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밀리터리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조선 최초의 로켓무기의 진실

슈퍼스탈리온

08.11.30 10:14:48추천 2조회 2,756

122800746198182.jpg
122800748077062.jpg

최근 '신기전'이란 조선시대 화약무기를 소재로 한 영화가 상영되고 있다. 

 앞서 말하자면, 그 무기의 정확한 명칭은 '화차'라고 불리는 총통(銃筒)무기의 일종이며, 신기전은 화살에 화약을 매달아 쏘는 무기를 말하는 것이다.

  신기전을 로켓으로 본다면 총통기는 일종의 로켓발사틀이라고 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형태는 현대의 다연장 로켓포와 상당부분 유사한 점이 있다.



*국조오례의 병기도설에 실려 있는 화차의 설계도

 14세기 말은 중국에서는 원왕조과 붕괴되고 명왕조가 성립되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와 조선이 왕조교체를 하는 혼란기였다.  그리고 이 혼란기를 틈타 북쪽에서는 유목민족이 남쪽에서는 일본왜구가 극성을 부렸다.
 
  그런데 조선은 일찍이 고려말 최무선에 의해 개발된 화약무기로 인해 극에달하였던 왜구의 해상침입을 격퇴한 바 있었기에, 화약무기의 효용과 위력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고려 당시의 화약무기는 해상에 떠 있는 목조군선을 격침시키거나 화염으로 태울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육상에서는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한편 1392년 왕조교체에 성공한 조선은 세종대왕대에 이르러 차츰 왕조가  안정을 찾아갔고, 그에따라  국방력강화및 육상에서 효율적인 전투를 목적으로 각종 화기를 개발하게 된다.

 세계최초의 로켓무기 대신기전

 

122800755175385.jpg
신기전은 조선시대 화약 추진 화살로 고려 말기 최무선(崔茂宣)이 제조한 주화(走火)를 1448년(세종 30)에 개량한 것이다.

처음만들어질 당시에는  일반나무로 대[幹]를 만들고 가죽으로 깃[翎]을 만들었다. 그러나 나무화살은 만들기도 쉽지 않고 가죽은 구하기 어려우므로, 대나무로 대를 만들고 깃[羽]으로 살깃을 만들어 재 시험하였다. 그런데 과연 그 성능이 우수하여 시험자는 다음과 같이 세종대왕에게 아뢰었다.

 화살이 멀리 가고 단단하여 나무화살보다 훨씬 나으니, 노력은 적게 들고 효과는 갑절이나 됩니다. 또 깃털로 살깃을 만드는 것 역시 편하고 쉬우니, 이 뒤로는 이 예(例)에 의하여 만들고, 모름지기 어교(魚膠)로 살깃[翎]을 붙일 것입니다.

  하지만 대나무역시 습기나 부패에 약하기는 마찬가지인데, 옻칠을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종류에는 크기에 따라 대신기전· 중신기전· 소신기전 등이 있다. 그 밖에 산화신기전(散火神機箭)도 있긴 하지만 대신기전과 같은 규격으로 보면 된다.
 그런데 이 같은 화약무기를 최초의 로켓 발사포로 보는 것은, 지나치게 과장하여 해석한 것이 아니냐는 반론을 제기 할 수 있다.

  우선 중국에서는 1232년 등장하는 비화창(날으는 불창)을 최초의 로켓무기로 주장하고 있다.  당시의 기록에 의하면 비화창은 발사하면 200m정도 날아가 떨어져 사방 6∼7m 정도를 불바다로 만드는 위력적인 것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엄격하게 말하면 금나라 군대가 몽고군에 저항하기 위해 사용한 신무기로 중국이 개발한 무기라고 볼 수 없다.
 더구나 이 비화창에 로켓 무기가 적용되었다고 확인할만한 구체적인 자료는 없다.

 그리고 서양 최초의 로켓 발사포는, 인도군이 사용하던 것을 모방하여 영국의 W. 콩그레브가 1805년 제작한 것이다. 물론 콩그레브의 개발품은 살상력이나 효율성면에서 대신기전보다 앞서지만,시기적으로 상당히 늦은 19세기의 발명품이며 중량도 가벼운 편이다. 
 평균 길이는 1m, 평균 지름은 10cm, 무게는 1∼2.8kg정도이며, 최대 사정 거리는 2천 7백m 였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신기전 경우  1474년 편찬된 「국조오례서례」병기도설에 그 설명및 설계도까지 정밀하게 나와있어, 로켓으로 볼 수 있는 분명하고도 충분한 근거가 있다. 

 우선 대신기전은 1448년 제작된 것으로 시기적으로 서양의 로켓무기보다 147년이나 앞설뿐더러,  길이는 무려 5m가 넘는 17자(521cm)이고 무게는 7~8kg이나 된다. 

  윗부분에 원통형의 종이통(로켓엔진)이 부착된 형태로 이 속에 화약을 채우며, 아래에는 연소가스 배출을 위해 지름 1치 2푼(36.8㎜)의 구멍을 내게 된다. 바로 신기전에 최초의 로켓원리가 적용되었다고 보는 가장 중요한 근거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또한 대신기전의 경우 사정거리역시  1천보(800~900m)가량 되어, 19세기 이전까지의 어떠한 로켓형 무기보다도 가장  무거운 중량을 가장 멀리까지 보낼 수 있었다. 여기에  산화신기전(散火神機箭)은 대신기전과 같은 규격이지만 발화통 내에 철편(鐵片)을 포함하고 있어 살상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대신기전의 사거리가 2km 이상일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데,  압록강이나 두만강 너머까지 적을 요격하기 위해서 그 정도의 사거리를 확보하는 것은 필수적이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122800757571447.jpg

중신기전은 길이 4자 5치(137.9cm)로 역시 휴대하기 어려웠지만 소신기전은 길이 3자 3치(101.1cm)로 병사개인 화기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소신기전의 경우 대·중신기전과는 달리 폭발물이 부착되지 않았다. 중신기전은 150m, 소신기전은 100m쯤으로 추측된다.

 그림처럼 개인화기로서의 신기전은 발화통에 불인 붙인 후 병사가 직접 활을 쏘아야 했다. 물론 정면으로 맞으면 충분한 살상력을 가지겠지만,  지휘장교가 신호를 보내거나 적을 혼란시킬 목적으로 많이 쓰였다.


 이렇게 개발된 무기를 최전방인 4군 6진에 배치시켰음은 물론이고, 보다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 화기를 다루는 훈련까지 실시하였다. 다만 화약무기 제조가 어려워 원할하게 이루어 지진 못하였다. 따라서 총통및 신기전의 연습은 매우 제한적이고 엄격하게 실시되었는데, 중소 신기전의 경우 국경지대인 함경도와 평안도에서만 매년 1회씩 실시하였으며, 대신기전은 2년에 1회씩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이 신기전을 실전에 사용할 때가 왔다.  1451년 정월 김종서 장군이 지키던 압록강 방면에는, 북방유목들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그런데 북방유목민들의 주력은 기마병으로, 조선의 단순한 보기병 보충만으로는 그들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없었다. 특히 압록강과 두만강이 결빙되어, 기마병으로도 자유자재로 넘어 올 수 있게되면, 조선으로써는 감당하기 매우 어려운 위기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김종서 장군은 조정에 최대한 많은량의 신기전을 확보해 줄 것을 요청하였고, 조정에서도 사태의 긴박함을 인식하고 중 신기 3천과 소 신기전4천을 평안도 에 보내도록 명하였다.

 이렇게 김종서장군과 조정의 신속한 화기충원으로 인해 야인들의 적대적인 움직임을 원천봉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징옥등의 변방무장역시 북방야인들을 견제할 무기로 신기전보다 더 뛰어난 것이 없다고 할 만큼 유용한 무기였다. 다만 소신기전의 경우 실용성과 화력에 문제가 되어 생산이 1451년 이후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후 신기전은 중신기전을 주축으로 하여 운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기전의 업레이드 화차
122800762088068.jpg
조선시대 실전에 사용했던 전차(戰車)로 수레 위에 발사장치를 부착하여, 이동이 순조롭고 단번에 여러 개의 활 또는 총을 쏠 수 있게 고안된 무기이다.

 조선시대에만 5가지 화차가 있었는데, 첫번째 화차는 1409년(태종 9) 군기감소속 이도(李韜)·최해산(崔海山) 등이 화약무기를 연구하던 끝에 철령전(鐵翎箭) 수십 개를 장탄한 동통을 수레에 장치하여 달리면서 발사하였다.

  두번째 화차는 1451년(문종 1) 문종이 손수 창안한 문종화차이다.
 우리에게 흔히 신기전으로 알려진 무기가 바로 문종시대 때 고안된 화차이다. 이는 수레 위에 틀을 만들어 중신기전(中神機箭) 100개와 사전총통 50개를 설치하여 심지에 불을 붙이며 차례로 발사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공들여 만든 신기전및 총통무기는 과연 실전에 사용된 일이 있었으며 그 위력은 어느정도였을까?  재차 언급하자면 총통무기는 지자총통, 천자총통처럼 함포화기까지 포함하는 화포무기의 총칭이다.  임진왜란때 우리나라는 오직 해전에서만은 화력의 우위를 보였는데,  그러한 우위가 총통무기의 우수성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입증된 사실이다.

 반면 신기전은 개인화기로서는 별다른 위력을 보여주지 못하였지만, 신기전이 위력은 역시 화차에 장착하였을 때야 다연장 로켓포로서의 위력을 발휘하였다.  이 화차는 임란당시 1차적으로 평양성등에 배치되어 일본군의 북진을 상당기간 저지하는데 활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박진(朴晉)장군이 경주 탈환시 사용하여 큰 효과를 거두었으며, 권율(權慄)장군이 행주산성 전투에도 사용하여 그 위력을 보여 주었다

122800765324886.jpg
최대사거리 36km 현재 우리육군이 보유한
K-136 구룡 다연장 로켓포

 

122800767223697.jpg
조선시대 다연장 로켓포인 화차에서 신기전을 발사하는 모습

 

이처럼 우수한 화약무기를 가지고 있었던 조선이었지만, 끝내  국력 배양에 대한 적극적인 국방체재의 전환은 이루어 지지 못하였다. 더구나 임란이후 중국에서 청왕조가 성립하면서 극심한 내정간섭이 이루어 졌고, 이것은 열악하였던 조선의 화기개발및 도입을 더욱 제한 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발명품이 세상을 바꾸는 큰 힘을 얻기 위해서는, 그 뒤에 따르는 수많은 개선과 노력,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사회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것이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