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해전은 명량해전, 한산도대첩과 함께 이순신의 가장 유명한 전투중 하나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노량해전에 대해서는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전투’, ‘가장 대규모였고 치열했던 전투’, ‘임진왜란의 마지막 해전’ 정도로만 생각하고 그 전투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순신 인생 최대 해전이자 마지막 해전인 노량해전은 어떻게 진행됐을까?
노량해전은 조선군 판옥선 5, 60척, 명군 판옥선 2척(선물받아서 각각 진린과 등자룡이 탑승.) 사선과 호선 합쳐서 300척과 일본군의 안택선과 세키부네 합쳐서 350척가량이 전투한 대규모 국제 해상전이었다.
영화《노량》을 봤다면 이해가 좀더 쉬울텐데, 노량해전은 크게
2. 매복 공격
3. 관음포로 유인
4. 포위
5. 영혼의 맞다이
로 진행된다.
조명연합군에 의해 순천 왜성에 고립되어 자력 탈출이 절망적인 고니시 유키나가는 시마즈에게 구원을 요청하기 위해 진린에게 연락선 하나만 보내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진린이 이를 수락한다. 이순신은 그 연락선을 추격했으나 놓치고 만다.
연락을 받은 시마즈 요시히로는 창선도에 자신의 세력들을 소집했고, 이로인해 조명연합군이 순천왜성을 포위하던 상황에서 역으로 조명연합군이 순천왜성과 창선도의 일본군에게 포위당하는 형국이 돼버렸다.
연락선이 떠나고 며칠뒤 이순신은 고니시가 구원을 요청했으니 수많은 군사가 조명연합군을 공격할 것이라고 예상,
노량해협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진린에게 함께 싸울 것을 청한뒤에 적을 유인, 포위, 섬멸할 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1598년 12월 15일 밤, 이순신의 위장함대가 순천왜성을 완전 함락시킬 기세로 포격을 가한다.
고니시는 이걸 보고
“시발 이순신이 시마즈 오기전에 우리를 먼저 족치려나보다!” 하고 시마즈에게 신호를 보내기 위해 산까지 불태우며 생쇼를 하기 시작한다.
창선도에 있던 시마즈는 그걸 보고 역시나 이순신이 우리를 막으러 노량에 온 것이 아니라 고니시를 공략하러 갔다고 판단, 마침 노량해협에서 순천왜성쪽으로 나가는 물살이 생겨서 노량해협을 신속히 통과한 후, 조명연합군을 고니시와 함께 포위섬멸할 생각을 하고, 이순신의 의도대로 노량해협으로 진격한다.
2. 전투 전개
대략 0시쯤, 시마즈의 일본군이 노량해협을 빠져나오기 시작한다.
일본군은 노량해협을 나오자마자 조선의 매복함대(조선2군)에게 포격을 받기 시작했다.
시마즈는 매복함대의 수가 적은 것을 보고 여전히 이순신의 본대는 순천왜성에 있을 것이며, 수적 우세와 일본 수군의 기동성을 바탕으로 매복함대를 포위하여 섬멸한 후, 빠르게 고니시에게 붙는다는 판단으로 대도 위쪽으로 진격했으나
매복해 있던 진린의 판옥선과 명나라 함대가 교전을 시작한다.
영화에서는 진린은 판옥선도 선물 못받고 전투 중반까지 밍기적대지만 실제로는 이순신에게 선물받은 판옥선을 타고 처음부터 전투에 참여했다.
시마즈는 매복에 두 번 당했으나, 역시 이순신의 본대가 순천왜성에 있을 것이라 생각했으며, 노량해협을 타고 다시 돌아가기엔 바닷물도 역류로 흐르고 있고, 선회력이 좋지 않은 일본 배로 포격을 받으며 350척 이상의 대규모 함대를 뒤로 돌려 후퇴하면 피해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오히려 대도 아래쪽으로 진격하여 조명 매복함대를 따돌리고 순천왜성으로 돌진할 생각을 한다.
일본 함대는 속도가 최대 강점이었기 때문에 죽을 힘으로 달리면 조명연합함대를 따돌리는것이 충분히 가능했기 때문에 합리적인 판단이었으나,
여기까지도 이순신의 계획이었다.
일본군이 관음포 앞까지 돌격하자, 매복해 있던 이순신 본함대(조선 1군)이 시마즈 함대의 측면에서 등장하여 함대의 허리를 끊어내며 돌격한다.
상대적으로 우세한 체급으로 허리에 침투하기만 하면, 전후좌우 사방에 포를 장착한 판옥선의 특성상 적의 중간에서 사방으로 화력을 투사하며 일본군의 허리를 꿰뚫을 수 있었고, 지휘부가 위협받는 일본군은 혼란에 빠진다.
이때쯤 고니시 유키나가는 자신이 이순신에게 속은 것을 알고 시마즈를 버리고 도망가버렸다.
어마무시한 피해를 입고 관음포에 갇혀버린 시마즈는 관음포 포위망을 죽기 살기로 뚫느냐, 아니면 그냥 죽느냐 둘중 하나뿐이었다.
시마즈는 상대적으로 전력이 약한 명 함대쪽을 공략하여 나갈 생각으로 명함대쪽에 돌격을 명령했다.
특히 야간전이라 서로 식별하고 사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에 초근접전으로 진행됐으며, 백병전도 여러번 있었고
이 과정에서 등자룡은 명나라 함선이 쏜 포에 맞아 팀킬 당했고 진린은 포위당했으나 이순신에 의해 구출된다.
오전 6시쯤, 명군쪽으로의 돌파가 실패하고 절망에 빠진 시마즈는 관음포에서 꼼짝없이 포위섬멸당할 위기에 놓인다.
더이상 물러날 곳이 없던 시마즈는결국 최후의 발악을 준비하는데, 한창 전쟁중도 아니고 철수한다고 육지의 군영도 전부 정리하고 온 터라 더이상 물러날곳이 없었기 때문에모든 것을 건 영혼의 한타를 시작한다.
이때 시마즈군은 오히려 대장선인 조선 1군 쪽으로 돌파를 시도했고, 의외로 이게 먹혀서 포위망이 일부 뚫리게 된다.
이때의 발악으로 시마즈를 포함한 약 50척의 배가 일본으로 돌아갔으며, 이순신이 전사하고 노량해전은 조명연합군의 승리로 끝이 난다.
0홀랑0
추천 15 조회 3,820 7시간전빛고을속정글
추천 12 조회 3,584 7시간전소년이라고
추천 4 조회 3,376 7시간전대박또쪽박
추천 5 조회 3,637 7시간전꾸울꼬물
추천 3 조회 3,758 7시간전뱅쇼
추천 12 조회 3,761 7시간전소년이라고
추천 7 조회 3,863 7시간전헬인어셀
추천 8 조회 3,728 7시간전대박또쪽박
추천 8 조회 4,091 8시간전웨이빙플래그
추천 9 조회 3,802 8시간전계라안
추천 12 조회 4,700 9시간전중중스님
추천 42 조회 11,245 9시간전돈다옵스트
추천 11 조회 4,705 9시간전_Alice_
추천 13 조회 5,198 10시간전_Alice_
추천 5 조회 4,755 10시간전_Alice_
추천 12 조회 5,378 11시간전전소미
추천 28 조회 10,476 11시간전_Alice_
추천 32 조회 8,918 11시간전전소미
추천 7 조회 5,117 11시간전_Alice_
추천 15 조회 5,600 12시간전수괴의힘
추천 40 조회 11,264 12시간전아이U어른ME
추천 14 조회 6,070 12시간전월월왈왈
추천 5 조회 6,045 13시간전국군탈모총장
추천 44 조회 12,980 13시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