짱공유 창작 취미일반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문명과 야만

l죠리퐁l

22.05.02 11:07:16수정 22.05.02 11:07:43추천 8조회 11,808

사례 1. 야노마뫼족 여야 살해 풍습

아마존강 유역 열대우림 지역에 사는 야노마뫼족은 여아 살해 풍습이 있다. 이 풍습은 인구의 증가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 동물성 단백질의 결핍 현상을 크게 악화시키고 생태계의 파괴를 가져와 결국 모든 집단의 존속 자체가 위협받기 때문이다.

 

사례 2. 한국의 남아 선호사상

1988년 한국의 남녀 성비는 113으로 다소 불균형한 상태다. 여자가 100명에 남자가 113명인 셈이다. 이를 출생 순서별로 살펴보면 셋째 아이의 출생성비는 173, 넷째 아이의 출생성비는 199.5에 달한다. 이는 인공유산이 광범위하게 퍼져있음을 의미한다.

 

이 두 사례 중 어느 쪽이 더 야만적인가? 야노마뫼족은 공공연하게 여아를 살해하고, 외견상 잔인하게 보인다. 반면 한국의 사례는 의학기술을 동원해 합리적이고 인도적인 방법으로 여아를 살해한다. 그러나 야노마뫼족은 집단의 생존을 위해 불가피한 일이었던 반면에 한국 사회는 권위주의적 가부장제의 남아선호사상이 야기한 여아 살해가 아닌가? 한국의 사례가 과학기술을 이용해 합리적인 듯 포장하고 있으나 실상 야노마뫼족이 더 '이성적'이라 볼 수 있지 않을까?

 

이 사례는 우리가 애기하는 '야만'과 '문명'은 실상 종이 한 장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본다면 야만적인 사회로 보는 것은 현대사회의 편견에 불과하다. (부시맨과 레비스트로스 중에서)

 

9c045054dca6530fcdb30744baabb1bf_716586.jpg

 

---*---

 

현대 사회에서 기술 발전을 이용한 야만적 행위는 의외로 공공연하게 발생합니다. 특히 자본주의와 결합한 발전은 인간의 윤리 의식을 희석시킵니다. 사회적 양극화외에 윤리적 양극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한 쪽에서는 윤리와 생명에 대한 각성된 자세가 존재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일회용으로 처리되는 수많은 생명이 존재합니다. 이미 많은 사회 문제가 되고있는 반려동물 부터 뭇지마 폭행이나 데이트 폭력은 물론 최근 진영논란으로 문제가 빈번한 페미니즘 등. 현대 사회에 만연한 여러 갈등의 바탕에는 문명인의 옷을 입은 야만적 행태가 존재합니다. 점점 더 살벌해지는 경쟁 사회에서 현대인은 정신적 야만 상태에서 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