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엽기유머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혹시 저기가

남해꽁보리

19.05.25 21:17:54추천 2조회 9,577
155878665574050.png
백두산 위치 아닌가요

드리즈트 19.05.25 21:49:55 바로가기

신뢰 못해요...
저게 어떤식으로 만들어지냐하면 일단 먼지 관측 시설이 있는곳에서 관측된 자료를 수집합니다.
그런다음에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예를 들어서 바람이 서쪽으로 초속 Xm 다 하면 먼지도 그만큼 이동했을꺼라고 가정하고) 그 관측된 먼지의 이동정도를 예측하고 그걸 지도에 그래픽으로 그리는 식으로 만들어냅니다.
관측시설이 그리 많지가 않으니 그런식으로 작업을 하는거죠. 한국도 그런 관측을 체계적으로 하기 시작한게 몇년 안됩니다.
자, 이런 상황에서 또 문제가 되는게 뭐냐하면 그런 먼지의 이동정도를 검증할 방법이 마땅치않다는점에 있습니다. 말했다시피 관측을 시작한지도 얼마 안되었고, 그런 관측을 하는 시설도 아직은 별로 없습니다.
예를들자면 저 먼지들의 무게는 일정할까요? 무게에 따라서도 이동정도는 다를것이고 그 외의 변수 또한 수도없이 많습니다. 즉 예측의 영역으로 들어가버리면 예측이 안된다가 정답이지, 저런건 그냥 재미로 보는정도밖엔 안됩니다.
더군다나 한국도 아니라 북한? 그건 검증이 불가능합니다. 북한에 그런 관측시설이 있지도않고, 있다하더라도 그걸 공유를 하겠습니까?

insula 19.05.25 21:28:45 바로가기

사람들이 잘 모르는게 저런 화면이 무슨 인공위성에서 실시간으로 찍히는거라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고 지역별 관측장비하고 기상데이터를 믹스해서 만들어내는 컴터그래픽이예요 ㅎ
저런 북한지역 특정지역만 저렇게 표시되는건 신뢰성이 낮을 수 밖에 없죠
암튼 신기하긴 하네요 그래도 추정하는 뭔가는 있을텐데 한곳만 저렇게 표시되는게

드리즈트 19.05.25 22:01:12 바로가기

저 사이트뿐만 아니라 다 그렇습니다.
아직까지 미세먼지를 위성으로 관측할수있는 실용기술은 없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미세먼지를 위성으로 관측하려면 위성카메라의 해상도는 얼마나 되야할까요?
미국의 스파이 위성도 기껏(?)해야 개미정도를 식별할수있는 정도입니다.

물론 완전히 불가능한건 아닐껍니다. 예를 들자면 허블만원경같은걸로 지구를 본다면 혹시나 가능할지도 모르겠내요.
하지만 그럴 나라가 있을까요? ㅋ
더군다나 만들어진지 오래된 허블이 지구상의 최신기술로 만들어진 망원경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우주의 가장 선명한 사진을 찍을수있는건 우주에 있어서 지구대기의 영향을 받지않기때문입니다.
지구의 대기라는건 상당히 극복하기가 힘든 난젭니다 ㅋ

우리동내왕 19.05.25 21:19:44

네~아니에요~

캔디봉 19.05.25 21:19:48

아닌디요

유페이 19.05.25 21:21:12

풍계리 핵실험장 같은데요

닭스훈트 19.05.25 21:27:38

산불났나보네

insula 19.05.25 21:28:45

사람들이 잘 모르는게 저런 화면이 무슨 인공위성에서 실시간으로 찍히는거라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고 지역별 관측장비하고 기상데이터를 믹스해서 만들어내는 컴터그래픽이예요 ㅎ
저런 북한지역 특정지역만 저렇게 표시되는건 신뢰성이 낮을 수 밖에 없죠
암튼 신기하긴 하네요 그래도 추정하는 뭔가는 있을텐데 한곳만 저렇게 표시되는게

식코자자 19.05.25 21:38:59

네... 설명해 드릴께요.
대부분 저렇게 확연하게 차이나는 부분은 데이터 오류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드리즈트 19.05.25 21:49:55

신뢰 못해요...
저게 어떤식으로 만들어지냐하면 일단 먼지 관측 시설이 있는곳에서 관측된 자료를 수집합니다.
그런다음에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예를 들어서 바람이 서쪽으로 초속 Xm 다 하면 먼지도 그만큼 이동했을꺼라고 가정하고) 그 관측된 먼지의 이동정도를 예측하고 그걸 지도에 그래픽으로 그리는 식으로 만들어냅니다.
관측시설이 그리 많지가 않으니 그런식으로 작업을 하는거죠. 한국도 그런 관측을 체계적으로 하기 시작한게 몇년 안됩니다.
자, 이런 상황에서 또 문제가 되는게 뭐냐하면 그런 먼지의 이동정도를 검증할 방법이 마땅치않다는점에 있습니다. 말했다시피 관측을 시작한지도 얼마 안되었고, 그런 관측을 하는 시설도 아직은 별로 없습니다.
예를들자면 저 먼지들의 무게는 일정할까요? 무게에 따라서도 이동정도는 다를것이고 그 외의 변수 또한 수도없이 많습니다. 즉 예측의 영역으로 들어가버리면 예측이 안된다가 정답이지, 저런건 그냥 재미로 보는정도밖엔 안됩니다.
더군다나 한국도 아니라 북한? 그건 검증이 불가능합니다. 북한에 그런 관측시설이 있지도않고, 있다하더라도 그걸 공유를 하겠습니까?

마산앞피바다 19.05.25 21:57:57

제게 데이터를 모아 예측식으로 만들어져서 확실하지 않다면
평소 일반인들이 저거보다 더 뛰어난 데이터를 볼수있는곳이 있음??

드리즈트 19.05.25 22:01:12

저 사이트뿐만 아니라 다 그렇습니다.
아직까지 미세먼지를 위성으로 관측할수있는 실용기술은 없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미세먼지를 위성으로 관측하려면 위성카메라의 해상도는 얼마나 되야할까요?
미국의 스파이 위성도 기껏(?)해야 개미정도를 식별할수있는 정도입니다.

물론 완전히 불가능한건 아닐껍니다. 예를 들자면 허블만원경같은걸로 지구를 본다면 혹시나 가능할지도 모르겠내요.
하지만 그럴 나라가 있을까요? ㅋ
더군다나 만들어진지 오래된 허블이 지구상의 최신기술로 만들어진 망원경보다 월등하게 뛰어난 우주의 가장 선명한 사진을 찍을수있는건 우주에 있어서 지구대기의 영향을 받지않기때문입니다.
지구의 대기라는건 상당히 극복하기가 힘든 난젭니다 ㅋ

드리즈트 19.05.26 00:24:37

님...그 링크 거신 블로그에서 말하는건요, 지금은 그런게 안된다는 말입니다...
3번째 그림을 보세요.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2021년부터 국내외 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며 라고 되어있죠?

저거 원리가 어떤식이냐면요, 관측소가 있죠? 그럼 관측소에 위성사진을 찍어보면요, 미세먼지가 심하면 약간이라도 반사된 복사에너지가 덜할것이다, 미세먼지가 별로 없으면 더할것이고 라는 전제를 깔아두고 일단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에너지 관측치와 지상의 미세농도 측정치를 비교하고, 그걸 다시 에너지관측치에 대입해서 미세먼지 수치를 역산해보겠다는 뜻입니다.
이걸 검증하려면 뭐가 필요하죠? 관측자료가 필요해요.
지금은 그런 관측자료에 대한 데이터가 안쌓여있기때문에 그 전제가 옳은지 그른지도 완전히는 모르는 상황입니다.
더군다나요, 그 미세먼지라는게 우리가 뭉뚱거려서 미세먼지라고 부르고는 있지만, 그 성분이 다양합니다.
그러면요, 미세먼지속에 그런 다른 성분들의 비율에 따라서도 에너지 측정값이 달라질수가 있습니다.
더군다나 대기속에 미세먼지만 있나요? 습도등과 같이 대기 자체에도 변수는 존재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저게 가능할지 불가능할지는요, 아직 알수가 없어요. 더 측정을 해봐야 알수있는거죠.
그래서 실용기술이 없다는겁니다. 실험중인 기술은 있지만요.

계획과 적용은 다른겁니다.

드리즈트 19.05.26 00:55:28

그러니까 님...일단 그 pdf보고서는요...미세먼지에 대한 보고서가 아니라 황사에 대한 보고서섭니다.
미세먼지랑 황사는요, 달라요...황사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흑먼집니다.
차이가 있냐구요? 있죠. 성분이 완전히 다릅니다. 크기도 다르구요.
크기와 성분이 다르니 당연히 입자의 무게도 다르죠. 그러면 또한 당연히 대기변화에 대한 민감도도 더 클것이고, 또한 성분이 다르니 태양복사에너지에 대한 반응도 다를수밖에 없죠.

그러니까 아까 링크걸어주신 그건 저런 황사측정방법을 미세먼지에도 적용을 시켜보겠다는 그런말이구요, 미세먼지에 대한 측정은 몇년 안되있는 상황입니다. 그런 측정방법을 미세먼지에도 똑같이 적용시킬수있느냐가 측정을 더해서 데이터가 쌓여야지 판단이 되는 상황이라는겁니다..

마지막으로요...그 PDF보고서의 마지막 부분을 보셨나요?
"그러나 위성 관측 자료에서 대기 중 에어로졸의 광학깊이를 산출하는 방법 이상으로 대기 중 에어로졸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이를 위해서는 먼저 위성자료에서 광학깊이와 더불어 지상에서 관측한 PM 관측 자료의 상관관계 연구가 먼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요약하자면 지상관측 데이터를 더 쌓아서 그 데이터랑 비교를 해봐야 위성으로 예측해본 수치를 검증할수있기때문에 지상에서의 측정데이터가 더 필요하다 입니다.
그런대 제가 뭐라고했죠? 지금 지상관측데이터를 쌓은지가 몇년 안된상태라구요....그럼 다시 결론이 처음으로 돌아가는겁니다. 데이터를 더 쌓야봐야 알수있다죠.
황사에 대한 데이터도 위성사진에 진하게 나온게 진짜로 황사농도가 진한건지는 지상관측을 통해 데이터를 쌓아야 알수있다라는게 저 보고서의 결론인대, 미세먼지야 말할 필요도 없죠.

드리즈트 19.05.26 00:57:55

그리고 저런 보고서는요, 기술을 개발했다 는 의미가 아니라,
요런요런점으로 봐서 이런이런걸 보안하면 아마 기술이 개발될것같으니까 예산좀 주세요. 라는 의미입니다.

김쎈스 19.05.25 22:54:32

그래도 미세먼지 양 정도는 90% 이상 신뢰해도 됩니다. 주황색, 빨간색이면 매우 나쁘고, 초록이나 파란색이면 매우 좋아요. 그리고 비구름 몰려오는거나 바람 쎄게 밀려오는것도 거의 확실하게 일치합니다.

insula 19.05.25 23:14:45

아 우리나라 측정치를 신뢰하지 못하는 건 아니고요 ㅎ
북한쪽 표시들은 정확한 데이터 기반한 게 아닐 수 있다는 거~

하얼빈출장 19.05.25 22:14:07

중국 이삼개월에 한두번 정도 자주 다니는데 위성 미세먼지 사진 보면 중국은 붉은색이지만 그나마 먼지 냄새거나 숨막힐정도는 아닌데 인천 공항 뻐스타면 먼지냄새와 숨 막힐때가 있음..
겨울에 할빈가니 푸른하늘 보고 놀랐음..비염있는 코구멍이 뚫임..군데 위성사진보면 붉은색 임..

켈로그기운 19.05.25 23:16:32

say 마오쩌둥 개새끼!!

대한민국12 19.05.25 22:48:35

백두산 공기가 유독 좋지않군

정_그렇다면 19.05.25 22:57:51

개마고원 ???

오빠짱~ 19.05.25 23:24:03

저기는...러시아하고 맞다아 있는 지역이라 공장이나 발전소 이런거 많이 있을거 같은데요.
그런 시설에서 나오는 것 아닐까요?

흠냐 19.05.25 23:45:47

화력발전소?

엘민이 19.05.26 02:52:25

저기 나진선봉지구 있는 지역 아닌가요? 그것도 영향 있을거 같은데..?

식코자자 19.05.26 08:18:26

북한에 저렇게 많이 미세먼지 측정장비없어요.
다른나라도 똑같고요.
그냥 지형의 등고저에 따라 기상위성의 데이터를 참고하여 대충 스무스하게 처리한 거에요.
측정기의 오류나 데이터가 꼬이면 저렇게 되는데... 디자이너가 수정해야 해요... 근데 디자이너도 대충그린거고 수정할 의무는 없지요.
기상청도 저짓꺼리 하다가 걸려서 예보방식 자체를 바꿨어요.
기상위성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기술은 아직 없어요.
자꾸 위성으로 측정하신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그런 기술은 없습니다.

미쳐날뛰는존 19.05.26 17:17:30

그래도 핸드폰 미세먼지 정보보다 위성사진 사이트 정보가 더 정확함
위성정보 보고 밖에 멀리 보면 얼추 잘 맞음 폰 날씨정보 미세먼지 정보는 좀 안 맞음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