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엽기유머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조선도와 일본도의 구별법은?

면죄자

11.01.03 19:17:09추천 21조회 32,461

조선도와 일본도의 차이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으시던데요.



심지어는 방송에서 조차 조선의 생활양식에 왜도가 버젓이 걸려 있는 모습조차 보여서.잠시 조선도와 일본도의 차이를 올려 볼 까 합니다. 그래서 그 전에 조선도의 특징을 알아 봅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운검, 패도, 패검등이 기록되어 있지만 이름이 다를 뿐 환도의 일종이입니다. <무예도보통지>에는 예도, 쌍수도, 쌍검, 왜검 등의 명칭이 나타나지만, 이들은 검범의 명칭일 뿐이며, 실제로는 대부분 환도를 사용하여 수련했고, 우리나라의 기록에서 환도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한 것은 고려 충렬왕 때이며, 중국에서는 원나라 시대에 처음으로 등장하였습다.

129404952218963.jpg

초원에서 널리 유행한 외날 곡도가 몽골의 영향을 받아 고려말부터 유입된 것이 유래로 보고 있으며. 길이는 비교적 짧고 칼의 휘임은 일반적으로는 중국과 일본 칼의 중간 정도지라지만 실제로 남아 있는 유물로 보면 그 정도가 제각각입다. <세종실록>과 <국조오례의>의 설명을 보면, 당시의 환도는 칼머리에 두석 장식을 둘렀고, 칼자루에는 구멍을 뚫어 홍조수아紅條穗兒를 드리웠으며, 칼자루감개나 칼자루싸개가 없는 경우가 많다. 칼집은 어피로 감싸고 검은색이나 주홍색으로 칠했다고 나옵니다.


 


 

보병용 : 칼날 55.63cm / 자루 20cm / 합계 73.63cm


 

기병용 : 칼날 49.60cm / 자루 16cm / 합계 65.60cm


 


 

조선시대의 병사들은 일반적으로 활1~2자루에 화살 20여 대, 갑옷과 환도를 착용한 중무장이었기 때문에, 이 상태로 300보를 달려갈 수만 있어도 갑사(직업군인)로 채용될 수 있었다. 때문에 가벼운 검을 선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으며, 갑옷 때문에 찌르기에 효과적인 직선형의 짧은 칼날을 사용하였다. 임진왜란 당시에 일본도에 대항하기 힘들다는 것이 확인되어 환도의 길이가 90cm까지 늘어났지만, 결국 조선 후기에는 환도 자체가 의장품화 되어 50cm정도의 짧은 환도나 아예 대나무로 만든 것들이 제작되었죠.


 


 

사실., 우리의 역사를 보면 조선시기에는 화약무기와 활에 대한 의존도와 무보다 문을 숭상하여 무예나 무기는 천한 것이라는 사상이 팽배했기에.


 


 

칼이나 기타의 무기류가 발전하지 못한 것 또한 사실일 것입니다.


129404951918133.jpg

사진은 왕의 호위무사인 운검이 소지한 환도인 운검(雲劒)

 


 

조선 환도는 상당수가 배형도로서, 이 경우 단면의 구조가 완만한 배 모양이인데요. 이는 중국에서도 당나라 이후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성호사설>을 보면, 우리나라 사람이 일본의 육각도(일본도)를 얻으면 경사면을 갈아내서 배형 구조로 만들어 사용했다고 한고. 일본도와 같은 육각구조나 조각도와 같이 한쪽만 깎아 날을 세운 사각구조도 있습니다.





129404951697151.jpg

왼쪽 배형 조선도의 단면 오른쪽 일본도의 한 형태인 6각도

 


 

이것이 왜도와 조선도의 차이점 첫번째입니다.


 

 


 

사실 한중일 각 문화권의 도검의 휨을 각각 평균내는 것은 불가능하기도 하고 무의미한 일이다. 동시대, 한 문화권 내에서도 칼날의 휨은 개개의 차이가 워낙 컸다. 단지 조선 초기에는 직도에 가깝게 변화되어 오다가, 임진왜란 이후에는 일본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아 곡도 형태가 많이 나오긴 하지만 그래도 그 휘임 정도는 제각각이었다. 사실 일본도 또한 5cm에 달하는 휨을 가진 물건에서 거의 직도에 가까운 2, 3mm 수준의 휨을 가진 물건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일본도의 평균적인 휨을 찾는 것은 무의미하다.

조선의 칼은 칼날과 칼끝이 모호하고 칼끝이 자연스러운 곡선을 그리며 위로 약간 솟아오른다는 얘기도 있고 그에 반하여 그런 얘기는 통칭 버선코형 칼끝이라 부르는 요코테와 킷사키의 선을 재현할 능력이 없던 국내 도검사의 변명거리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129404951268862.jpg   왜도의 칼날 끝부분의 명칭(칼끝절선이 일본어로 요코테임)



129404950836431.jpg 요코테가 없는 조선도의 칼끝부분의 이미지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본도와는 마무리 연마방식이 다른 조선환도에서는 따로 요코테가 생기지 않으며,그러한 면모에 신경쓰지 않기 때문에 일본도의 날을 사용한 환도라고 해도 의도적으로 남겨두는 경우는 없다. 환도로 환장한 이후 실제 사용하지 않거나 따로 날에 손을 대지 않고 그대로 사용했다면 남아있을 수도 있으며 실물 환도를 보면 칼날에 다양한 형태가 공존하고 있는것을 알수 있다. 조선전기부터 일본도를 수입했었기 때문에 일본도의 칼날을 사용하거나 영향을 받은 물건도 물론 있었다.


129404950572070.jpg 동래성 출토 환도 유물, 다양한 형태가 공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런걸 따질 필요도 없는것이 칼을 일본도처럼 고유의 형식을 중시해서 만든것도 아니고 순수하게 실용적인 병기로서 만든 나라가 조선인데 위에서 볼수 있듯이 요코테나 버선코 같은 칼 끝의 형태를 특정하지는 않았으며 칼날 단면의 형태도 다양하기는 하지만 일본처럼 특정한 형식을 정해 따로 구별하지는 않았죠,

개화 부근의 기록을 따르면 아예 서양함선에서 노획한 세이버도 환도로 묶어서 기록해 놓고, 그에 영향을 받은 서양식 외장의 스타일을 참고한 변종환도도 나오니말입니다..;;;.


 


암튼...


 


왜도와 조선도의 두번째 차이는 요코테의 유무라고 보시면 될 것 입니다.



 

세번째로는 코등이인데요.


129404950218706.jpg

바로 이것이 코등이입니다.


 

 


 

전통적인 조선 환도의 코등이에는 구멍이 없든지, 아니면 비녀장을 끼우기 위한 원형의 구멍이 칼등과 칼날 방향으로 하나 혹은 2개가 존재합니다. 일본도, 특히 우치가타나(打刀)의 경우 칼날 좌우에 나이프 정도에 해당하는 작은 칼을 끼우기 위한 소병궤혈이나 머리 손질 도구인 코가이를 끼우기 위한 궤계혈이 존재하는데, 이는 우리 환도에 본디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종종 소병궤혈이나 궤계혈이 있는 환도가 있는 경우가 있으나, 이것은 일부 도검 장인들이 그 구멍의 용도를 모른 채 형태만을 모방한 결과라고 판단될 뿐이죠.


129404949816866.jpg 왜도의 코등이 (왼쪽의 구녕(?)이 소병궤혈입니다)
특징적으로 코등이의 재료로 옥을 사용하는 경우가 유독 많이 발견됩니당~  

네번째의 차이는 잠금장치인 잠금장치의 유무인데요.

 


환도의 특징 중 하나이고, 조선 초기에는 비녀장이라고 하는 잠금장치가 사용되었다. 이는 칼집에서 칼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며, 코등이 칼등 부분에 구멍이 뚫려있는 것은 비녀장으로 칼을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129404949447018.jpg 비녀장이 있는 조선시대의 문관도
 

이후 조선 중후기에 들어서면서 클립을 이용한 버튼식 잠금장치가 도입되었다.이러한 잠금장치는 클립을 호인의 내부에 장착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클립 자체는 물론 잠금장치를 보호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일본도의 경우 군도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장치가 거의 없습니다.

다섯번째로는 칼자루의 모습인데요.

 


칼자루에는 어피나 가죽끈을 감긴 했지만, 우리 나라는 일본에 비해 습도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일반 호신용 도검에는 칼자루감개나 칼자루싸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조선 후기의 군용 도검에는 칼자루를 가죽끈으로 감는 것이 꽤 널리 퍼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무예도보통지>에서는 한쪽 방향으로 엇갈려 감기가, <융원필비>에서는 일본도와 유사하지만 끈이 교차하는 매듭의 횟수가 훨씬 적은 방법이 나와있다지요~.칼자루는 칼집과 동일한 목재로 만들고 그 위에 옻칠을 하며, 가끔은 사어피(沙魚皮, 상어가죽)로 싸고 가죽끈으로 감기도 했다. 하지만 위에 언급했듯이, 세종실록에 나타난 환도를 보면 칼자루에 끈으로 감은 모습이 보이지 않습니다.


129404949028463.jpg

손잡이가 어피로 되어 있는 어도(일명 역날검, 역인검이라 함)

 

여섯반째로는 패용 방식입니다.

우리나라 환도의 경우 손잡이를 뒤로 가게 패용을 하죠.


129404948617711.jpg

이런 방식은 조선시대는 칼보다는 활이 더 중요한 무기였기 때문에 칼을 일본처럼 손잡이가 앞으로 향하게 찰 경우 활 쏠 때 불편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그만큼 빠른 발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칼은 보조무기이고 최우선 고려 대상은 활을 얼마나 편하게 쏠 수 있는가 하는 점이 중요한 관심사였다는 것이죠.

이런 것은 비단 조선 뿐이 아니라 옆동네인 청나라도 비슷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다들 아시다 시피 뭐... 킁...;;;;

그리고 7번 째로는 띠돈의 차이인데요.

칼집에 쿠리카타라고 불리우는 고정장치가 있어 허리춤에 그냥 찔러 넣어도 빠지지 않는 왜도에 비해 우리는 띠돈이라는 고리등을 사용해 뜨로서 허리춤에 묶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129404947957330.jpg

129404943481870.jpg

띠돈이 도드라져 보이는 어도

 


 

8번째는 날과 칼자루를 고정해 주는 고정장치의 차이입니다.

일본의 왜도의 경우 대나무 못인 메쿠기(뭘 메꾸는지..;;;;)를 사용해 날을 고정 시킵니다. 그래서 왜도는 칼을 자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칼을 분해해 쉬게 만든다는 시라사야에 보관하죠.


129404942893954.jpg
129404942334408.jpg

시라사야 형태로 보관중인 왜도(결합사진)
129404941928289.jpg
시라사야 형태로 보관중인 왜도

 

그와 반면 우리의 환도는 구멍뚤린 금속 핀으로 고정하여 이곳에 홍조수아라는 끈을 넣어 사용합니다.이 홍조수아는 잡고 있는 칼자루가 손에서 미끌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손목에 묵어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한번 만들어 지면.. 떄려부시(?)기 전에는 분해가 불가능 하다는거.... 

9번째는 칼집의 재조방법입니다.

왜도는 단풍나무등을 반으로 갈라 칼날이 들어갈 부분을 파내고 둘을 찹살풀등으로 붙여 옷칠등으로 마무리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칼자루는 왜도에 비해 상당히 가볍고 가는데요. 그 이유는, 우리나라는 아주 가는 갈대나 한지, 삼배등을 엮어 그 위에 옷칠을 하여 마무리하죠..... 즉.. 가볍고 단단하다는거,,^^;

 


이상 환도와 왜도의 차이점이었습니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