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엽기유머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신축 아파트 하자

헬로우최선생

22.12.17 16:20:01추천 11조회 5,392
15fa775b5799b4a7814a462d61658207_537228.jpg

 

 

빼돌이17 22.12.17 16:26:19

ㅅㅂ 이젠 하다하다 신축아파트까지도 인스타 갬성질이냐 ㅉㅉ

쉬곤은내꺼 22.12.17 16:32:13

고칠수있는하자는 그나마다행
결로때문에 벽에 물질질흐르고
방수,누수있는집 겪어보면 10년은 빨리늙음

눈웃음 22.12.17 16:35:29

이래서 후분양해야 되는데 에혀...

이원상 22.12.17 16:43:29

입주를 시작한 아파트 사진은 아닌듯 하네요.
한집에서 다 찍은 사진도 아닌거 같고..
스티커 붙여 놓은거 보니 입주자사전 점검 단계에서 여러집들 하자난거 모아놓은 사진 같은데.
입주 할때 되면 정리 끝나 있을겁니다.

정리 안될정도로 심각한 건은 없어 보이네요.
욕조 폐기물 투입이 재일 심각해 보이긴 하네요. 뭘 넣었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불타는총신 22.12.17 20:06:12

신축 몇개 이사다녔지만 ㅈㄴ게 심각한건데요?
머 벗겨진수준이 아니라 수평이 안맞고 난리가 난거에요

이원상 22.12.18 18:05:53

@불타는총신 아파트 생활만 40년째 하고, 건설회사만 15년 넘게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싱크데 상판 수평이 안맞으면 들어 내고 다시 박으면 됩니다. 참 쉽죠?
천정 수평이 안맞으면 뜯어 내고 다시 붙이면 됩니다. 참 쉽죠?
욕실 깨진건 욕조 들어내고 다시 설치하면 됩니다. 이것도 쉽죠?
솔직이 사진에 나와 있는 것들은 마감 단계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하자 들이고, 마감공사 진행 하면서 입주자 사전 점검 전까지는 다 잡히는 단순 하자들입니다.

저 사진을 찍은 시점이 입주 후라면 문제가 심각한거 맞습니다.
하지만 사전점검때 발련된게 저정도면 건설사 의지가 있으면 입주 할때 까지 다 정리 됩니다.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사전 점검 전에 저정도 하자는 거의 다 잡아 놓는데, 문틀 관련된 거나, 주상상판 같은 경우는 별견된 시점과 자재가 들어오는 타이밍에 따라 시간이 안맞아서 사전점검 때까지 못잡을 수도 있지만, 입주 전까는 잡습니다.

하자 자체는 시공시 자주 발생하는 수준이고, 문제는 저것이 발견 시점이 입주 후냐 전이야.
입주 전이라면 입주할때까지 완료가 가능한가가 중요한겁니다.
제가 보기에는 입주 전의 상태라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는 겁니다.

뭐, 입주할때 까지 저 하자를 다 정리하지 못하는 건설사가 지은 아파트라면 하자가 문제가 아니라,
그 아파트 자체의 품질을 걱정해야 할 거고요.

불타는총신 22.12.18 18:51:32

아 그래서 별거아니라고 하시는구나아
저게 단순하자라고 하시다니 이래서
아파트 하자가 저따구로 나오나봅니다
마인드진짜 이따구니 꼭 후분양 실시해야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원상 22.12.18 19:39:28

@불타는총신 후 분양 해도 시공 단계에서는 오차가 발생하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입주자가 받아 보는 건 그런 오시공을 계속 잡아서 수정한 완성 본을 받는 것이고요.
완성본을 받았는데도 잘못 된게 있어서 재시공을 하는게 보통 우리가 말하는 하자 보수인겁니다.

뭘론, 대량시공을 하지 않고 한땀 한땀 지으면 시공단계의 오시공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겠지만,
그렇게 하면 공기와 인건비 때문에 건축비는 올라가겠죠. 분양가도 같이 올라갈 거고...

마인드의 문제가 아니라, 사용가능 한 돈 안에서 최대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 기술자 인거고,
저희 처럼 수익을 크게 생각하고 시공하는 회사는 그나마 시공단계에서의 하자가 덜 하겠지만 그래도 완전히는 못막습니다.
아파트 시세와 무관하게 건축비는 정해져 있고, 정해져 있는 건축공사비가 그리 높지 않으므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지금의 건축공사비로 정말 완벽한 기술자 들만을 모아서 오시공 없이 한땀한땀 지으면 그 회사는 망하겠죠.
요즘 숙련공 일당이 얼마라고 생각하시는 건지.. 가장 쉬운 공정 보조도 10만원은 넘게 받습니다.
아파트가 원래 대량 생산 상품이라 상당히 저가로 지어 지는 건물이에요.

저희 처럼 수익 생각 안하고 관리자 때려 부으면 저정도 까지는 안되겠지만, 일반 건설사들이 그렇게 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설마 아파트 값 올라간다고 건설사가 돈 더 받는 다고 생각하시는 건 아니시겠죠?
건물은 처음 도급 금액대로 지어 집니다. 물론 자재비가 일정수준 오르면 어느 정도 손실을 보존 받는 조항이 있지만,
왠만큼 오르는 건 대부분 건설사가 떠안고 가계 되어 있습니다.

두둥탁 22.12.17 17:04:26

신축을 들어가본적이 없어서 그런데 저거 다 고쳐주기는 합니까?

불타는총신 22.12.18 18:52:20

입주하고도 몇달은 하자 처리하러 불규칙하게 오고요
평일에 집에 사람 없냐고 닥달합니다

머니게임 22.12.17 17:29:44

어질어질하네..

노아22 22.12.17 17:34:40

집 ㅈ같이 만들었다 ㅊㅊ

창경궁로 22.12.17 17:56:08

코로나 우크라전쟁 시국에 마감공사 한 아파트들은 더 문제가 많을 듯
자재비는 폭등하고 코로나로 외노자는 없어서 현장인력 모자란데
공기랑 분양가는 맞춰야 하니 마감공사를 제대로 했을지

세이란즈 22.12.17 19:17:33

저게 얼마짜리 집일까

사람을치겠더라고 22.12.17 21:22:34

보이는 부분이 저런데 안보이는 곳은 어쩔지 짐작이 가네.
건축 하는 놈들은 다 사기꾼이라고 생각하고 시작부터 꼼꼼하게 감시해야 함.

베일 22.12.18 12:09:36

이게 외국인 노동력에 기댈수밖에 없는 현실때문입니다.
팀장도 외국인들이 하는데 그사람들은 치고 빠지는 사람들이고 그사람들이라도 써야 어떻게든 아파트가 지어지기때문에..

Boing 22.12.18 15:20:38

오히려 옛날에 지른 아파트가 더 꼼꼼하고 튼튼하게 잘 지은것 같네요 집값도 거품 겁나껴 있는데 저렇게 건설사들 돈 버는거 보면 쉽게 버는 것 같네요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