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창조경제가 뭔가요??

똘츄No3

15.07.28 23:59:38추천 3조회 1,444

현 정부가 자주 하는 말이라서 들어는 봤는데..

 

대체 뭐가 창조경제인지,, 궁금해서

 

인터넷 검색해보니 홈페이지 부터 여러가지 많이 해놨네요..

 

143809532164867.jpg 

143809534373504.jpg 

 

창조경제 정의를 보니..

 

좀 뜬 구름 잡는 소리 라는 느낌이 살짝..;

 

143809539914321.jpg 

여러가지 사례들을 나열해놨네요..

 

 

 

 

143809544113980.jpg 

 

끝으로

 

시사in 홈피에 ' 말 말 말 ' 이라는 코너에서 이런 얘기가 있네요..

 

“세계가 창조경제를 호평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7월24일 17개 대기업 총수를 청와대에 초청해 가진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해. 아직 창조경제의 의미조차 모르는 사람이 태반인데, 세계가 벌써 호평하고 있다니. 조만간 우주가 호평할 듯.

 

 

그냥 그렇다구요 ㅋ

 

 

영주바인 15.07.29 00:05:14

힌두교에서 보면 상위 신중 시바신이 있습니다. 창조의 신이자 파괴의신이죠
시바신은 창조를 위해 파괴를 합니다.
지금은 파괴 중이라 잘 모르는데 다 부숴지고 나면 그때 창조가 뭔지 알듯 합니다.

본오본오 15.07.29 00:45:04

정말 시바(병)신같네요

오르카네 15.07.29 05:12:18

이름을 박창조로 개명하지 그러냐

백정현 15.07.29 10:25:17

2. 창조경제란 무엇인가

2013년, 박근혜정부가 출범하며, 창조경제의 정의를 세 가지로 밝혔다.
? 창조와 혁신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와 시장 창출
? 세계와 함께하는 창조경제 글로벌 리더십 강화
? 창의성이 존중되고, 마음껏 발현되는 사회구현

취임 후 정의된 창조경제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과학기술과 it기술에 접목해 새로운 산업체제[2]와 소비시장을 만들어내 기존산업의 전략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즉, 기업이 주도하는 경제체제에서 개인의 경쟁력을 보완하고 강화해, 개인이 기업에 맞설수 있는 블루오션을 개척한다는 것 같다.

그러나 2014년에 미래창조과학부가 9대 전략산업과 4대 기반산업을 발표했다. 外#外#

우선 9대 전략산업은 다음과 같다.

1.스마트 자동차 : 정보통신기술과 자동차의 융합

2.5G 이동통신 : 4G 대비 1천배 빠른 이동통신 기술 개발삼성짱 저 애플좀 어케 못해?

3.심해저 해양플랜트 : 해저에 매장된 자원을 채굴하여 이송하는 시스템 구축

4.지능형 로봇 : 인공지능이 융합된 로봇기술

5.착용형 스마트기기 : 스마트워치를 비롯하여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컴퓨터 기기

6.실감형 콘텐츠 : 실제와 유사한 경험을 주는 차세대 콘텐츠. 좀더 구체적으로는 홀로그램 등의 기술을 의미.

7.맞춤형 웰니스 케어 : IT와 의료기기의 융합으로 구축한 건강관리 시스템

8.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 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한 재난관전 예측 및 대응 시스템

9.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 태양광과 풍력, 지열과 태양광 등 둘 이상의 에너지를 조합한 친환경 전력시스템

1~3은 대한민국이 기존에 경쟁력을 가진 분야로, 여기에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 자동차 분야에서는 전세계 3대 강국이 되는 목표로 한다. 5세대 이동통신에서는 초고속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미래의 SNS를 비롯, 입체영상과 UHD(초고해상도영상) 및 홀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목표로 한다. 또한 연구개발에 중소기업 참여비중을 확대(25%?40%)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의 제품화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시장창출을 촉진한다.

4~6은 미래신산업 분야이다. 지능형 로봇은 부품 국산화 등에 주력하는 것, 착용형 스마트 기기는 지능형 반도체 및 사물인터넷 연구개발과 연계하여 핵심부품 기술을 갖춘다는 것이 목표이다. 또한 실감형 콘텐츠에 대해서는 각종 홀로그램 기술에 7년간 2400억을 투자하겠다는 대규모의 홀로그램 산업 육성 계획이 발표되었다.

7~9는 공공복지 분야이다. 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을 구축하고 의료법을 정비하고 시범사업을 추진, 동남아 등 해외에 진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재난 안전 관리는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 센서를 이용하여 첨단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020년 세계 시장 10%를 점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대 기반산업은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 및 재료과학의 기초가 되는 기술들이다.

1.지능형 반도체 : 스마트 자동차, 사물인터넷, 착용형 스마트기기 등에 응용되는 기술.

2.융복합 소재 : 경량화되고 고성능화된 신소재를 개발하여 각종 산업 분야에 응용한다. 그래핀 생산 등이 좋은 예로,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에서 추진되고 있음.

3.지능형 사물인터넷 : 사물들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유기적으로 정보를 활용하는 지능형 서비스.

4.빅데이터 : 스마트폰, SNS, 사물인터넷에 따라 폭증하고 있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치다루마 15.07.30 15:20:07

1에서 9까지 된게 하나도 없군요...

백정현 15.07.29 10:26:07

3. 문제점

여기까지 읽고 이게 무슨 개소리인가... 했다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모두가 마찬가지니까.

쉽게 말하면, 답이 보이지 않아요

봉황, 기린, 용, 여자친구와 같은 상상 속의 존재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거 아시죠?

이건 미친 짓이야

이게 구체적으로 뭘 의미하고 어떻게 해야하는지 外아무도 모른다. 여기에 정작 가장 중요하게 의논되어야 할 문화 지체 전반에 대해서는 모두가 함구하고 있다. 이 정도면 의논한다고 나서는 사람들이 전문가인지 좆문가인지 의심될 정도. 대통령이 바뀌고, 경제 발전테마가 정해졌으니 그에 맞춰 사업과 정책을 만들고 진행해야 할 공무원들 조차도 어떻게 해야될지 모른다고 대답하는 사람이 태반이다. 글 아래에서도 나오지만, 노벨상을 수상한 해외의 대학교수에게서조차 헛소리라는 이야기[3]가 나올 레벨이기 때문에 지금 있는거라도 관리 잘하자는 뜻인가 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나무위키 펌

헬네아 15.07.30 00:54:22

창조? 개소립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하는데 ㅋㅋㅋ
대충 게임산업정도가 있겠네요.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