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컴퓨터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메쉬 네트워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AGE_NT

18.11.30 23:55:56추천 0조회 1,342

안녕하세요.

 

인터넷 질문이 있습니다.

 

온라인 게임을 할 때, 무선으로 연결을 하면 유선보다 핑이 높아서 랙이 느껴지거나

 

케릭터를 움직이면 바로 반응 안오고 한 0.1~0.5초 뒤에 움직이는 현상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인터넷을 컴퓨터 방에 설치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큰 집은 아니지만, 인터넷이 거실에 설치 되어 있고, 제 방에 유무선 공유기를 bridge mode로 바꿔서

 

그 브릿지모드 공유기에 유선으로 노트북을 연결후 오버와치같이 빨리 움직이는 게임을 했는데,

 

역시 케릭터 반응이 더디다는게 느껴집니다.

 

 

CAT6나 CAT7 인터넷 선을 사다가 집 방 구석/가구 뒷쪽으로 쭈욱 연결하면 되겠지만,  

 

미관상 보기좀 그렇고, 게임 하나 때문에 벽 부수고 선을 매립하는건 더더욱 아닌거 같고요...

 

 

그와중에 mesh network이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유투브에도 리뷰/테스트 외국인 영상을 참조하고 있는데요.

 

다운로드 속도는 repeater/bridge mode보다는 나은거 같은데, 제가 원하는 반응속도랄까요? 핑? 그런거...

 

그건 별반 차이가 없지 않을까 싶어요.

 

 

메쉬 네트워크라는 기술이 유선 연결만큼이나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가 나오는건지,

 

아니면 일반 AP/repeater/bridge모드 보다 좀 더 나은 정도, 하지만 유선보다는 아직 한참 모자른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장비값이 꽤나 비싼거 같아서 섣불리 사다가 설치하기가 겁이 나네요.

 

무엇보다도 설치했다가 기대 이하면... 낭패같아서 좀 더 알아보고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슬리핑데이 18.12.01 01:48:27

무선으로 연결하시면 당연히 유선보다 핑이 높게 나옵니다. 무선신호의 특성상 직진성을 보이기에 무선신호가 사람처럼 길따라 걸어서 기기에 접속하지 않고 벽이 있다면 벽을 거쳐 지나간다고 이해가 쉬울듯 합니다.

사시는곳이 특등급 또는 1등급아파트라면
신발장이나 다용도실 또는 방에 두꺼비집 비슷하게 생긴 단자함이 있을것이고 홈네트워크(허브)가 있을것이고 그 외 등급이라면 단자함 또는 패치코드만 있을꺼라 생각이 듭니다.

통신쪽에 어느정도 지식이 있다면 혼자 하셔도 되시겠지만 홈네트워크가 없는 집이기라면 콘센트를 열어 선통을 하셔야 하기에 일이 많이 크고 작업이 어렵습니다.

그래도 쾌적하게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유선을 권해드립니다. 통신사애 전화하여 설치비 내시고 안정적으로 사용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매쉬네트워크는 제가 접해보지 못해 설명을 못해드리갰습니다.

AGE_NT 18.12.01 05:02:08

CAT6을 연결한다면 모뎀에서 삥~~~ 둘러서 제 방까지 가는 길 밖엔 없더라구요.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슬리핑데이 18.12.01 11:00:55

선통하시는것이 제일 쉬울듯 합니다. 혼자 하시지 마시고 통신사에 접수하세요.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실듯...

천공무제 18.12.01 03:49:31

매쉬는 커버리지와 관련된 기술입니다
속도와 관련해서는 익스텐더 보다 나은 정도입니다

AGE_NT 18.12.01 05:02:54

거의 장비값만 몇십만원이던데... 익스텐더보다 나은정도면 그건 아닌거 같네요.

스마트링 18.12.01 06:15:03

몰드 써서 쭉 연결하셔도
외관상 별로 안 이상하실건데

AGE_NT 18.12.01 06:52:53

벽을 짜르고 매립을 못한다면, 말씀하신대로 몰딩을 생각중에 있습니다. 찾아보니 튜브같이 생긴 몰드가 있더라구요. 그안에 쏙 넣어서 연결하면 될꺼 같네요. 근데 저는 메쉬 네트워크가 신기술이고 좋다라는 글을 어디서 본 터라, 유선 버금가는 건가 싶어서 궁금했었습니다.

azarea 18.12.01 11:48:05

"한 0.1~0.5초 뒤에 움직이는 현상"
순간적으로 저럴순있어도 무선연결시 게임자체를 저렇게 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43평아파트인데 무선환경으로 롤 오버워치 잘만했습니다.
핑은 17정도로 기억나네요. 지금 유선사용중인데 핑이야 당연히 더 내려가겠지만 아무런차이없습니다.

플레이자체를 저렇게 한다면 기술의한계가 아니라
어딘가 문제가 있는겁니다.

azarea 18.12.01 11:51:47

당시 무선환경은

거실에 메인인터넷선 설치(100메가급)
무선공유기 티피링크 archer c9 or c5400
끝에 위치한 제방에서 무선랜카드 티피링크 archer t4uh

잔혹한마법사 18.12.01 13:11:50

0.1~0.5초 뒤에 움직인다.. 라는건..
응답이 100~500ms 가 추가가 됐다는 것이고..
그건 무선의 연결이 느린게 아니라 무선이 계속 끊어졌다 이어졌다 한다는 얘깁니다.

이 경우는 장비의 문제가 아닌 환경이 문제입니다.
무선은 편하게 사용하기위한 것이지 안정성은 그 다음 문제입니다.
안정성과 속도가 우선이라면 유선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