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엽기유머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이유있는 따봉!

루강

16.03.15 18:58:32추천 49조회 22,488
145803585853718.jpg145803585651190.jpg

145803585417200.jpg

145803585363250.jpg

145803585720839.jpg

145803585756472.jpg

145803585699240.jpg

145803585750961.jpg

145803585693137.jpg

145803585485906.jpg

145803585889563.jpg

145803585851240.jpg

145803585816110.jpg

145803585865487.jpg


멋있습니다!

삼콤하게 16.03.15 19:25:34 바로가기

"인간을 더 나은 바둑기사로 만든다"
참 인상깊은 말인 것 같습니다.
우리도 인공지능에의해 더욱 강력하게 학습될 수 있으며 더 현명해 질 수 있다라는 발상.
이번 이벤트는 정말 큰 반향을 일으켰고 우리사회에 아주 큰 메시지를 던졌다는 측면에서 개인적으로는 구글에 고맙다고 생각이 됩니다.
무엇보다도 기초과학의 중요성에 가장 큰 문제제기를 했고 또한 왜 정치나 인문학이 중요한지 다시한번 생각하게 해주었습니다.
아무든 이세돌이나 구글이나 수고가 많았습니다.

오렌지탭 16.03.15 19:04:47

판후이도 한번 이긴적이 있다고 들었는데.. 지금 알파고보다는 엄청 약했었겠죠

ACE_카카 16.03.15 20:53:28

판후이가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이 알파고를 딱 한 번 이겼습니다. 이세돌이 최초 인간 승리입니다.

람다함수 16.03.15 23:39:57

판후이가 속기(informal)에서는 3패 2승으로 2번 승리 했다고 합니다. 참고로 저는 바둑 문외한이라 처음에는 비공식 대국인가? 라고 생각했는데 같이 일하시는 바둑을 잘 아는 분이 informal을 속기같은걸 말하는걸꺼라고 하시더군요..

이세돌과 같은 룰인 2시간 + 1분 초읽기 3번에서는 5전 전패했구요. 네이처지에 실린 알파고 논문에 나오네요. 즉 속기는 아직 인간의 직관에 비해 약점이 많다고 봐야죠. 경우의 수를 충분히 계산할 시간이 없으니까..

관련 논문은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 filetype:pdf 로 구글에서 검색하시면 읽어보실 수 있어요~ 저야 컴공이라도 이동 인터넷망 전공에 영상처리 쪽에서 일해서 AI랑은 좀 거리가 있지만 흥미삼아 읽어봤네요.

갈군 16.03.15 19:05:00

결국엔 인간다움마저 프로그래밍된 AI가 나올거같음.

성공하겠어 16.03.15 19:08:23

나중에 가면 사람의 인격도 프로그램화 될 것같은 무서움이...

삼콤하게 16.03.15 19:25:34

"인간을 더 나은 바둑기사로 만든다"
참 인상깊은 말인 것 같습니다.
우리도 인공지능에의해 더욱 강력하게 학습될 수 있으며 더 현명해 질 수 있다라는 발상.
이번 이벤트는 정말 큰 반향을 일으켰고 우리사회에 아주 큰 메시지를 던졌다는 측면에서 개인적으로는 구글에 고맙다고 생각이 됩니다.
무엇보다도 기초과학의 중요성에 가장 큰 문제제기를 했고 또한 왜 정치나 인문학이 중요한지 다시한번 생각하게 해주었습니다.
아무든 이세돌이나 구글이나 수고가 많았습니다.

마마무파마 16.03.16 12:07:37

어떤 분은 이거 개발하라고 피할 수 없는 단계라고 책상을 탕탕

마마무정휘인 16.03.15 19:45:40

아 깜짝아~

NEOKIDS 16.03.15 21:20:29

완전 죽빵 한 대 날릴 기세 ㅋㅋㅋ

헬네아 16.03.15 22:58:07

따봉킹

절묘한운빨 16.03.16 09:35:20

진짜 섹시해 보인다~

조석준 16.03.16 11:43:48

같은 따봉이라도 품격이 다르다......
박주영의 따봉
판후이의 따봉
더 이상 말 안해도 아시겠죠?

가자서 16.03.16 17:37:50

ㅊㅊ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