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이번 대선처럼, 선거에 무속과 미신(개인적으로 둘을 별개로 봅니다)이 깊게 들어온 적이 있나 싶네요.
아주 예전에, 손 없는 날에 경선하자 같은 주장한 사람들도 있긴 했지만…이 정도로 깊게 관여 된 적이 있나 싶네요.
토론회 날짜도 어거지로 변경하고…
그래서, 이왕 이리 된 거, 정말 재미로 유력 후보들 관상을 아주 조금만 봐봅시다.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진 마세요.
1번 후보.
왕의 상은 아닙니다.
듣는 자의 상을 가지고 있고, 욕심이 굉장히 많아, 이루려는 의지가 굉장히 강합니다.
정치인으로 대성할 수 있는 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권력에 대한 욕심이 특히 강한데, 그걸 본인이 사용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2번 후보.
왕의 상입니다.
목표에 대한 욕심이 굉장히 강하고, 어떻게든 손에 쥐려고 하는 상입니다.
특수 공무원으로 대성할 수 있는 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권력에 대한 욕심이 강한데, 그 자리에 앉고 싶기 때문 입니다.
대략적으로 보면, 두 사람의 상은 비슷하면서도, 결이 다릅니다.
욕심이란 부분, 그 중 권력에 대한 부분에서 두 사람은 모두 대단한 욕심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한 사람은 그걸 사용하기 위해서, 한 사람은 그 정점의 자리에 앉고 싶어서라는 차이가 있죠.
1번 후보는 듣는 자의 상을 가지고, 이루고자 하는 바를 위해 권력을 탐하고, 실행하기 위해
주변의 의견을 경청하고, 수정합니다. 현대 정치인으로 대단히 좋은 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본인의 욕심에 의해 모인 권력의 부스러기를 먹는 자들을 조심해야 합니다.
2번 후보는 왕의 상이나, 왕의 종류는 많습니다. 국가의 왕이지만 암군,폭군도 있고, 거지들의 왕도 있고..
권력에 대한 욕심, 특히 눈 앞에 목표가 보이면, 주변을 보지 않고 저돌맹진하는 스타일 입니다만,
그 자리에만 욕심이 있지, 그 권력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 지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주변에 좋은 참모와 뛰어난 인재가 많다면, 용상에 앉아 좋은 왕이 될 수 있지만…현대는 왕정국가가 아닙니다.
본인이 자리에 앉아 만족하는 동안, 그 권력은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니…측근의 전횡을 조심해야 합니다.
이 정도일까요?
솔직히 2번 후보에 줄 대고 있는 사람이라면, 저도 2번을 지지할 겁니다.
크던 작던 콩고물이 떨어질 테니까요.
하지만, 객관적으로 누구 지지할꺼야 라고 물어본다면, 1번 입니다.
정치는 미래에 대한 투자이고, 개선이어야 하니까요.
그래서, 누가 될꺼 같냐구요?
대한민국은 왕정국가가 아니잖습까? 제 답은 그렇습니다.
아아아커커커
22.02.08 20:40:34
아임OK
추천 2 조회 65 10분전VENDETTA
추천 4 조회 122 26분전아임OK
추천 9 조회 333 1시간전붸상구
추천 1 조회 395 1시간전말먹는당근
추천 6 조회 715 2시간전말먹는당근
추천 14 조회 744 2시간전찢석열
추천 11 조회 842 2시간전찢석열
추천 9 조회 1,107 2시간전머니게임
추천 39 조회 4,212 4시간전머니게임
추천 8 조회 2,222 5시간전fatlips
추천 5 조회 2,002 5시간전척팔라닉
추천 6 조회 4,439 11시간전머니게임
추천 31 조회 8,487 14시간전머니게임
추천 61 조회 13,345 14시간전낙지뽁음
추천 26 조회 7,618 14시간전낙지뽁음
추천 56 조회 18,068 16시간전VENDETTA
추천 48 조회 18,662 17시간전VENDETTA
추천 13 조회 6,577 17시간전VENDETTA
추천 43 조회 14,747 18시간전VENDETTA
추천 23 조회 9,132 18시간전아나킨스카이
추천 32 조회 12,933 18시간전VENDETTA
추천 45 조회 18,637 20시간전찢석열
추천 44 조회 20,173 20시간전다크테일
추천 71 조회 21,725 21시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