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동차·바이크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타력주행 기어 D 그리고 N 질문드립니다.

rudwkek

19.03.03 19:53:05추천 5조회 4,534
155161037793235.jpg


평소 연비가 평균 10km/L 이정도 밖에 나오지 않는 운전습관 및 주행환경으로 운전중인데요. 오늘 대전에서 국도타고 경북문경그리고 문경에서 다시 국도타고 문경 상주 보은 옥천 대전 이렇게 다녀왔는데요.
네비상 거리는 중간들린곳들 포함해서 320키로 정도 탓더라구요.
주유습관이 그날 다녀올때 쓸만큼만 넣어서 이전 기름소비하고 남는 기름이 새거가 되겠금 하는데 오늘 33리터 주유하였으나 실제 사용 기름량은 20리터가 조금안되네요.
여기서 평소랑 다른게 저는 오직 D 신봉자라 밟을땐 밟고 멈출땐 노악셀로 최대한 브레이크안밟고 멈추는 타입인데 오늘 평소와 다르게 국도를 타다보니 외진길이라 차가 아예없길래 혹시나 몰라 2차선에서 언덕에서는 D 내리막과 평지 정차는 N이렇게하며 평소보다 브레이크는 엔진브레이크간섭안되는거 감안하여 더먼저밟고 차간거리유지하며 다녀본건데 다녀오고 나니까 10리터가량 차이가 나네요. 주말마다 다니느라 평균 2~300키로씩 타고 평일에 출퇴근 왕복으로 20키로 정도타서 일주일에 평균 300~400키로는 타게되니 기름값이 무시못하겠더라구요.
오늘같은 차이면 1달치면 7만원정도.일년 90만원 안되는 금액이긴 하지만 차이가 확 느껴지니 무시는 못하겠더라구요.
오토로 운전 오래하신 분들의 의견은 어떤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천영 19.03.03 20:02:27

넵 그리고 한 4~5년 뒤에 미션 털리고 수리비 몇백 나옵니다. 아끼신 금액 고스란히 수리비로 들어가요.
그리고 중립으로 빼는 것보다 엔진브레이크 걸리면 퓨얼 컷이라고 해서 연료를 전혀 소비하지 않습니다. 엔진 브레이크 활용하시는 습관을 들이는 게 더 좋을 듯 합니다.

오뉴아빠 19.03.04 09:23:59

차를 잘 몰라서 여쭤봅니다만.. 그러면 예전에 스틱같은 경우는 중립을 굉장히 빈번하게 넣었는데, 이 경우 현재의 오토미션 중립과 원리가 다른가요? 수동미션 꽤 내구성 좋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셀레멘더 19.03.04 13:40:01

설명하려니 끝이없네요
유투브 같은데서 미션원리라도 찾아보시는게 낫겟네요

천영 19.03.04 15:48:35

중립 상태로만 보면 수동이든 자동이든 구동계와 엔진이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밑에 분들 말씀처럼 조작과정에서 오토 미션은 기어를 조작해주는 밸브바디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변속을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수동은 일단 내구력 자체가 오토미션보다는 월등히 좋고 또한 중립 조작을 하지 않게 되면 엔진과 구동계의 연결을 끊을 수 없기 때문에 정차시 클러치페달을 계속 밟고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꼭 조작을 해 주셔야 합니다. 다만 수동도 운행 중 중립은 위험하오니 주,정차시에만 중립 조작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뉴아빠 19.03.04 16:16:57

천영님,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_Alice_ 19.03.03 20:55:04

오토는 N단에 놓는다고 연비에 도움이 안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냥 미션수명에 더 안좋다는 의견이 많음

육화 19.03.03 21:35:35

N으로 놓고 달리다가 위급한 상황에서 대응이 늦지않을까요~?
글쓴이님 목숨은 기름값보다 비쌉니다~!

캬캬오쿵 19.03.03 22:14:36

내리막 N은 절대 하지 말아야할 행위 입니다. 갑자기 악셀 해야할 상황이 왔을때, 갑자기 드라이브 넣는 순간 미션 아작 납니다. 윗분 말씀데로 대응도 느려질테고요.

캬캬오쿵 19.03.07 22:44:35

엔진구조와 변속기는 별개 입니다. 아무 무리가 없다고 하면 잘못아신겁니다. 토크컨버터에는 영향이 당연히 없습니다. 유체 커플링이기때문이죠. 다만 클러치에서는 얘기가 달라집니다. 다판클러치는 토크컨버터의 회전력을 출력쪽 기어에 전달케 위한 기계적 특성 결합을 합니다. 이때 양측의 RPM 차이가 커지면 흔히 말하는 변속충격을 느끼게 되고 다판클러치가 손상을 받게 됩니다. 다판클러치가 손상을 받으면 슬립이나 고착되는등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캬캬오쿵 19.03.07 23:21:39

주행중 N>D 를 말씀드린겁니다. 엔진브레이크가 왜 데미지를 입죠? 양측이 이미 결합된 상태로 rpm의 차이가 없는 상태인걸요. 대단히 착각을 하시고 계시네요. 엔진브레이크는 중립이 아닙니다.

캬캬오쿵 19.03.07 23:51:52

말씀에 참 어폐가 있네요. 무리가 전혀 없다고 말씀하신분이 미션에 에너지가 전달되서 멀쩡하냐고 반문하시네요. 말장난 마시고요. 역으로 말하면 미션에 무리가 간다고 인정한 꼴이네요.

캬캬오쿵 19.03.08 00:03:41

재반문 해봅니다. 다른 rpm을 가진 두축이 강제 결합이 됐을때 차이나는 에너지는 어디로 가죠? 사라지나요?

캬캬오쿵 19.03.08 09:50:25

미션 아작은 극한의 표현일뿐입니다. 그만큼 조심하란 의미겠네요. 엔진브레이크요. 미션에 부하주는행위 밎습니다. 엔진이 돌면 토크컨버터도 무조건 같이 돌지요. 그리고 출력쪽 기어도 차량의 구동축에 물려 도는데 그 두 축을 연결해주는게 클러치네요. 서로 다른축의 회전 차이가 클때 클러치에 데미지가 없겠습니까? 클러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데미지를 받는데 무리가 안갈거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순차적인 변속은 그만큼 데미지를 최소화 하는 방법일뿐이지요. 서로 다른 축의 회전 차이가 최소화된 상태라면 중립-드라이브 큰 무리 없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케이스는 수많은 케이스중 하나일뿐이죠. 모든 케이스에서 무리 없다는 전제를 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

캬캬오쿵 19.03.08 10:38:20

그냥 제가 몇가지 케이스를 제시 해보겠습니다.
1. 흔히 미션 상태를 보기 위해 스톨테스트를 진행하는데 단시간내에 끝내라고 합니다. 이유가 뭘까요? 토크컨버터는 돌고 클러치는 미트 되었지만 구동축의 회전은 0입니다. 내가있잖아님의 논리라면 데미지가 없어야 합니다.
2. 중립주행중 아주 빠른 차속과 엔진은 아이들 상태에서 드라이브로 변경.
3. 중립주행중 느린 차속 상태, 악셀링으로 높은 RPM유지하며 드라이브로 변경.

어떨것 같나요? 내가있잖아님이 충분히 해보실 슈 있는 케이스 입니다. 차량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해보시기 바랍니다.

Zidane1 19.03.24 09:41:18

엔진브레이크는 피스톤운동으로 에너지를 소모하는겁니다.
60키로에서 1단넣지않는이상 무리안갑니다.
반대로 2~3천알피엠으로 주행하는거랑 동일한
원리로 미션이 움직이는거에요

qqq_ppp 19.03.03 22:51:24

그 얼마 되도않는 기름값 아낀다고 중립놓고 하면 미션수리비로 수백만원 날아가요.. 특히 내리막 중립은 더욱더 차량에 무리가게 합니다 ecu에서 제어하는 시스템없으시면 그냥 드라이브 놓고 다니세요

아편쟁이 19.03.04 09:49:06

이미 알고 계신 부분이 있으신듯하여 첨언드리자면,

미션을 중립 상태로 갔던 점을 숙고하셔서 주행습관을 수정해보시기 바랍니다.
언급하신 중립모드에서의 차이가 퓨얼컷 상태에서 주행이 된 점을 고려한다면
미션에 수동 모드가 있다면 고단으로 변경하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작성자분께서도 중립 모드 전환이 별로 좋은 점이 없다는 것은 이미 알고 계신듯합니다만.
어쨌든 중립모드 변환은 연비에 큰 도움이 되는 건 아닙니다.
변경이 있다면 퓨얼컷된 상태를 얼마나 유지하느냐가 다른 점이겠죠.

cheri 19.03.04 10:50:22

윗분들도 많이 말씀하셨지만
이거 자동차 사이트 여기저기서 많이 이슈됐던 건데요
결론은 '그냥 D 로만 주행하는게 좋다' 입니다.

모던워페어2 19.03.04 15:19:29

수동은 기계식이고
자동은 오일을 통한 유압식이라 N에 놓는 개념 자체가 다릅니다.
급작스런 작동변경, 즉 D에놓고 주행하다가 N에 놓고 다시 D에 놓는건 밸브바디에 치명적인 충격이 갑니다.
즉 미션을 스스로 파괴하는 행위를 하시고 있는 겁니다.

루인잉 19.03.04 17:55:01

타력주행은... 운전면허 시험에서도 감점사유에요 하지마세영
하면 좋거나 해도 되는거면 감점 안시켜요...
하면 문제가 되는거니까 감점까지 되는겁니다

기름값이 목숨값보다 싸여

건이장군 19.03.04 23:54:42

CVT 미션은 100% 미션 나가는 습관 ㅎ

2817 19.03.05 15:20:19

오토미션이든 수동미션이든 중립주행(이른바 탄력주행, 트럭버스 운짱들은 '후리친다'라고 표현)은
연료소비 증가, 돌발 급제동시 엔진브레이크 만큼의 제동력이 사라진 이유로 제동거리 증가, 미션 내구도 감소 등
백해무익한 행위입니다.

연료를 태운 에너지는 엔진->미션->바퀴 로 전달돼서 달립니다.
여기까지는 왠만한 남자들은 다 아는 내용일것이구요
자 이렇게 시동걸고 연료 태우면서 달립니다.
붕붕 달리다가 액셀레이터 패달에서 발은 땝니다.
그럼 차는 멈추나요? 아니죠 달리던 관성에 의해 속도는 점차 줄어들지만 계속 달리고 있습니다.
이때 시동이 꺼지던가요? 안꺼지죠
이걸 흔히 말하는 퓨얼컷 상황입니다. 엔진->미션->바퀴로 가던 에너지는 바퀴->미션->엔진 으로 역으로 전달되죠
이때 연료는 필요없습니다. 그래도 엔진은 바퀴로 부터 전달되는 관성에너지로 돌아가니까요
이게 퓨얼컷입니다. 이게 엔진브레이크 이기도 하구요

자 이렇게 엑셀레이터에서 발은 때고 관성으로 움직이고 있는 와중에 중립으로 바꾼다!
바퀴->미션 ///// 엔진
관성에너지는 미션까진 가는데 미션이 중립입니다. 즉, 엔진과 미션은 서로 단속된 상태입니다. 빠이빠이 상황
근데 해보셔서 다들 아시겠지만 달리던 중에 엑셀레이터 패달에서 발을 때고 미션 중립을 한다고해서 시동이 꺼지던가요? 아니죠 시동은 유지되어 있습니다. 즉, 공회전 상태로 돌아갑니다. ECU에서 퓨엇컷을 안해주고 아이들 상태를 유지합니다.

'아냐 나 내릭막에서 중립 넣고 탄력주행했더니 연비가 좋아졌어!' 라고 하시는 분들은 계산착오거나 그외 주행 상황에서 어쩌다 보니 연비 향상에 여러 변수가 생겼거나 입니다.

절대 내리막 중립탄력주행은 연비가 좋아지지 않습니다.

대형트럭, 버스 운짱 중에서 아직도 중립탄력주행을 맹신하며 운행하는 놈들이 있습니다.
혼자 디지면 디질것이지 몇톤짜리 중량물 실어다니고, 승객 수십명 태우고 다니면서
영동고속도로나 중앙고속도로 처럼 긴~ 내리막 구간을 후리치고(중립탄력주행) 다녀서 기름 아꼈다며 자랑질 합니다.
아주 큰일 낼 사람들이죠

2817 19.03.08 11:59:28

당연 저단기어로 변속하는게 엔진브레이크 맞습니다.
허나 엑셀레이터에 발은 때는 퓨얼컷 상황 만으로도 엔진브레이크는 시작입니다.
엔진의 회전저항을 이용하는것이 엔진브레이크이니까요
거기에 저단 다운시프트는 엔진 회전저항을 높혀주는거구요

최회장님 19.03.05 22:53:21

퓨어컷 퓨어컷.
차에서 알아서 연료소모량 최소로 해줘요.
오토에서 중립을 왜 넣어요.
그것도 내리막에서?
하.. 대한민국 운전면허 시험..

anjdlE 19.03.09 16:24:03

퓨얼컷 다달려나오는데 굳이...
그리고 미션 나간다고 하시는데 ㅋㅋㅋ 요새 차들 내구성이 좋음
진짜 나가는 사람들은 속도와 RPM도 안맞추고 무작정 기어 넣으니까 나가지
최소한 레브매칭은 조금해줘야지 암만 오토라도
예전차 아버지가 딱 저렇게 운전했는데 내가 물려받고 정확히 14년탈때까지 문제가 없었다...
진짜 연비를 높이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지만(예를 들어 불필요 짐 실지 않기등)
RPM 낮추기가 최고입니다.
rpm 2000일때와 4000일때의 연료 소비량의 차이는 2배인거 당연하겠죠?
고속도로 연비가 잘나오는게 고단수의 저rpm 운용이라 그런건데
이걸 응용하면 수동으로 전환해서 고단수로 조지는 방법도 있어요...근데 이게
엔진에 별로 안좋아서 rpm 보면서 엑셀 밟았다 잠깐 띄었다 하면서 rpm 낮추는데
쉽게 할수 있는방법이....

급가속 급제동 안하기만 하면돼요.....
가장 기본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천천히 출발하고 천천히 멈추면서 교통방해 안되게 어느정도 맞춰주고 차없으면 2차선에서 슬슬 가기만해도
됩니다

유 나 19.03.11 19:31:33

제 차가 오래대서 였을탠대...
저두 N으로 빼다가 3개월전에 미션 나갔습니다...
국산차라 얼마 안나왔지만 ㅎㅎ..
신호대기시에는 어쩔수 없이 N으로 빼긴하는대 그건 진동이 너무 심해서여..경유차입니다.

Dirkal 19.03.15 10:24:55

어디무슨차 미션수리비가 수백만원씩하죠? 수입이면 모르겠지만..
국산 정도면.. 저렇게해서 절감액 1년치정도면 거의 수리될거같은데.. ..
물론 그렇다고해서 미션에 무리가 없는건 아니지만
또 그렇다고해서 하자마자 박살나는것도 아닙니다. 전 그냥 종종합니다. 클러치는 소모품이니까 그냥..

Dirkal 19.03.15 10:27:00

그리고 아무도 대답해주지않는데..

과연 D인채로 퓨얼컷이 된다면
저 연ㅁ비차이는 어디서 기인한 것인가?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