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ARS(자동응답시스템) 여론조사의 신뢰도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한국조사협회(KORA)**는 ARS 방식의 여론조사를 금지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발표했습니다.(지난 11월 27일)
ARS조사가 가지는 주된 문제점은 ARS 조사의 응답률이 지나치게 낮아 조사 결과가 모집단을 제대로 대표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최근에 발표된 여론조사의 조사 개요입니다.
응답률이 3.5%입니다.
응답률이 너무 낮을 뿐 아니라, 응답률 산출 방식에도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응답률은 ‘접촉 후 응답 완료 사례수’를 ‘접촉 후 거절 및 중도 이탈 사례수 + 응답 완료 사례수’로 나눈 비율로 계산됩니다.
그러나 ‘접촉 실패 사례수’(통화 중, 부재중, 접촉 안 됨)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응답률은 실제로는 더욱 낮게 추정될 수 있으며, 조사 결과의 신뢰도는 더욱 낮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낮은 응답률은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약간의 과장을 덧붙이면, 전화를 걸어온 상대 번호가 아는 번호인지 모르는 번호인지 확인가능한 현대 사회에서는 ARS 조사가 사실상 다음과 같은 모집단을 조사하는 셈입니다.
비응답 편향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
조사 대상자의 관심 부족
개인적 사유로 응답 회피
시간적·물리적 제약
조사 방식의 문제
ARS 여론조사가 계속 사용되는 이유는 비용이 매우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전화면접조사는 전문 전화 조사원이 응답자와 직접 통화하는 방식으로, 응답률이 높고, 조사 결과의 신뢰도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하지만 인건비와 공간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반면, ARS 조사는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매우 저렴하게 조사할 수 있지만, 응답률이 낮고 모집단을 제대로 대표하지 못해 신뢰도가 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ARS 조사는 신뢰도보다 비용 절감이 우선시된 결과입니다.
여론조사 결과를 해석하실 때에는 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살펴보시기를 바랍니다.
위의 내용은 글쓴이의 과거의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쓴 글이며, 최신의 이론을 담고 있지는 않음. 이로인해 오류가 있을 수도 있으나 책임지지 않음.
해바라기1
25.01.12 17:05:35
VENDETTA
추천 76 조회 20,954 2025.04.06VENDETTA
추천 36 조회 16,212 2025.04.02수괴의힘
추천 14 조회 15,838 2025.03.22행복짱공러
추천 29 조회 17,104 2025.03.11수괴의힘
추천 13 조회 7,693 2025.02.08수괴의힘
추천 11 조회 6,631 2025.02.08수괴의힘
추천 63 조회 17,375 2025.01.31수괴의힘
추천 8 조회 3,396 2025.01.30붸상구
추천 2 조회 5,503 2025.01.23원기옥고양이
추천 34 조회 8,046 2025.01.17JohnNa
추천 13 조회 9,815 2025.01.15JohnNa
추천 3 조회 3,404 2025.01.15카카쿠닷컴
추천 11 조회 7,430 2025.01.12붸상구
추천 4 조회 4,245 2025.01.09영화조아
추천 31 조회 13,454 2025.01.04소쑈
추천 37 조회 13,474 2025.01.03수괴내란의힘
추천 55 조회 20,233 2024.12.31원기옥고양이
추천 6 조회 7,558 2024.12.31수괴내란의힘
추천 15 조회 13,371 2024.12.21붸상구
추천 2 조회 6,930 2024.12.16수괴내란의힘
추천 43 조회 11,203 2024.12.10lukelee25
추천 28 조회 7,039 2024.12.07재미있는짱공
추천 48 조회 18,987 2024.12.04Wilbur
추천 39 조회 9,159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