.02.14 17:40:19

반대로 보신듯한데... 안정감이 더뛰어난데다 ascc도 한국건 풀가속해서 좁힌다음에 브레이킹들어가기때문에 불안하지만 sm6 acc는 적당히 가속하면서 거리를 조정하기때문에 불안하지않다라고 했는데...
다른차 리뷰를 봐도 현기 ascc(제네급)는 불안하다고 전부언급함...

욘짜응 16.02.14 07:35:38

토션빔 이런거 타도 몰라요..

얍샵제갈량 16.02.16 15:31:41

ㅋㅋㅋ 그건 우물안개구리생각이지요

차좋아하고 토션빔과 멀티링크 타신분이라면 알아요
저도 타보고 아~이정도 차이구나 느낌
괜히 중형이상에 멀티링크가 들어가는게 아닙니다

부산동래구 16.02.14 12:11:34

150키로 이상 안달릴꺼면 상관없습니다.
새팅만 잘해논 상태면 허접세팅 멀티링크보다 좋다고 생각합니다.

멋째이 16.02.14 14:26:19

개인적으로 차는 잘 나왔다고 생각하는데 옵션질이...
그동안 광고하던 최고,최초라는 기능들이 모두 패키지옵션으로 빠져있어서 실망했음.
토션빔논란은 별상관안하셔되 될듯해요. am링크가 제기능을 잘 해주는듯 하더군요.

로긴하게하네 16.02.14 17:33:10

기자리뷰가 올라왔는데 말하는게 보니까 토션빔은 토션빔이란 말인듯 하더군요 말을 좀 흐림.....김기태pd랑 노사장께 올라와야 정확히 알지 싶음

moyaam 16.02.14 18:44:14

차자체는 괜찬게 나왓는데 재대로 옵션놀이해서 ... le이하급은 빠지는게 너무 많네요

지카냐 16.02.14 20:52:21

유럽에서는 3천3백넘는 차량입니다. 이 기회에 구입하세요. 르노는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진 않습니다.

모던워페어2 16.02.15 11:08:31

르노차 서스펜션은 어차피 르노삼성 달고 팔기 시작한 시기부터 지금까지 서스펜션은 약했어요. 유럽차라 유럽지형 맞춘 차인지라 한국 지형에 안맞는건 사실. 삼성 서비스코너 일할때도 엔진 미션 고장나서 오는 차는 거의 없어요. 대부분 서스펜션 잡소리 때문에 오는거..

델타스나이퍼 16.02.15 11:36:05

토션빔의 경우 멀티링크에 비해서 승차감과 주행안정성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어서 중고급차에는 안쓰지만
구조가 단순해서 부피 및 무게가 줄어들고, 정비가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분명 있습니다.
줄어든 부피는 비슷한 크기의 차일 경우 내부 공간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됩니다.

SM6는 애초에 토션빔 장착형으로 개발된 모델이라 우리나라에서만 따로 멀티링크를 장착하기 어려운
실정에서 르삼에서는 AM링크라고 개선형을 따로 개발해서 장착했다고 들었습니다.
본질은 토션빔이라고 해도 우리가 흔히 접하는 준중형차나 소형차의 싸구려 토션빔이 아니라는 거죠.
그리고 승차감이라는게 단순히 멀티링크나, 토션빔같은 서스펜션으로만 좌우되는게 아닌 차체, 타이어, 휠,
심지어 시트구조에다 재질까지 종합적으로 얼마나 잘 세팅되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같은 멀티링크라고 해도 현X차나 싸구려 중국차 같이 대충 이정도면 되겠지 하고 세팅한 제품과
독일이나 일본차처럼 제대로 세팅한 제품들과는 분명 확실한 차이가 납니다.
토션빔형식이라 하더라도 다른부위와의 조합이 얼마나 잘 되어있느냐에 따라서 어설픈 멀티링크보다
괜찮은 주행감각과 승차감을 보일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더구나 SM6(탈리스만)은 르삼의 독자모델이 아닌 르노그룹차원에서 기함급으로 만든 제품입니다.
푸조나 르노등 프랑스 회사들은 우리로 치면 중형차급을 기함급으로 생산하며 대형 차량은 아예 안만듭니다.
대형은 열심히 잘 만들어봤자 독일3사와의 싸움에서 실구매층에게 브랜드 인지도와 충성도가 현격하게 밀리기
때문에 어차피 안팔릴 것으로 생각하고 자기들이 잘하는 경, 소형차 시장에 집중하지만 메이저 차량 브랜드의
마지막 자존심과 위상을 놓칠 수 없어서 중형차급의 기함을 만드는거죠.
그 회사가 자존심을 걸고 만든차가 SM6인데 구매자들에게 욕 들어먹을 만한 차량은 만들지 않습니다.
더구나 본국인 프랑스에서는 최소 3천 중반대부터 시작해서 최고등급은 5천을 넘는 나름 고급차입니다.
물론 유럽쪽의 차량기본가격이 우리나라보다 높은편인데다 기본옵션들이 풍부한건 있지만
우리쪽 풀옵션가가 3천중반대인데 거기는 가장 기본가인걸 생각하면 가격도 절대 나쁜편은 아니라고 봅니다.

르삼에서 이번 만큼은 칼을 제대로 갈고 출시한 모델같다는 느낌이 들만큼 괜찮다고 생각되네요.

시샤모구이 16.02.15 23:56:56

애초에 옵션따질거면 두말 말고 현기로 가심이..

국산 중형차중에 자동차 기본기에 옵션 이정도 들어가는거 슴6가 처음인거 같은데..

후사키 16.02.16 20:46:18

애초에 하부구조는 현기차랑 비교할게아닌데 뭔놈의 토션빔하나로 말도안돼는 소리가 나오나 모르겠네요.

바다사놔이 16.02.19 04:49:01

그냥 현기차 타세요

+호구 1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