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정치·경제·사회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대한민국 하수관의 현실

지반설계

22.08.09 09:55:08수정 22.08.14 14:58:51추천 53조회 13,173
a37f5e50027cb97647f699d7d9b8b72a_455038.png

 

보통 우오수관은 착공전 위에 쪼꼬미 CCTV 조사 장비를 통하여 조사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땅꺼짐 사고의 원인 중 80% 가까운 원인이 노후 하수관로 때문이거든요

노후 하수관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경우를 말하는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그나마 양호한 편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우수관은 아닙니다 그냥 예시로 보시면 됨)

 

83318568fd4d02406e8827e3948947e7_319299.jpg

 

노후관로가 아니더라도 관로에 대한 유지보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관막힘 현상이 종종 발생합니다.(아래 사진은 우수관)

 

1df878822e656ab01fc482c8b7bf2a44_323500.jpg

 

뭐 전문적인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이건… 딱 봐도 왠지 저기에 비가 오면 막… 그냥 금방 차오를거 같지 않나요?

이런게 나오면 CCTV 조사결과 관내 퇴적물이 ⅓이상으로 장비 진행이 불가하여 조사를 중단함 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이걸 그냥 공사관계자만 알고 끝내냐? 아니죠 관에 신고를 합니다. 승인기관에 보내드리죠

여기서 승인기관이라 함은 보통 구청을 의미합니다. 

 

서울시는 승인기관이 아닙니다.

 

보통 구청 ‘치수과’ ‘상하수도과’ 이런 곳에서 저런 노후 관로의 유지보수 또는 필요시 준설 등의 업무를 수행 합니다.

 

그나마 최근에 설치한 깨끗한 관이면 준설작업이 가능한데

저 위에 노후관로처럼 썩은애들은 건드리면 폭삭 주저 앉을수도 있어서 

 

건드리면 일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방치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렇게 기록적인 폭우 (아마 300~400mm/day 정도)가 쏟아지면 저런 부분들에서 문제가 생기는거죠

 

그런데 담당 주무관들도 뭐 뾰족한 수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예산이 문제죠

 

아 그리고 한가지 더 사실 우리나라 우수관로의 용량은 보통 50년 빈도로 설계되는데

쉽게 말해 비가 200년 빈도나 300년 빈도의 강우가 오면 침수될 수 있다는거죠

뭐 그건 좀 이해를 해야 하는게 200년 300년 빈도의 비를 설계에 반영하려면 어마어마한 싸이즈의 관이 들어가야 하다보니 공사비가 좀 아주 많이 들어가서 그런거니… 저지대 사시는분들은 앞으로 좀 조심하시는게…

 

 

저지대 침수 피해를 입으신분들은

구청 치수과장이나 상하수도과장 멱살을 잡으러 가시면 됩니다.

 

마치 식당에서 밥을 먹다 바퀴가 반만 남은걸 봤을 때의 분노를 가슴에 품고 가셔서 멱살좀 잡으시면 됩니다. 

 

 

 

 

 

지반설계 22.08.09 09:59:36 바로가기

훌륭한 새키네요

기타기타스 22.08.09 09:59:11 바로가기

결국 예산문젠데
그 예산을 누군가 깎았다더라고요

고라니파이터 22.08.09 10:01:13 바로가기

물을 몰고다니는 사나이라고 계시는데 취임하자마자 삭감해버렸죠 ㅋㅋㅋ

기타기타스 22.08.09 09:59:11

결국 예산문젠데
그 예산을 누군가 깎았다더라고요

지반설계 22.08.09 09:59:36

훌륭한 새키네요

아자주핫 22.08.09 09:59:46

술맛떨어지면 안되는 그분?

지반설계 22.08.09 10:00:58

그러니 혹시 이번 강우에 저지대 침수 피해를 경험하신 분이 게시다면
시청이 아니라 구청 치수과장 멱살을 잡으러 가시면 됩니다.

고라니파이터 22.08.09 10:01:13

물을 몰고다니는 사나이라고 계시는데 취임하자마자 삭감해버렸죠 ㅋㅋㅋ

아이고내머리 22.08.09 10:23:24

예산 사과 맛있쪄!

말먹는당근 22.08.09 11:31:43

예산깍고 실무진 공석이네요 ㅋㅋㅋ

점심형인간a 22.08.09 12:15:52

10년 3선동안 뭘한건지 고작몇개월 한사람한테
시스템을 고쳐야지

마스터라이더 22.08.09 10:00:47

근데 그 어느역의 슈퍼맨? 그짤 돌아다니는데. 단순히 쓰레기좀 파냈다고 무릎까지 올라오는물이 싸악 빠지는거 보면, 정말 간단하게 피해를 줄일수 있었는데 방치했다는 생각이 너무 드네요...

지반설계 22.08.09 10:02:02

그건 그나마 다행이죠 약간의 개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잇으니까요

마스터라이더 22.08.09 10:04:49

@지반설계 그래서 더 안타깝습니다.

지반설계 22.08.09 10:04:45

근데 그 분 아마 치수과나 우오수과 담당 주무관일 가능성도 큽니다.
그런일 생기면 다음날 멱살잡힐 걱정에 잠이 안오거든요

푸른블루 22.08.09 10:00:56

역시 신뢰의 닉네임

멘탈이 22.08.09 10:40:51

분기마다 남는돈으로 멀쩡한 벽돌이나 도로 다시 깨지말고 모아서 하수구 보수좀해라..
(공무원한테 들었는데 예산 다 안쓰면 다음 예산 삭감되어서 무조건 억지로 써야된다고)

지반설계 22.08.09 10:43:56

그건 도로과 예산인데 으딜 치수과가 손을대 손을대기는
치수과가 말대꾸?

아시죠? 찡긋~

멘탈이 22.08.09 11:01:11

@지반설계 좀 서로 모아서 어떻게 했음 좋겠는데..참...ㅎㅎ
삭제 된 댓글입니다.

지반설계 22.08.09 11:39:35

문제는 큰비에 물에 잠기는 반지하 사는 사람들이 2번을 찍었다는거죠 ㅋ

lyc405 22.08.10 10:02:26

@지반설계 그사람들 매번 이렇게 당해도 2찍입니다

나라를 팔아먹어도 2찍하시는 분들

쿤타킨테 22.08.09 11:59:31

신도시는 덜 하려나

지반설계 22.08.09 12:18:55

케바케입니다 어디든 저지대라면 침수의 위험이 없다고 할수 없죠

은교응교 22.08.09 12:32:18

공무원은 동네 북이네 ㅋㅋ 뭘 잘못해다고 멱살을 잡히나

지반설계 22.08.09 13:15:47

음? 멱살은 현장 소장도 허구헛날 잡히는데요?

일레느 22.08.09 13:23:08

저런것들만 기본적으로 점검하고 조취 했어도 이정도 피해까진 안생겼을듯..
기본을 소홀히한 오세이돈 책임도 매우 크다고 생각함!

지반설계 22.08.09 13:38:41

다른건 몰라도 치수방재예산 삭감은 욕을 처먹어도 말로 처먹고도 남을 정도로 잘못한 짓이긴 하죠

돈비토 22.08.09 13:23:11

서울도 빗물 빠지는 거대한 관이 있긴한데 쓰레기때문에 하수구가 막혀서 자기역활을 못한듯 함

지반설계 22.08.09 13:39:18

관이 아니라 우수박스(BOX) 라고 합니다.

행복돼지 22.08.09 16:35:30

솔직히 우리나라 하수도 설계기준에서
계획빈도를 지선 10년, 간선 30년으로 잡고있는데
이번 강우 자체가 80년을 때려버렸으면 그건 사실 넘치는게 당연한거죠.
그러니까, 평균적으로 10년에 한번 오는 강우까지만 통과 가능하고, 그 이상의 강우가 오면 넘치는게 맞는거죠.
뭐, 여유율 20% 보긴 하지만.
물론 약간 넘치면 노면수로 보여서 티도 안나겠지만, 지금처럼 80년 때려버리면 답 없는거고.

지반설계 22.08.09 17:11:17

10년 빈도로도 설계하나요? 보통 30년 아닌가요?
신도시는 50년까지도 보구요 10년은 처음 듣네요 10년빈도로 설계하면 심의받을때 빠꾸먹지 않을까요? 겐찮으려나 흐음

행복돼지 22.08.09 18:21:32

@지반설계 하수도 설계기준(2019, 환경부)에 명시되에 있더군요.
근데 요즘은 하수도 설계기준 뿐만 아니라 방재성능목표강우량 자체도 만족하도록 계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방재성능목표강우량이 50년빈도에 5단위 라운드업 해서 여유율도 줬던것같은데,
암튼, 최근 설계되는거나 그렇구요. 방재성능이 나온지 10년쯤 되었나.....안된것같은데,
그 전에 설계된건 하수도설계기준 따라갔다고 봐야죠.

은교응교 22.08.10 14:39:44

그런건 생각안해요. 내가 낸 세금으로 이따위로 일해? 아몰랑. 멱살 내놔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