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이
통제사(
統制使)에서 물러난 뒤 원균(
元均)은
삼도수군통제사(
三道水軍統制使)가 되어 일본 수군과 대전했으나
다대포(
多大浦)·칠천곡(
漆川谷)에서 대패하여
해상권을 상실하였다. 원균의 패전으로 같은 해 백의종군(
白衣從軍) 중인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기용하였다.
이때 이순신은 패전 후 남은 13척의 전선과 수군을 정비하여 닥쳐올 전투에 대비하였다. 왜군에게 대패하여 얼마남지 않은 조선수군의 전력을 우려하자 당시 이순신은 선조에게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전함이 남아있습니다."라고 비장한 각오의 장계를 올렸다.
8월 왜선 8척이 해남의 어란포(
於蘭浦)에 출현하자 이를 격퇴하고, 진(
陣)을 진도(
珍島)
벽파진(
碧波津)으로 옮겼다. 9월 7일에는 서쪽으로 이동하던 왜선 55척 중 호위 적선 13척이 어란포에 나타나자, 한밤중에 이순신이 선두에서 지휘하여 적선을 격퇴시켰다.
다시 적의 함대가 어란포에 들어온다는 보고를 받고 9월 15일에 벽파진에서
우수영(
右水營)으로 진을 옮긴 뒤 장병들에게 “
必死則生,
必生則死(필사즉생 필생즉사)”라고 말하고 필승의 신념으로 적의 내습을 기다리고 있었다. 9월 16일 왜선 133척이 어란포를 떠나 명량으로 공격해오자, 13척의 전선과 군사를 정비하여 구루시마 미치후사[
來島道總]와
도도 다카토라[
藤堂高虎]가 지휘하는 왜선 31척을 무찔렀다. 이 싸움으로 조선은 다시 해상권을 회복하였다.
이순신 장군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