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엽기유머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한국인 파헤치기

어기적저기적

16.01.07 08:06:45추천 96조회 19,369

145212147792671.jpg 

 

 

 

 

 

말몇마디로 이렇게 한국인 자체를 관통하는게 가능할까 싶을정도로..

 

발가벗겨진 기분..

PWT 16.01.07 09:30:42 바로가기

솔직히 인정합시다..

소고기짜장 16.01.07 08:18:29 바로가기

저러한 문제들이 최고조로 곪아터진때가 지금이 아닐지;;

슈퍼맨vv 16.01.07 09:13:30 바로가기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국가를 물어본다는 점은 저도 인정합니다.

근데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GDP를 따지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온 사람들에게는 차별적으로 대하고 유럽과 북미에서 온 사람들에게는 더 친절한 모습이죠. 이게 우리는 gdp라고 생각하지 못하지만 따지고 보면 선진국과 개도국으로 구분하는 사고방식이라고 보이네요

우뚜꾸 16.01.07 12:26:36

진중권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일단은 ㅊㅊ

하지만 Where ara you from 으로 GDP까지 연결시키는건 무리수라고 봄
우리가 영어한답시고 외국인이랑 영어할때 그냥 아는게 그거뿐이라 쓰는거임, 다른 의미없음
what's your name? where are you from? how old are you? 이건 자신있게 쓸수있어서 쓰는거임
외국에서 1년 지냈는데, 첨에 영어 못할때 맨날 저거 3개만 질문하다가,
나중에 영어 잘하게되니깐 저런 질문 안나옴
저건 영어의 자신감 문제지, GDP로 평가하는건 지나친 해석이고 봄

물론 GDP로 해석하는 사람들이있음
유럽, 미국인들을 좋게보고, 못사는 동남아시아인들을 무시하는 그런 행위
그건 개인의 인격문제라고 생각함
이걸 또 국가의문제라고 보는것도 지나친 해석.

우리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봅시다. 본인들의 인격을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봐요.
미국인이 길을 물을때하고, 동남아시아인이 길을 물을때 행동이 다른가요?
미국인이 길 물으면 성실히 대답하고
동남아시아인들이 길 물으면 성의없이 대답하나요?
물론 그런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아닐거에요. 저는 그렇게 믿습니다.

진심으로 마음속 자기도 모르게 GDP를 비교해서 행동하나요?
전 제 자신한테 솔직해 지려고 다시 생각해봐도 이해하기 힘든부분이네요.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450526
여기 좋은 자료가 하나있네요^^

밥해주는곰 16.01.07 17:08:38

설마요 ㅋㅋㅋ 한국인이 모든국가에 GDP를 외우고다니진 않죠~~
GDP가 아니라도 한국보다 잘살고 못살고를 판단해서 행동한다는게 저 말의 핵심인듯
근데 통상적으로 봤을때 GDP가 잘살고못살고와 연관이 크다고 생각해서 저렇게 말했나봅니다 ㅋㅋ

koral 16.01.07 13:20:38

대체적으로 맞는 얘기임 ...반박할 거리 찾는거보단 다시한번 읽어보면서
스스로 한번 생각하고 반성해보는게 좋을거 같음

릭코 16.01.07 13:26:27

개인주의가 정말 무난한거 같아

우뚜꾸 16.01.07 13:51:49

난무 를 말씀하시려는건가요?

루뤼 16.01.07 15:32:16

우리나라에 난무하는건 개인만 생각하는 이기주의구요
개인주의는 개개인을 존중하자는게 핵심입니다

낵아누구게 16.01.07 13:48:59

1번 하나빼곤 반박할 수 조차 없네 ㅎㄷㄷ

muse25 16.01.07 14:37:43

22년전 대학다닐때 구입한 사회학책에도 다 나온 내용이예요. 별로 새삼스럽지도 않다는
아직도 그대로인 사회죠 쩝
사회가 바뀌려면 절반이상의 국민이 현명해야 바뀔 수 있다는 거 30년쯤 뒤에나 조금 변하겠네요.

치다루마 16.01.07 16:09:41

백번 공감합니다.

포스트럴 16.01.07 17:11:16

뭔 소리지..
솔직히 이건 아니다
너무 과대평가한거죠
솔직해집시다
님들 외국인 실제로 보면 입에서 그나마 나오는 말이 저거뿐이자나요

271223 16.01.07 20:34:09

과대평가가 아니라 확대해석정도로 말씀하신거죠?
전 진중권씨말이 맞는것 같네요.

포스트럴 16.01.07 23:33:39

아뇨 한국인 영어실력을 과대평가했다는 말이었어요

머리밀어 16.01.07 17:15:38

개인이 바뀌면 됩니다. 나 한 명 쯤이야 아닌 나 한 명부터라는 마인드로.

돈비토 16.01.07 17:44:41

한달전에 스페인 다녀왔는데 웨얼 알 유 프롬? 이런 이야기 수도 없이 들었는데 ㅡㅡ; 솔직히 저만 하더라도 잘사는 국가냐 아니냐가 아니고 걍 궁금해서 물어봤는데.. 솔직히 국가 궁금하지 않나?ㅋㅋ 이상하네 내가 이상한건가? 흠 내가 겪은 현실하고 많이 다르네ㅋ

sc혀니 16.01.07 18:21:24

이거 다 알고 있는 내용 아닌가? 진짜 몰랐다면 문제가 심각한거.. 알지만 현실의 벽때문에 못한게 정답..
이미 대한민국이란 곳에 깊게 뿌리내어진 분위기를 나만 바꾼다고 될일이 전~~혀 아님. 사실 이 문제들보다 먼저가 뭔지 알아? 국민성이다.. 모든건 국민성 이 하나로 귀결된다. 헬조선이란 말도 괜히 나온말이 아님.
솔직히 돈만 많으면 이 한국이란 나라를 뜨고 싶다.

아이도우노우 16.01.08 00:17:09

돈만 많으면 한국을 뜨면 안되죠. 돈 많으면 제일 좋은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인데! 외국가서 부자 되서 한국에 와서 살고싶음 저는.

sc혀니 16.01.10 22:04:41

하하하 님 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ㅋㅋㅋㅋ

우롸콱곽 16.01.07 18:24:42

1번은 글쎄올씨다.

실제로 영어권이나 소위 OECD선진국에 건너가봐도 Where are you from? 은 귀아프게 많이 듣습니다.

Where are you from? 이라는 말로 상대를 간보려는게 아니라

그 사람에 대한 배려(음식,옷,생활방식,취향)나 평소 궁금했던 나라에서

온 사람은 아닌지 호기심으로 물어보는게 대부분이라고 보이는데

한국인이 하는 Where are you from? 은 간 보려고 물어보는것이다 라면 글쎄요

이건 한국인 문제가 아니라,모든 국가의 인식문제 아닐까요

time406 16.01.07 19:00:53

Where are you from은 문제가 아님. 외국인에게 국가 물어보는건 당연한 일.
그것보다 백인에 비해 흑인 동남아인 에 대한 현격한 차별 의식이 문제

semiki 16.01.07 21:22:45

어디서 왔냐는 당연히 궁금한거 아닌가;;;

우현님 16.01.07 21:51:58

골때리네.
어느나라에서 왔냐고 묻는게 나라구별하는게 아니라.
우리나라 특유의 인사치례인데;;
고향이 어디여? 는 그럼 지역을 구분하기위해서 묻는거여?ㅋㅋㅋ

제대로봐라 16.01.07 22:35:52

where are you from은 너무 확대해석이죠. 우리가 실제로 영어를 배우고 영어문화를 접하고하게된 것이 일제강점기 이후라고봐도됩니다. 전쟁으로인해 많은 외국군인들이 우리나라를 도왔고 그리 시작된 영어라고봐도되는데 수많은외국인들이기에 어디서왔는지물었고 친해지기위한 궁금한것들ㄷ중에하나지 그걸 가지고 구지 사람을 국가로 평가한다는건 확대해석이구요. 그리고 k리그는 후진데 국가대항전은? 메달수로? 이것또한 코에갖다붙임 코가되는식이죠. 우리가 국가대항전이 인기가많은건 한민족이라는것의 인식이 강하고 부와명예를 갖기위해서 , 성공을위해 올림픽에나가고 메달을 따기때문에 그런것이지요. 메달색이중요하지않다는것은 동의하지만 메달가지고 순위를메기는건 전세계적으로 공통된것입니다. 구지 그걸 한국인의 정서라고 ㅋㅋㅋ 군대식문화도 우리는 동방예의지국, 위아래선과 예절을중시하는것은 중요하다고봅니다. 물론 만나자마자 선을 나누고, 다른것을안보고 위아래부터 따진다면 문제지만 사람과의 관계를 가져나가는상황에서 위아래는 어디가나있는것이지요. 제가보기엔 진중권교수의 이번 강의는 상당히 좋은말은 많으나 예시가 적절하지못하고 해석하기나름인말들이 너무많네요. 그리고 다알고있는 문제점인것에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것에불과하지 댓글처럼 예리하게 분석했다라고하기보다 잘표현했다라고봐야겠지요.

아브라카타브 16.01.07 23:06:24

저거 맞는 말인데 현실은 개인주의 힘들어요 저사람 말뿐임.. 진중권 교수를 싫어하는 건 아니지만
좀 현실적인 얘기를 했으면 좋겠씀

일단 개인주의는 가장 근대화된 세련된 이데올로기 인건 사실임 나역시 어렸을때부터 개인주의를 좋아하다보니
개인주의자로서 사회에 나와서 겪는걸 얘기하는 내가 더 현실적인 개인주의 지향자임

첫번째 개인주의자로 살기위해 우선 자기 성향이나 입지를 굳히기 위해서는 우선 개인특화된 능력이 필요함
그래야 나이 많은 꼰대나 아니면??집단 이기주의에 눌리거나 공격 당하지 않고 자기 입지를 굳힐수 있음
그러나 현실적으로 개인주의는 뭉치는 성향이 아닌 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사회에서는 아웃사이더로 취급함
이런 개인주의 아웃사이더들은 나이 어린 친구가 많은것이 특징임 또한 개인주의들은 홀로서기에 집중하고 혼자 잘사는
방식을 택하기 때문에 이기적인 성향과 계산적인 성향이 있지만 내면을 들려다 보면 남에게 피해를 안주면서 살아가느 젊은
청년들임

그러나 개인주의들은 기본적으로 남에게무심하기 때문에 군대식 기성세대들은 자기를 존중 안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혹은 무관심이 무시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표적이 될 가능성이 높음 그러다 보면 무시와 공격당하기 일수고 또한 기성세대들은 라인타는걸 중시하기 때문에 홀로서기하는 개인주의들은 이상한 사람으로 몰리거나
무시가 수반됨

그렇게 사회에서 이리 디이고 저리 디이다 보면 결국 굴복하게 되고 그냥 맞춰 주고 살아가는 개인주의들이 대부분임
아니면 힘을 키울때 까지 기다렸다가 자기가 경험과 입지가 굳어질때 개인주의로 사회를 만드는 헌신적인 개인주의나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렇게 해줄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런생각도 듬

두번째 이런기준으로 봤을때 기성세대들을 이길만한 개인 특화된 능력이 필요한데 우리나라 교육 문화 측면에서
봤을때 주입식 교육과 평준화된 시험형 문화로 인해 특출난 넘은 이상한넘으로 취급함 특화성은 살아지고 보편타당한 문화만이 살아남음

세번째 개인주의에도 나쁜점이 있음 다른사람에게 관심이 없음 옆에서 죽던 말던 내인생에만 들어오지 않으면
모른척 해도됨 그리고 개인주의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이상하리 많치 주변에게 이용을 많이 당함

나는 개인주의자로서 자존감이 있음 허나??현실 사회에서 먹고 살면서 참 많이도 이용당하고 공격도 당함
그런데도 태생이 개인주의자라 ㅋㅋㅋ 굳세가 나아가는 인간임 개인주의에 대해서는 진중권 교수보다 내가더 설득력 있는 얘기임



아이도우노우 16.01.08 00:05:37

저기서 말하는 개인주의는 지극히 이기주의와 비교하기 위해 쓴 말 아닌가요? 간단한 예로 자기집에서 내는 소음은 견딜만 하고, 남이 시끄럽다 항의하거나 전화오면 그 순간은 아 예 미안합니다. 하고나선 겁나 예민하네 뭘 이거 가지고, 또 내가 차선 바꾸고 끼어드는거는 운전 잘하고 깜박이 잘넣고 하니 변경하는 차선에 짐차인지, 끼어들만한 건지 고민없이 하고 자기가 가는 차선에 끼어들면 욕하는 그런게 이기주의죠. 저기서 말하는 개인주의는 그저 내가 하고싶은걸 하더라도 상대방에게도 최소한의 피해는 안가게 하면서 하는게 개인주의인거 같은데.

아브라카타브 16.01.08 11:03:10

아님 비교한건 집단 이기주의임 집단이 먼저가 되고 개인은 의미없다고 생각하는 공동체 문화가 문제이라고 지적하는거임 저사람 저런얘길하는것이 우리나라 사회에서 공동체 의식이나 같이 어울르는 의식을 지적하는 것인데우리나라는 옛날부터 품앗이같이 이런 문화가 자리잡아 있음 우리나라 사상 자체를 싫어하는
사람인거 같음
또한 그냥 이기주의도 아니고 집단이기주의를 얘기하는 것이고 진중권교수가 개인주의를 주장하는 이유는
어느 한곳에도 종속되지 않아야 사실을 명확히 볼 수 있기때문에 개인주의를 주장하는 것임 나쁜 얘긴 아님
다 저사람은 사실과 팩트를 너무 중시하다 보니 어떤것도 혼동되지 않는 개인주의를 찬양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있고 실제로도 개인주의는 담백한 마인드임 어찌보면 철저히 인간애가 없을수도 있고



그런데 그 이면에는 문제가 또있음 아까 내가 얘기했지만 다 장단점이 있음 개인주의는 무관심함
그러다보니 옆에서 누가 죽던 관심이 없음 그래서 미국이나 이런나라 보면 개인주의를 중시하는 나라인데
이웃집이 머하는지 모르거나 문제나도 모른척하면 법적으로 제재를 거는 이유가 이런것 때문임.

다 장단점이 있음

아이도우노우 16.01.08 19:10:46

아하 그런거라면 저 부분은 문제가 좀 있네요. 오히려 우리나라만의 특수성인데 어찌보면 품앗이라던지 이런게 변질되서 집단 개인주의로 변했다라면 모르겠는데 그저 우리나라의 특수성인 같은 지역 동네 주민 끼리의 친목도모 즉 일종의 품앗이 두례 등등 여러가지 상부상조하는 문화마저도 집단개인주의로 매도해서 말하는 거였다면 그부분은 동의하긴 조금 힘드네요.. 물론 지금이야 저런 문화마저도 없다고 저는 *만. 오로지 나만 살면된다는 그런 이기주의를 말하는줄 알았는데..

yuljung 16.01.08 00:53:11

뉴질랜드 가서 여행다니면서 입을려고 화려한 옷을 잔뜩 싸가지고 갔습니다.
그런데 공항에 내리자마자 그냥 분위기가 있잖아요 나를 외모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분위기..
소형차를 타던 벤츠를 타던 인간으로써 존중해는 모습들.. 옷 두벌이면 충분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나치게 보이는 부분에 집착하고 남과 자신을 비교합니다.

떡집형님 16.01.08 07:27:16

진중권

치킨마수터 16.01.08 09:05:50

결국 아이들이 걱정임 지금도 보고 배우고 있을 텐데...

쉬닉 16.01.08 09:15:22

틀린 말 하나 없네요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