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자동차·바이크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안녕하세요 새차 길들이기 질문 입니다. !!!

뎁프

18.01.01 20:45:26추천 1조회 5,520
151480678811830.JPG

안녕하세요

 

짱공유 형님들 동생님들

 

저에게 새차가 생겼습니다. 차산지는 5개월 됬는데요 

 

출퇴근 용도가 아닌 주말에만 이용하기때문에 키로수가 2천도 안됩니다.

 

차종은 아방스 입니다.

 

지금 계속 새차길들이기를 하고 있는데 997키로쯤에  

 

우회전 차로 에서 차가 갑자기 들어와 급브레이크를 밟았는데 

 

길들이기 도중에 급브레이크 밟으면 안좋다고 하는데 큰 문제가 있을까 걱정입니다. ㅜㅜ

 

물론 운전하다 보면 안밟을순 없지만 그래도 최대한 안밟으려고 했지만 밟아 버렸는데 

 

크게 상관은 없겠죠 ?? 궁금합니다. ^^

나이스진타임 18.01.02 02:47:00 바로가기

전혀 학문적 근거도 없고 기계를 의인화해서 애지중지하는 마음에 생겨난,
그놈의 길들이기ㅋㅋ
처음엔 살살 타야한다, 고알피엠도 간간히 써 줘야한다?
대체 그 처음의 기준은 뭐고 고알피엠은 어디부터가 고알피엠인지.. 근거가 없어요 근거가. 그냥 왠지 그럴거 같은거예요 그냥ㅎㅎ
뭐 피스톤이 실린더에서 자리를 잡아야한다?
일이천 타서 피스톤이 자리잡힐 정도면 십만 넘는 차들은 다 엔진을 바꿔야겠죠.
물론 하체부품은 특성상 자리잡힐 시간이 필요하지만..
내 집에서 조립하고 운행하는 차 아니잖아요ㅋ
이미 조립해서 며칠을 살다 온 차인데..

내 운전습관이 십년 이십년 뒤에 차에 고스란히 나타나는거지
출고해서 일이천 어떻게 탄다고 차가 달라지지 않습니다.
판타지예요ㅋㅋ

나이스진타임 18.01.03 02:03:36 바로가기

얍삽/ 누가 욕을 먹고있죠? 저요?
제 대댓글이 뭣도 모르고 씨부리다가 깨갱하는걸로 보이는건가요? 아 이럼 대화가 안되는데..
설령 내가 진짜 그랬더라도 잘못을 인정하는 사람 면전에 한심하다는 소릴하지 어뜨케..
아니면 밑에 저 같잖은 댓글 보고 하시는 말인가..
에이 모르겠다.

람다함수 18.01.02 12:03:16 바로가기

자동차 길들이기는 근거가 있으며 자동차 매뉴얼에도 명시되는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만 그런 것도 아니고 이십만키로 뛰었어도 외제차... 들도 마찬가지구요. rpm 수치까지 명시된 경우도 있어요. 4500rpm은 잠깐만 넘기고, 그 이하의 rpm으로 140km/h까지만 주행하라, 몇km 주행 하고 나면 천천히 rpm을 올려가라. 그런 식으로요.

다만 세간에 알려진거처럼 뭐 시내주행만 하다가 몇키로 되면 엔진오일 갈고 고rpm 뽑아주고..
이것도 하면 안되고 저것도 하면 안되고.. 길들이기만 끝나면 마음대로 조져도 되고.. 식의 루머가 근거가 없다는거죠.

공회전 금지, 급가속 급제동 금지, 겨울철의 경우 예열, 터보엔진의 경우 적절한 후열 등은 기본이고(이건 길들이기 아니라도 기본이지만 길들이기 기간에는 특히 더 주의..), 유명한 고성능 차종은 길들이기 조건 만족 후 센터 방문하여 진단장비로 제약을 풀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냥, 일반인은 더도 덜도 말고 자동차 매뉴얼대로만 하면 됩니다.

모던워페어2 18.01.01 21:25:56

그정도로는 전혀문제없어요.필요할땐 급가속급정거 다해도되요. 다만 되도록이면 자제하라는거 뿐이죠.

뎁프 18.01.01 22:19:56

감사합니다~~~ ^^

소상남 18.01.01 23:49:47

자동차 출하장 가서 보시면.... 차량 옳기시는분들 풀악셀 풀 브레이크 심심치 앉게 밟으세요 '-';;;
저도 길들이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절대적인건 없어요
너무 걱정하지마세용^^

뎁프 18.01.02 00:08:45

ㅋㅋㅋ 아 그렇게 말하시니까 제가 너무 소심했네요 감사합니다 ^^

얍샵제갈량 18.01.02 00:11:13

요즘 기술력이 좋다고 길들이기 필요없다는 분들도 많은데 저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운동선수들도 준비운동하듯이
차량은 수만가지 부품이 맞물려 작동하는데 뭐 짧게탄다면 큰차이를 알수 없지만 1년 3년 5년 이상 넘어갈때마다
길들이기 한차량과 안한차는 분명 소음 진동 차이가 있습니다

길들이기란 2천 키로 전까지 급출발 급정차등은 삼가해주시구요 터보든 누우든 디젤이든 첫시동후 바로 출발보다는 30초 이상 공회전후 출발 시동 끌때는 시내주행만했으면 상관은 없지만 고속도로 장시간 운전이나 고속주행후엔 후열 1분정도 해주는게 차량에게 좋다고 봅니다

과거 회사 선배가 길들이기도 필요없고 시동걸고 바로 출발하고 주행중 연비주행한다고 기어를 n으로 빼버리고 정차하고 출발할때 d로 바꾸고 바로 출발하는 스타일인데
지금 5년 탔군요 차종이 구형말리부인데 가솔린인데도 달구지나 다름없습니다

저는 차를 좋아하고 아끼는 스타일이라 예열 후열 꼭지켜줍니다 분명 몇년 타다보면 차이점이 발생합니다
렌트카를 타보면 같은 차라도 상태안좋은 차량들이 많은 이유가 말 그대로 내차가 아니니 그냥 막타죠 그로인해 소음도 생기고 진동도 올라오고 하는거라고 보심 됩니다

2천키로 길들이기후엔 고속도로 올라가서 알피엠 골고루 써주면서 ecu학습도 시켜주시고 고알피엠도 써주셔야
차량이 부드럽게 나갑니다 너무 안밟아줘도 안나가요

오래타실거면 길들이기 해주는게 좋습니다

얍샵제갈량 18.01.02 00:14:07

길들이기중이라도 급가속 급정차 몇번은 크게 문제 없으니 걱정은 마세요 수시로 급출발 급정거하지말라는겁니다

얍샵제갈량 18.01.02 10:17:41

밑에 나이스진타임님이 댓글달았네요ㅎㅎ

자동차 명장 박병일님도 길들이기는 필요하다고 하고
자동차 지침서 및 설명서에도 나와있는 내용이며

학문적으로도 나와있는 내용인데??개인의 판단을 내세우는게 맞을까요??? 중고차 살때 이래서 차를 잘아껴준 분의 차를 찾는게 힘든겁니다 ㅎㅎ

댓글 내용중 내 운전습관이 십년뒤 이십년뒤에 나온다는 말은 맞군요 서서히 진동이 생기고 소음이 생기고
물론 어느차는 생기지만 저런경우는 같은년식 같은 차를 비교하면 확실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모야진짜 18.01.02 10:26:38

저도 제갈량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뭐 저는 차에대한 전문지식이 없어서 말하기는 좀그렇지만..
실제로 제 친구두녀석이 30대초반 똑같은 차를 샀었죠..차종은 i30 초기모델이었구요
일부러 마치 비교를 하려는듯 ㅋ 한놈은 차를 엄청 아끼며 길들이기를 하고 작은 기스하나에도 벌벌 떨었고 ㅋㅋ 한놈은 그냥 막타는 스타일입니다 차가 쓰레기 통인지 구분이 안갈 정도로 ㅋㅋㅋ
근데 두 친구의 차를 다 몰아봤는데 확실히 같은 차 임에도 불구하고 다르더군요...

길들이기에 대한 말들이 참 많은데...
확실한건 차던 뭐던 간에 애정을 가지고 아끼면서 사용하면 확실히 다르단 거겠죠..

무한속도 18.01.02 01:16:29

신차 길들이기보다 길들여 지는대..차에..

나이스진타임 18.01.02 02:47:00

전혀 학문적 근거도 없고 기계를 의인화해서 애지중지하는 마음에 생겨난,
그놈의 길들이기ㅋㅋ
처음엔 살살 타야한다, 고알피엠도 간간히 써 줘야한다?
대체 그 처음의 기준은 뭐고 고알피엠은 어디부터가 고알피엠인지.. 근거가 없어요 근거가. 그냥 왠지 그럴거 같은거예요 그냥ㅎㅎ
뭐 피스톤이 실린더에서 자리를 잡아야한다?
일이천 타서 피스톤이 자리잡힐 정도면 십만 넘는 차들은 다 엔진을 바꿔야겠죠.
물론 하체부품은 특성상 자리잡힐 시간이 필요하지만..
내 집에서 조립하고 운행하는 차 아니잖아요ㅋ
이미 조립해서 며칠을 살다 온 차인데..

내 운전습관이 십년 이십년 뒤에 차에 고스란히 나타나는거지
출고해서 일이천 어떻게 탄다고 차가 달라지지 않습니다.
판타지예요ㅋㅋ

겨울낰 18.01.02 09:06:52

정말 속시원한 답변입니다.
판타지ㄲㅋㅋㅋㅋㅋㅋㅋ

흔들리는남심 18.01.02 11:22:50

이게 맞긴해요 ㅋㅋㅋ
피로내구 돌려보면 안정적인 곡선 그리며 시험뛴 차량하고 불규칙하게 뛴 차량하고
마모도나 소음진동이 확실히 차이가 나긴 함
근데 이걸 초반에 살살 몰아주다가 길들이기 끝난다고 거칠게 몰면 그냥 똑같아져요..
문제생기는 시기가 조금 늦어지는것 뿐..

운전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람다함수 18.01.02 12:03:16

자동차 길들이기는 근거가 있으며 자동차 매뉴얼에도 명시되는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만 그런 것도 아니고 이십만키로 뛰었어도 외제차... 들도 마찬가지구요. rpm 수치까지 명시된 경우도 있어요. 4500rpm은 잠깐만 넘기고, 그 이하의 rpm으로 140km/h까지만 주행하라, 몇km 주행 하고 나면 천천히 rpm을 올려가라. 그런 식으로요.

다만 세간에 알려진거처럼 뭐 시내주행만 하다가 몇키로 되면 엔진오일 갈고 고rpm 뽑아주고..
이것도 하면 안되고 저것도 하면 안되고.. 길들이기만 끝나면 마음대로 조져도 되고.. 식의 루머가 근거가 없다는거죠.

공회전 금지, 급가속 급제동 금지, 겨울철의 경우 예열, 터보엔진의 경우 적절한 후열 등은 기본이고(이건 길들이기 아니라도 기본이지만 길들이기 기간에는 특히 더 주의..), 유명한 고성능 차종은 길들이기 조건 만족 후 센터 방문하여 진단장비로 제약을 풀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냥, 일반인은 더도 덜도 말고 자동차 매뉴얼대로만 하면 됩니다.

람다함수 18.01.02 12:18:02

근거 자료

http://www.autotribune.co.kr/1515
http://blog.hyundai.com/1929
http://v.auto.daum.net/v/nrzx9XvIpR

그리고 다른 기계 부품도 새 기계일때는 각 부품의 마모도가 적정 수준이 될 때까지 험하게 굴리지 않는게 원칙인 경우가 많습니다. 위 링크의 말 중 하나대로 "아무리 정밀해도 현미경 수준이 될 수는 없다"가 정답이죠..

나이스진타임 18.01.02 18:02:44

차 조립만 할 줄 아는 현기는 일단 제끼고요.
벤츠 매뉴얼에 나와있듯 급가속제동시 매뉴얼을 지양하라는건 ecu학습 때문이고 학습기간동안 제한하는게 140에 4500이네요. 있긴 있네요 140에 4500.

얍샵제갈량 18.01.02 19:57:38

나이스 진타임
참..한심하시네요
일단 까고보는게 아니라 까려면 제대로 까야 욕을 안먹죠

나이스진타임 18.01.03 02:03:36

얍삽/ 누가 욕을 먹고있죠? 저요?
제 대댓글이 뭣도 모르고 씨부리다가 깨갱하는걸로 보이는건가요? 아 이럼 대화가 안되는데..
설령 내가 진짜 그랬더라도 잘못을 인정하는 사람 면전에 한심하다는 소릴하지 어뜨케..
아니면 밑에 저 같잖은 댓글 보고 하시는 말인가..
에이 모르겠다.

푸푸풉 18.01.02 15:08:22

좆문가 두분 눈에 띄시네 ㅋㅋㅋ

얍샵제갈량 18.01.02 17:52:09

좆문가 수준을 논하기전에 누군지 밝히기나 하죠
뒤로 돌려까기 하지말고?

푸푸풉 18.01.02 18:59:10

바로 여기 님 밑에 계시네요 -_-;;;;;

나이스진타임 18.01.02 18:04:21

님이 젤 한심해요.

얍샵제갈량 18.01.02 19:54:39

제 안티들이 항상 이렇게 돌려말해서 제가 착각을 ;;

연타운 18.01.02 15:18:33

2만도 아니고
겨우 2천키로 길들이기 입니다ㅎ
근거자료가 있던 말던
누구말이 옳든 아니든
그냥 신차이니 안전운전 한다 생각하시고
길들여보세요 ㅎㅎ
차주님이 손해볼거는 없잖아요

그날의설레임 18.01.02 16:04:24

개인적인 생각으론 주행거리 2 ~3천키로 정도까지
너무 고알피엠으로 조지고 다니지만 않으면 크게 문제 없는거 같아요
지금은 폐차하고 없지만 10여년전 2.4 차량 하나 사면서
바로 맵핑하고 쇽바꾸고 휠타이어랑 브레이크 바꾸고 막 조지고 다녔더니 수명이 짧아지긴 하더라구요
2년 5만정도 타고 폐차했네요 ㅡ _ㅠ

나이스진타임 18.01.02 18:06:01

언제부턴가 현기에 대한 불신이 도를 넘어서는 1인입니다.
요즘 신차 뽑기하는거 보면 현기차는 한 오천까지, 아니 일이만까지 길들이기 주행이 필요합니다. 언제 퍼질지 모르거든요.
(현기만 깝니다. 현기차 오너는 죄가 없지요..)

람다함수 18.01.02 20:10:55

현기 gdi는 길 오래 들인다고 빵꾸 안나는게 아니라서 ㅋㅋㅋ 여사님이 조심조심 몰던 5천키로 새차 빵꾸나는거 보고 답이 없다 생각함 아무리 공산품 불량은 어쩔수없다 쳐도 정도가 심한 케이스가 좀 많죠 ㅋ

나이스진타임 18.01.03 07:05:50

네 뻑나지 말라고 길들이기 하라는게 아니라
언제 퍼질지 모르니 살살타라는거죠.

뎁프 18.01.02 22:58:00

와 글 지워야 겠네 이정도면 ㅎㅎㅎㅎㅎ

커피는블랙 18.01.03 09:33:21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는데 핸드폰 첨 사면 일주일동안은 애지중지하며 사용하자나요.
어느 순간부터 침대로 집어 던지거나 막 굴리죠 ㅋ
자동차도 첨부터 막 타는거 보다 살살 타는게 차주 입장에서는 당연한거 아닐까 합니다.
하지만 서킷에서 레이싱을 즐기지 않는 일반인들이 길들이기에 너무 신경쓰면서 운전할 필요는 없다고 봐요.
일반인들이 레드존을 매일 같이 경험하며 운전하는 일은 거의 없으니까요.
전 길들이기 보단 꾸준한 정비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일반인 운전자 입장에서 개인적인 의견 달아봤습니다.

스니커즈사랑 18.01.03 10:56:18

길들이긴 필요 없고 ECU학습은 필요함..

입만열면구라 18.01.04 00:17:43

길들이기고 나발이고 대충타면됨

우리동내왕 18.01.04 01:18:17

2000rpm에서100키로3000rpm에서100키로식으로5000rpm까지 쓰시면서500키로정도타시면되요~

아쿠아맨 18.01.12 11:22:17

지금까지 소유했던 차들 기들이기 해본적 없음 ㅡㅡ;;; 현재 타고 있는 익스3.5 cts v 이것도 해본적 없음. 단 차량 운행 하기전 항상 예열 1-3분 정도는 꼭 해줌 그리고 신차 초반(500-1000km)에는 모든 알피엠을 사용함(고알피엠 까지 모든) . 모든 차량 잔고장 없이 지금까지 잘 타고 있음 . 그 말 많은 베리타스3.6도 최상에 상태로 다른 분에게 넘김

아쿠아맨 18.01.12 11:29:09

그리고 급브레이크 밟았다고 하셨는데, 도로에 몇십미터 스키드마크 날정도로 밟은것이 아니라하면 상관은 없습니다. 만약 그렇게 밟으셨으면 점검은 받아 보셔야해요 현기차는 인생에 한번도 소유해본적이 없어 내구성을 모르지만 점검 받아서 나쁠건 없으니깐요 .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