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엽기유머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한전의 일회용 인간들

Cross_X

18.09.17 22:09:15추천 25조회 11,097

153718964393824.gif 

한전 하청 노동자, 2만2900V 맨손으로…"우리를 개돼지로 본다" 

 

153718966259411.jpg

153718968551915.jpg 

전국에 설치된 전봇대는 약 900만 대. 

그 위를 수년간 오르내리며 전국 곳곳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 전기원은 22,900V의 고압이 흐르는 전선을 직접 손으로 만져야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들은 30도를 훌쩍 넘는 불볕더위에도 고무로 된 방염복을 입고 얼굴 전체를 덮은 채 16m 상공에서 고압의 활선을 만지고 있었다. 

2만 볼트가 넘는 고압선 바로 아래 땀으로 흠뻑 젖은 전기원의 모습은 보는 자체로 아찔했다. 땀에 젖은 옷이 고압선에 스치기라도 하면 0.01%의 실수로 죽음 혹은 사지 절단으로 이어지는 열악한 노동환경. 실제로 최근 8년간 19명이 사망했고, 71명이 화상 및 사지 절단 등 중상을 입는 충격적인 결과를 낳았다. 

“전기 현장하고 다를 바가 없어요. 팔다리 잘리고 이런 것은 똑같더라고요. 

우리나라 배전현장은 전쟁터에 있는 지뢰밭입니다.”

 

취업 준비생들이 가장 입사하고 싶어 하는 기업 1위를 차지한 한국전력 공사. 현금 성 자산만 2조를 훌쩍 넘는 공기업 한전이 ‘직접 활선 공법’을 고집했던 이유는 다름 아닌 이윤추구 때문이었다. 고압선을 직접 만지지 않고 도구를 사용하는 ‘간접 활선 공법’은 20%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던 것.

 




153718973960216.jpg 

피디수첩 180911 방송분

하청업체에서 발생한 사고는 한전정규직원이 아니라고 무재해 일수는 계속해서 올라감...


 

 

피빛월광 18.09.18 03:04:41 바로가기

단순 난독증이거나 사회경험이 없는 금슨저인가

추천봇 18.09.17 22:16:36 바로가기

그놈의돈돈 ㅅㅂ

bbalu 18.09.18 07:29:59 바로가기

상당히 위험한 생각이십니다
도급자가 하도급자에게 업무를 위탁할때는 그업에 수반하는 기술적 난이도와 예상되는 작업위험도까지 유념하여 업무시작전 위탁 사업자 및 작업수행 책임자등과 협의를 통해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만약 도급자가 하도 업에대해 잘모르고 그과정을 간과했다고해도 직간접 책임에서 자유로울수 없는데 한전에서 전기업을 위탁하면서 그위험성을 무시했다면 지탄받아 마땅하죠
피자집 배달원 사례를 예로드셨는데 사장이 배달동선에 위험요인이 있다면 그 동선으론 다니지 못하게해야죠
근로자들이 내가족 내 이웃이라 생각되면 저런 취급하겠습니까 엔지니어는 전쟁터에 투입되는 사무라이가 아닙니다 위험이 예상되면 다른대안을 찾아야합니다 시간과 비용이 더투입도더라도

모닝글로리타 18.09.17 22:16:00

활선공법 좀 하지 말자니까..

김연아신랑 18.09.17 23:53:11

근데 저기 올라가는 노동자들 하루일당이 45만원 정도함;
사실 20받고 안전한일 하면되는데

피빛월광 18.09.18 03:04:41

단순 난독증이거나 사회경험이 없는 금슨저인가

KCK86 18.09.18 03:10:56

왜 안전에 대한 비용을 노동자가 책임집니까??
노동자를 고용하는 회사는 노동력을 사는거지 그사람의 신체까지 산것이 아닙니다 안전은 회사에서 책임져야 할 의무입니다

달콤한백수 18.09.18 06:55:42

잘못된 생각입니다.
저분들이 저일을 20만원 40만원중에 고른게 아니에요.
그리고 비용은 본문에도 있지만 20%차이 입니다. 두배가 아니라....그나마도 노동자에게 고르게 한게 아니라 회사가 쳐먹을 라고 저런 공사를 하는거잖아요..

육전 18.09.18 10:31:12

김연아신랑// 하기 싫으면 하지 말아라 목숨 걸고 할 사람 많다.. 뭐 이런건가?
아님 돈 많이 받으니 징징대지 말고 일해라 이건가?

김연아신랑 18.09.18 13:59:57

나 전기직 종사잔데 ㅋㅋ
현장 상황 모르면 조용히좀
특고 고압 송전탑은60만입니다
안전한일 많고 안하면 됩니다
하루 50이나 주는데 거기 꼭 전기하는사람들
전봇대가아니라 계장이나 시설관리하면 안전하게 괜찮게 돈버는길 많아요 유럽처럼 바이패스공법으로 할수는 있어요 우리나라 산재많은것도 사실이고 바이패스 하더라도 잇고 풀고 하는 작업에서 사고는 나게 되있습니다 그냥 직업군인이라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언제든지 다칠수 있죠
한전애들은 절대 안올라가고 ㅎㅎ 하청사람들만 올라가는데 바이패스를 하던 무정전을하든 정전되는 수용가 몇나오게 되는 상황이 많아여 소비자들 몇시간식 정전되면 그런것도 오지게 욕할거면서
그냥 한면만 말해줘도 전문가들 욕얻어먹네 ㅋㅋ
특고 고압은 사고가 잘안나요 전류가 휘엇버리거든요
229가 사고가 굉장히 잘나는데 그 힘이 사람 팔이나 귀를 날려버릴정도의 힘이 있음
이 일은요 특성자체가 기냥 위험한 일이라니까
그래서 돈많이 주는거요

내가 봣을때 한전이 잘못한거는 폴대 강매한거 그것밖에 없음

동동이33 18.09.19 00:23:16

김신랑님. 미안하지만 님의 사고방식을 허위의식이라고 합니다. 자신이 노동자이면서 사용자의 의식으로 사고 하기 때문이죠. 만약 조금다르게 보다 안전한 방식으로 작업하고 20퍼센트의 추가 비용을 발주처에서 지불하면서 하루 일당을 받는다면 저런 사고를 줄일수 있을텐데 라고 하는게 맞습니다

김연아신랑 18.09.19 01:47:57

저도 전기 자격증이 있고
전주 22.9 교체 할줄알아요 근데 안합니다
다른 제어나 계장 plc 또는 수변전관리 하믄되거든요 그쪽도 일 천지에요 돈은 그것보단 덜받아도 안전하니깐요 생각해보세요 올라가라 등떠민사람 없어요
다들 교육받고 얼마나 위험한지 다 알고 올라가는거에요 송전분야는 더합니다 특고는 비활선을 하더라도 근처 자기장으로 백혈병에 걸리기 더 쉬워요
그냥 3D 직종입니다
우리나라 배정 220 22900 쓰거든요 일본은 110 6600 쓴답니다 더 안전하죠 뭐 ㅎㅎ
그러나 전압을 두배 승압하면 송전거리 송전 전압강하 전압변동률 전선단면적 이런것에서 보면 큰이익이라 우리나라는 이미 이렇게 한거에요
이건 사실 어쩔수가 없으요
다른나라 사고가 덜 나는이유가 전압이 낮고 바이패스를 많이 해서 입니다 중여한건 바이패스를 잡을때도 매우 위험하죠 내가 봣을땐 위험수당이라는게 분명히 있습니다 어쩔수 없네요
이일은 그냥 DMZ지뢰제거 위험수당 많이준 일과 같죠 뭐 원자력발전소 일하는 종사자분들도 같아요
그냥 직업병으로 치부하면 뭔가 빈틈같습니다만
직업병맞죠뭐

지금에 와서야 110볼트로 다시 안전하다고 돌아가겟습니까 ㅎㅎ

그냥 로봇을 개발하거나 좀더 우리식만의 유용한 기구를 만들어야해요 그게 더 빠름

귤♡ 18.09.19 01:51:21

활성공 바가지차 가지오믄 80일당임당

추천봇 18.09.17 22:16:36

그놈의돈돈 ㅅㅂ

백두사이다 18.09.17 22:18:27

경영자가 직접 체험 한 번 하는걸로 경영자격을 줬으면 좋겠다. 서류 경력 좋은 건 알겠는데 시작과 끝은 알아야지. 사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거아냐... 숫자만 보는 경영자는 국영기업에선 좀 그만하자.
사람이 먼저다. 정말...

고용부장관 18.09.17 22:20:51

설계상의 오류.
아무리 절연바가지와 절연보호구를 착용해도
특고압에서는 섬락현상이 발생합니다.

와이프65G 18.09.17 22:21:10

공기업인데 와....

불꽃꽃츄 18.09.17 22:21:23

벼락맞아 죽을놈들

긴줄에또서다 18.09.17 22:25:00

불편하고 불편한 현실.
누군가는 저 일을 해야하고
한전은 하청주고 업체는 하청받고 또 하청주고

고압선 전기원 여러분. 누구든지 조심하십시오.

백두사이다 18.09.17 22:27:41

20% 금액 때문에 사람을 도구로 쓰는 건 불편한 현실 이전에 개선해야 할 문제인데... 아휴 안타깝네여. ㅜㅜ

(ㅡㅅㅡ)a 18.09.17 22:26:33

활선을 허용하는자체가 젙같은거.....

가후문화 18.09.17 22:37:23

전기 문외한이라서 잘 표현을 못하겠지만, 전에 집근처 기둥위에 있는 변압기(?) 같은걸 절단기같은걸로 어떤분들이 교체하시는 작업을 하셨습니다. 떨어져 나갈때마다, 엄청난 굉음이 나더라고요. 귀로 들어도 정말 위험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사진은 정말 끔찍하네요. 개선되어져야 할것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음이 정말 아픕니다.

일루젼 18.09.17 22:39:03


책임자들은 꼭 처벌을 받았으면 좋겠네요

애니콘 18.09.17 22:57:40

22.9kv 안개낀날 벼락맞고 죽을수도 있습니다. 공기중 미세한 수증기 분자가 전기저항을 감쇄시켜..ㄷㄷㄷ

다크테일 18.09.17 23:11:04

극한직업에 산에 전기탑에 올라가서 유격하듯이 점검하는데 ㅜㅜ
진짜 목숨걸고 하시는구나 생각함 그분들도 전부다 하청임

급해요급해 18.09.17 23:23:58

이방송 봤는데
저 마지막짤 배전실장 저새기 하는소리가
활선작업은 선진국에서도 많이 하는방식이라고
작업방법자체는 안전한데 작업자들이 안전수칙을
제대로 이행하지않아서 사고가 발생하는거라고 지껄이더라...

마바자파바아 18.09.17 23:35:01

말이야 쉽지 방독면에 보호복 키트찬다고, 생화학 지대 안전이 보장되냐.
활선공법은 돈아낀다고 사람 목숨으로 도박하는거지

도날드말라키 18.09.17 23:38:02

한전 이 씨팔것들 진짜...

켈로그기운 18.09.17 23:54:27

활선이란게 전기가 통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거죠??

모닝글로리타 18.09.18 00:23:31

ㅇㅇ. 그것도 고압의 전기를.. 지나가다 보면 주황색 고무? 그런걸로 덮고 장갑끼고 일하시던데 보기만 해도 겁남.

고장난키보드 18.09.18 00:04:08

저런 일도 위험하다 생각하고 모두다 안하면 공법을 바꾸거나 할텐데.. 돈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게되는 대목.. 목숨을 담보로 먹고 살기위해 할 수밖에 없는 처지. 참 살기 힘들다.

빌라파워 18.09.18 00:43:52

현장이나 공장에서 무재해 일수 체크하는 뻘짓좀 안했으면.. ㅅㅂ 작업자가 위험하다고 하면 알아 처 듣고 지원도 좀 해주고 장비 교체도 해줘야지 사람이 기계가 되어버리는게 너무 안타깝네요.

5077 18.09.18 03:32:43

잠깐. 여기서 생각을 꼬아보자
과연 한전이 욕먹을 일인가?

한전에서는 유지 보수에 관해서 하청을 준다.
하청업자가 활선공법을 하든 안하든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한전이 하청업자에게 활선공법을 하라마라 할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계약에 대한 의무만 충실히 이행하면 된다. 대게는 체불없이 입금하는것이 되겠다.

그럼 왜 하청업자는 활선공법을 할까?

내 생각은 이러하다.
활선공법을 포기할 시 장비등의 초기 투자비용이 발생하고 이에 대하여 거부감을 가지는것이 아닐까?
저런 전기공사하시는 분들 일당이 40~50이라는 윗분을 뎃글을 보아하니
이 일이 충분히 위험하다는 것을 하청업자도 알고 하청노동자도 알고 있는듯하다.

노동자는 돈 많이 벌고 위험한 일이고 하청업자는 추가비용 안들어가는 일,
노동자는 돈 많이 못벌고 위험하진 않으나 하청업자의 투자가 필요한 일.

선택은 하청업자 그리고 하청 노동자의 몫이다.

한전이 욕먹을 이유가 무엇인가?

5077 18.09.18 03:41:58

이런 의미로 해석하자면 본글의 한전직원의 말은 지극히 상식적이다.

예컨데,
당신이 피자배달을 시켰는데,
피자집 사장이 알바한테 "철도길을 가로질러 배달하라. 대신에 시급2000원 추가하겠다"
알바가 "ㅇㅇ 오케이"
그러다가 사고가 났는데
피자 주문한 사람한테 가서 도의적 책임을 물으면 뭐라고 대답할것인가?

도의적 책임은 피자집 사장의 몫이 아닐까?

입만열면구라 18.09.18 05:45:40

그건 피자집 사장한테 물어봐요

bbalu 18.09.18 07:29:59

상당히 위험한 생각이십니다
도급자가 하도급자에게 업무를 위탁할때는 그업에 수반하는 기술적 난이도와 예상되는 작업위험도까지 유념하여 업무시작전 위탁 사업자 및 작업수행 책임자등과 협의를 통해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만약 도급자가 하도 업에대해 잘모르고 그과정을 간과했다고해도 직간접 책임에서 자유로울수 없는데 한전에서 전기업을 위탁하면서 그위험성을 무시했다면 지탄받아 마땅하죠
피자집 배달원 사례를 예로드셨는데 사장이 배달동선에 위험요인이 있다면 그 동선으론 다니지 못하게해야죠
근로자들이 내가족 내 이웃이라 생각되면 저런 취급하겠습니까 엔지니어는 전쟁터에 투입되는 사무라이가 아닙니다 위험이 예상되면 다른대안을 찾아야합니다 시간과 비용이 더투입도더라도

똘뺑이 18.09.18 08:37:09

하청업자가 다 알아서 할일이면 한전은 왜 있는거임?

케블러 18.09.18 12:05:13

관리감독 예산집행

입만열면구라 18.09.18 05:44:37

제가 2000년 초반에 저거 하다가 사고 나는거 보곤 회사 그만두고 지금은 내선 합니다.. 전공장님 팔하나 날아감..
그당시 활선저공이 25였음..

세계최고한량 18.09.18 08:04:03

한국에선 노동자의 목숨을 갈아서 일을 안하면 대기업이 아니죠

Rolento 18.09.18 11:41:13

근데 한전 민영화 되었음?
왜 수익 따지고 지랄임?

안전에 비용 썻다고 누가 거기다 지랄 한 놈 있나?

있으면 그게 사이코 패스제

케블러 18.09.18 12:06:19

안전에 쓸수있는 비용은 정해져있을걸요. 알아서 더 집행하거나 할수없을듯. 구조자체가 바뀌지않는한

북이 18.09.19 00:09:49

한전 무재해일수 쌓이지 않게해야 조금이라도 바뀌겠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