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엽기유머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우루과이 호세 무희카 대통령의 명연설

dol2da

14.06.24 23:15:12추천 22조회 13,975

 140361905198781.jpg

우루과이 호세 무희카 대통령의 명연설

지구촌에서 가장 존경 받는 지도자 가운데 한 명이 우루과이 호세 무히카 대통령이다.

2010년 우루과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무히카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대통령 취임 때 전 재산이 1987년 형 폴크스바겐 비틀 한 대였다고 한다.

140361913090657.jpg
무희카 대통(앞쪽 차량)령이 폴크스바겐의 비틀 관련 행사에 참여해 자신의 차를 운전하고 있다.

또 그는 대통령 관저 대신 수도 교외에 있는 부인 소유의 소박한 농장에서 생활한다.

140361917379227.jpg
무희카 대통령이 살고 있는 집

무히카 대통령은 월급의 10%만을 쓰고 나머지 90%는 자선단체나 엔지오에 기부하고 있다. 1300만 원 정도 되는 월급 가운데 130만 원 정도로 생활하는 셈이다.

다섯 살 때 아버지를 잃고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낸 그는 젊은 시절 독재정권과의 싸움에 참여해 여러 차례 투옥됐고 여러 차례의 총상을 입었으며 체포되어 14년 동안 옥살이를 했고 그 과정에서 혹독한 고문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무히카가 존경받는 이유는 다른 데 있다. 그는 지구촌이 불행한 근본 이유를 통찰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랜 수감 생활에서 깨달음을 얻은 그의 철학은 201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리우 정상회담’에서 행한 연설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인류가 건설한 문명,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꿰뚫는 무히카 대통령의 감동적인 연설을 발췌해 소개한다.

이곳에 오신 정부 대표와 관계자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저를 초청해 주신 브라질 국민들과 지우마 호제프 대통령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저보다 먼저 여기에 서서 연설한 훌륭한 연사들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저는 이 자리에서 몇 가지 의문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오후 내내 우리는 지속 가능한 발전과 빈곤을 없애는 문제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과연 우리의 본심은 무엇입니까? 현재 잘살고 있는 여러 나라의 발전과 소비 모델을 흉내 내자는 게 아닙니까?

여러분들에게 묻습니다. 독일 가정에서 보유한 자동차와 같은 수의 차를 인도인이 소유한다면 이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숨 쉴 수 있는 산소가 어느 정도 남을까요? 

더 명확하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서양의 부유한 사회가 하는 그런 소비 행태를 세계의 70~80억 사람이 할 수 있을 정도의 자원이 지구에 있을까요? 그게 가능합니까? 아니면 언젠가 우리가 다른 논의를 해야만 할까요? 왜냐하면, 우리가 사는 이 문명은 우리가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문명은 시장 경제와 경쟁이 낳았습니다. 그리고 무한의 소비와 발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경제가 시장 사회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시장 경제가 자원을 찾아 세계 곳곳을 다니는 세계화를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세계화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세계화가 우리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이런 무자비한 경쟁에 바탕을 둔 경제시스템 아래서 우리가 연대나 더불어 살아가자는 논의를 할 수 있나요?
어디까지가 동료이고 어디까지가 경쟁 관계인가요?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이번 행사의 중요성을 비판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 우리 앞에 놓인 큰 위기는 환경의 위기가 아닙니다. 그 위기는 정치적인 위기입니다. 

현대에 이르러 우리는 인류가 만든 이 거대한 세력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리어, 
이 같은 소비사회에 통제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발전을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지구에 온 것입니다. 인생은 짧고 바로 눈앞에서 사라지고 맙니다. 생명보다 더 귀중한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량소비가 세계를 파괴하고 있음에도 우리는 고가의 상품을 소비하는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인생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소비가 사회의 모터인 세계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많이 그리고 빨리 소비를 해야만 합니다. 소비가 멈추면 경제가 마비되고 경제가 마비되면 불황이라는 괴물이 우리 앞에 나타납니다. 

대량소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고 가능한 한 많이 팔도록 해야 합니다.
즉, 10만 시간을 사용하는 전구를 만들 수 있어도 1000시간만 쓸 수 있는 전구만을 팔아야 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긴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전구는 이런 사회에서는 좋은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사람들이 더 일하고 더 많이 팔 수 있게 하려고 ‘일회용 사회’를 지속해야 합니다. 

우리가 악순환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이것은 분명히 정치 문제이고 지도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써서 세계를 이끌어 가야 합니다. 

동굴에서 살던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을 통제해야만 한다는 것을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제 부족한 식견으로 보면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는 정치적인 것입니다. 

먼 옛날의 현자들, 에피쿠로스, 세네카, 아이마라 민족까지 이렇게 말합니다.

“빈곤한 사람은 조금만 가진 사람이 아니고 욕망이 끝이 없으며 아무리 많이 소유해도 만족하지 않는 사람이다”

이것은 문화적인 문제입니다. 
저는 국가의 대표자로서 리우 회의에 그러한 마음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제 연설 중에는 귀에 거슬리는 단어가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수자원 위기와 환경 위기가 문제의 근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가 만든 사회 모델인 것 입니다. 그리고 반성해야 할 우리들의 생활방식인 것입니다.

저는 환경자원이 풍부한 작은 나라의 대표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은 300만 명 밖에 안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1300만 마리의 소가 있습니다. 염소도 800만에서 1000만 마리 정도 있습니다.

140361924166276.jpg

무희카 대통령이 중남미 정상회의인 메르코수르에서 연설하는 모습

우리나라는 식량, 유제품, 고기를 수출하는 나라입니다. 아주 작은 나라임에도 토지의 90%가 비옥합니다.

제 동지들인 노동자들은 8시간 노동을 쟁취하기 위해 싸웠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6시간 노동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6시간 노동을 하게 된 사람들은 다른 일도 하고 있어 결국 이전보다 더 오랜 시간 일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그는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의 구매에 들어간 할부금을 갚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가 그 돈을 다 갚고 나면 자신이 저처럼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는 노인이 되어 있고, 자신의 인생이 이미 끝나간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묻습니다. 이것이 인류의 운명이 아닌가 라고요?

제가 말하려는 것은 너무도 간단합니다. 

개발이 행복을 가로 막아서는 안됩니다. 개발은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만 합니다. 개발은 행복, 지구에 대한 사랑, 인간관계, 아이 돌봄, 친구 사귀기 등 우리가 가진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가장 소중한 자산은 바로 행복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싸울 때 우리는 환경 문제의 가장 핵심 가치가 바로 인류의 행복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huffingtonpost.kr/2014/04/15/story_n_5150195.html



후레달 14.06.24 23:18:38

부럽다

푸이그 14.06.25 00:24:24

역사가 말해주죠 당파싸움으로 나라안이 허구헌날 개판이니 외구,중궈,오랑캐에 허구헌날 개털리기나 하고 지들 밥그릇쌈만 하는건 예나 지금이나 똑같음. 북한 없었으면 무슨 구실로 해쳐먹고 살았을런지. 그놈의 이념덮어씌우기에 희생당하고 독재와 민주주의를 위해 시위하고 싸웠던 이들이 지금의 민주주의를 만들었는데 정작 국민 대다수에겐 그저 빨갱이 소리를 들을 뿐.

syborg 14.06.25 19:37:19

모든 민주주의에서 국민은 그들의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
In every democracy, the people get the government they deserve.

- 프랑스 정치학자 알렉시스 드 토크빌 -

미지의회장 14.06.25 21:27:43

그러고보니 노무현도 민주주의는 국민이 생각하는 만큼 간다고 얘기했었죠. 그래서 퇴임후에 국민을 위한 민주주의에 대한 책을 쓰려고 했으니 아쉽게도 생을 마감해서 그 작업은 미완의 상태로 남아있네요...

옥상달빛 14.06.24 23:25:42

잘 읽었습니다

유시칸 14.06.24 23:27:04

알고 있었던 것 보다 훨씬 대단한 분이네요.
ㅊㅊ

빨간노마 14.06.24 23:27:36

명박씨가 생각나네...
참나... 에휴...

정신불명 14.06.25 09:44:52

얼핏 듣기는 그럴싸하지만 논거가 틀렸네요
시장은 대량소비를 유지하기 위해 "일부러" 수명이 짧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_-
오히려 묻고 싶네요 우루과이에서는 소를 많이 수출하려고 일부러 체중이 적은 소를 생산하나요?
"일부러" 질을 떨어뜨렸던 독점기업들이 그로 인해 독점력을 상실하는 등 대가를 치룬 경우는 꽤 있습니다

세루 14.06.30 06:19:20

저나라전구는 수명이짧은것같네요ㆍ저분이느낀대로얘기하듯이 우리도 우리가느낀대로얘기할뿐이죠 참고로 소에는 물을탑니다

진마셔 14.06.25 10:45:10

ㅋㅋㅋㅋ

그래 결국 북한 비슷한 나라가 니들이 바라는 나라구나.ㅎㅎㅎ

gom02 14.06.25 13:06:00

북한이 개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나라였습니까? ㅋㅋㅋ

봉길이꼬봉 14.06.25 14:45:55

꼴통아 일베가서 놀아라

세루 14.06.30 06:20:36

이런수준으로밖에이해못하니‥

바둑님 14.06.25 11:08:49

잘 읽었습니다 :)

바람025 14.06.25 12:49:14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본오본오 14.06.25 21:01:27

좋다

미지의회장 14.06.25 21:39:12

지난 주 시사인에 주진우의 기사에서 월드컵을 취재하러 가는 김에우루과이 대통령 인터뷰도 할 거라고 계획했다고 해서 어떻게 하려고 하는 건가 했더니...저 위의 얘기처럼 대통령이 시골 농장 허름한 집에 살기 때문에 우물 간는 길에 하면 된다고... ㅎ암튼 대단하신 대통령인 거 같아요.

그리고 저분 말대로 지금의 경제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시대라서...소비를 멈추면 경제가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끊임없이 자원을 소비하며 소비를 해야만 하는 것 같아요. 우리가 소비를 해야 그 돈이 다른 사람의 소득이 되고 하는데...그럴 수록 환경오염 등 부정적인 효과도 같이 증가할 테고...이를 해결하려 해도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자기가 손해보려고 하지 않을 테니 기존의 구조를 유지하려 할 테고...미국만 봐도 자기네가 불리한 협약에는 비준하지 않으니...정말 위기가 눈 앞에 닥치지 않는 이상 금방 바뀌는 것은 힘들 것 같아요..

세루 14.06.30 06:21:43

자기가행복하다고하는일에 그저열심히할뿐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