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맛집·먹방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한국 지방축제에 간 일본녀가 깜짝놀란이유

짝짝짝짝짝짝

24.04.16 13:44:54수정 24.04.17 15:44:57추천 48조회 33,863
7cb8078f3b046fdb903127da49de7147_540817.jpg

고기가 사만원에 오뎅은 한그릇에 만원으로 시작한다고??ㅋㅋㅋㅋㅋ

말려군 24.04.16 13:53:03 바로가기

비쌈.. 비싸서 뽕(투자금) 뽑을라고
바가지 씌운다..라는게 저들의 명분인데
지자체에서 축제 행사장 자리만 내주고
관리를 안해서 지들끼리 돈 벌겠다고
서로 바가지..
축제만 보고 먹는건 외부에서 가져가면 됨
이젠 적기도 귀찮.. ㅠㅜ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일을 안하는거..

김두한 24.04.16 13:57:08 바로가기

그니까요. 결국 또 저기서 저 가격으로 먹는 사람이 있으니 장사가 성립이 되는거죠.
전 그래서 올해도 벚꽃 축제 행사장 가서 구경은 구경대로 하고, 먹는건 약 1KM 정도 벗어난 로컬 식당에서 촵촵했습니다.

Sp복숭아 24.04.16 13:47:17

ㅋㅋㅋㅋㅋ 그렇게 화두되어서 고치라는데 어찌 어떻게 하겠다는 말은 없넹

와이프가짱공스토킹중 24.04.16 13:47:18

축제만 보고 먹는건 외부에서 가져가면 됨
이젠 적기도 귀찮.. ㅠㅜ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일을 안하는거..

김두한 24.04.16 13:57:08

그니까요. 결국 또 저기서 저 가격으로 먹는 사람이 있으니 장사가 성립이 되는거죠.
전 그래서 올해도 벚꽃 축제 행사장 가서 구경은 구경대로 하고, 먹는건 약 1KM 정도 벗어난 로컬 식당에서 촵촵했습니다.

말려군 24.04.16 14:09:53

지자체에서 관리만 하면 됩니다.
그간 변명으론 지자체에서 자리만 내주고 관리를 안..
소홀했다..라고 하는데 사실 따져보면 축제가 생기면
축제관리위원회 같은게 생기는거고 담당 공무원이 있음
물론 공무원 특징 인원은 적고 관리 해야할 일은 많다.
그러니 상인협회나 지역사회 단체에 대부분 위임함.
그 여기에서 누군가 뒷돈 안받아쳐먹으면 관리가 충분히 가능함.
누군가 주머니 챙겨서 눈감아 주니까 자리를 전문 축제꾼들에게
파는거고 그 축제꾼들은 비싼돈 내고 들어온 자리니까
뽕 뽑겠다고 바가지.. 오랜 기간 이어진 전통탓에 관광객들도
축제장에선 늘 비싸니까 그러려니 하고 사먹음. 거기에 여긴
가까우니까 일반 음식점에선 잘 안 파니까 이럴떄 먹는 음식.
이러면서 울며겨자먹기로 사먹음.. 애들은 먹고 싶다고 칭얼거리고..

민주내꺼 24.04.16 16:38:11

@말려군 보통 지자체에 축제 관련 담당자는 시에 한명이니까요. 그나마도 작은데는 다른 업무도 겸직하죠 ㅋㅋㅋ. 메뉴 가격같은것도 사실 사전에 입찰 조건같은걸로 할수도 있죠. 다만 인력이 없음

남자는 사자 24.04.29 15:08:40

@말려군 지자체에서 해도 축제장 주변 땅주인이 임대해줘서 들어 오니 소용없음

버닝고구마 24.04.16 13:48:57

저런 자리 임대료는 싸지 않나?

말려군 24.04.16 13:53:03

비쌈.. 비싸서 뽕(투자금) 뽑을라고
바가지 씌운다..라는게 저들의 명분인데
지자체에서 축제 행사장 자리만 내주고
관리를 안해서 지들끼리 돈 벌겠다고
서로 바가지..

백방댕이 24.04.16 14:17:38

몇 백에서 인기많은 축제는 몇 천까지 한데요

청마 24.04.17 08:44:30

다른곳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예전에 처갓집 근처 시골 작은 축제 보니 장사하겠다고 자리 임대 해놓고
또 그걸 졸라 비싸게 다른사람에게 임대내주기도 하더군요
알고보니 해당 지역 공무원과 지인이었나 가족이었나가 축제 훨씬전에 정보를 받고
미리 자리를 선점해서 그걸 다시 임대 하고 그러더군요
그때 동네가 난리나서 해당 공무원 해고 당했다고 하더니 6개월 뒤 복귀
어메이징 하더이다

말려군 24.04.16 13:51:09

얘가 그 축제장 전문 장사꾼들 바가지 문화?를
언론화 시킨 장본인인가..덕분에 아직 일부지만
지자체들이 행사장 물가 잡기에 나서서 괜찮은
축제장들이 생겨났죠.

이원상 24.04.16 14:08:17

일본은 보통 축제전 음식 가격과 판매종류까지 정해 허가받는 다네요. 위생상태 점검하기위해 직접 만들어서 심사하기도 하고..

단점은
상하는 재료는 못쓰게 되어 있어서 음식종류가 한정되어 있고, 크게돈되는 장사가 아니다 보니 동네주민들이 참여하는 경우도 많아서 맛을 담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함.
장점은 싸고 질서있게 장사함.

한국은
비쌈. 비싼데 맛도 없음. 맛도 없는데 질서도 없음.
비위생적임.

빈유검스봇 24.04.16 14:19:54

와 저 가격인데도 사람봐라..

고라니들의신 24.04.16 14:26:55

옛날과자(산베이, 땅콩과자)도 7만원에 팔아 쳐 먹은 인간들도 있었음.. ㅡㅡ

Nobodyzo 24.04.16 14:46:54

고향갔는데 번데기 오천원에 팔길래
개비싸게 파네 여기도 등처먹네
이러다가 그냥 어머니 드시고 싶다해서
샀더니 10리터? 비닐봉투채로 주더군요
그냥 조금씩 팔라고ㅋㅋ
조금씩 파는거 귀찮으니깐 그래팔더군요

메주똥 24.04.16 15:22:26

그래서 지방축제 같은건 안감. 가봤자 입구차막혀 주차비비싸 먹거리비싸 볼거리없어 노답임.

제임스로건 24.04.16 16:31:48

지방축제상인들중 저리비싸게파는데는 외부상인들이와서 파는거라는데요

사랑방손님과 24.04.16 17:34:09

우린 김밥 싸가던가 포장해가던가 둘 중 하나 인데. 근데 저긴 너무 바가지다.

싼다하라버지 24.04.16 21:22:43

오늘 휴게소 들어갔는데,

아메리카노 한잔이 5,000원 이니...

휴...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