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자유·수다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질문이있습니다 !!

브루스성

15.02.12 07:12:04추천 1조회 2,234
142369272215347.jpg
저는 04 뉴스포티지 타고있습니다 ㅋ
디젤 차이구요 .. 근데 아는 형님이 qm5인데 주유할때보니 시동을 안끄더라구요???
휘발유차량은 폭발가능성?? 때문에 꼭 꺼야한다고 알고있고.. 디젤차는... 뭐 저는 시동을 끄긴합니다만..
찾아보니 정확한 답변이 없어요...
디젤차!! 주유중 시동 끄는가요 아님 켜놓은 상태로 주유하는가요..???그리고 옛날 차종과 요즘 차종 상관없나요???

검은날개v 15.02.12 13:58:39 바로가기

안달려고햇는데..음-_-
터보는 그자체가 이미 고속회전을 하기위해 나온 겁니다..
위에서 말씀하셧듯 건식터보에 들어가는 엔진오일은 터보 베어링, 샤프트의 윤활작용때문에 들어가는것이지
냉각작용 을 목적으로 두고 그 역할을 하는건 아닙니다.

터보 임펠라는 하우징과 붙어있지않고 선풍기 날개처럼 떨어져있기때문에
열이받으상태에서 바로멈추엇다고 들러붙거나 하지않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엔진 작동절차인 시동 OFF 시에도 동일합니다.

외려 엔진오일을 떨어뜨리거나, 오일펌프가 나쁘거나, 어떤이유로 오일공급이 안되엇을때
베어링과 샤프트부분이 붙지요

이런 비정상적인 이유 이외에 단순 도로주행에서 또는 시동 on/off 시의 열을 식히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터보자체의 결함밖에 없습니다.

애초 터보는 설계되어질때 고온의 환경을 견디도록 그 재질이 결정되어 나오고
별도의 냉각장치없이 자연냉각이기 때문에 윤활유만 있다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맞는것입니다.

주유시의 시동 off는 터보 와의 연관보다는
1. 에너지 절약
2. 주유시 우발적인 스파크에 의한 화재위험 대비
3. 주유중 조작사고로 인한 자동차 움직임 방지
4. 연료의 연료라인 이동시의 불안정 흐름 방지 (불완전연소로 이어짐 -> 슬러지 및 매연, §#& 발생)

로 인하여 권장?사항입니다.

p.s 휘발유는 점화실 내에서 발생한 불꽃이 연료라인을 타고 탱크까지 와서 터지거나 하진않습니다.
그러나 인화점이 낮아 자그마한 불에도 불붙을 소지가 디젤보다 높기때문에 더 주의를 해야하는 이유입니다.

P.S2 : 터보의 온도는 흡입하우징쪽은 찬공기가 들어가므로 온도에 대해 걱정이없으며
배기하우징쪽의 온도는 고속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샤프트,베어링의 열보다는
엔진 연소후 나오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주된 원인입니다. 그래서 터보 배기하우징쪽은 배기매니폴더와함께
항상 페인팅나 도금이 벗겨집니다. 육안으로도 엔진 고RPM시 벌겋게 되는게 확인가능하구욤

관광가이드 15.02.12 07:52:49

휘발류차량이 시동걸려있는 상태에서 주유 가능하고 디젤차량이 위험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건 밑에 분이..

돈내놔2 15.02.12 11:25:40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젠장 15.02.12 08:14:55

휘발유가 발화점이 낮아서 위험합니다

디젤은 터보챠져 손상 때문에 안끄는거예요~_~

젠장 15.02.12 08:16:00

그리고 디젤 발화점이 굉장히 높습니다

검은날개v 15.02.12 10:55:56

근데 시동을 끄고 안끄고가 어떤 터보차저 손상을 발생하나요 ?

이그너스 15.02.12 14:39:43

터보차져는 가 고속중에하게 되면 터보안에 임펠러가 뜨겁게 달구워져서 돌고 있습니다....바로 시동을 꺼버리면 오일이 열을 식히기도 전에 중지되면 눌러붙거나 변형으로 인하여 터보가 사망하수도 있습니다..아마 법적으로 디젤차는 터보 손상방지를 위하여 주유중에 시동을끄지 않아도 된다고 알고 잇습니다..

검은날개v 15.02.12 10:54:59

인화점(flash point:Flammpunkt)이란 표준대기압 하에서, 개방된 용기 안의 연료를 증발시킬 때, 외부불꽃에 의해 인화(引火)가 가능한 혼합기를 형성하는 최저온도를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디젤연료의 특성값 및 고유특성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2 - 자동차디젤기관, 2011.4.10, 도서출판 골든벨)

휘발유의 인화점은 20℃ 이하이고, 경유의 인화점은 55℃ 이상이다. 독일의 경우, 휘발유는 위험등급 최대(AⅠ)로, 경유는 위험등급 AⅢ으로 분류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디젤연료의 특성값 및 고유특성 (최신자동차공학시리즈 2 - 자동차디젤기관, 2011.4.10, 도서출판 골든벨)

고로 주유시에 정상적외 우발적 화재발생 위험도는 휘발유가 높습니다.

젠장 15.02.12 11:00:05

시동을 끄면 엔진오일이 순환을 못합니다 터보차져 자체가 만알피엠까지 올라가는 부품이라 굉장히 고열이 되죠 그상태서 시동을 바로 끄면 터보챠져 자체가 고열에서 엔진오일 없이 식게된다면 안에 터보안에 회전하는 날개부분이 고착되어버립니다

검은날개v 15.02.12 11:45:12

음 그럼 자동차 에서도 습식 터보를 사용하나요 ??

젠장 15.02.12 11:49:10

터보 엔진오일 들어갑니다

C_komi 15.02.12 12:45:36

어차피 운행 끝나면 시동끄고 세워놓잖아요... 차이가 있나요?

이그너스 15.02.12 14:44:25

요즘차들은 주행후 최소 1분~2분 공회전후 시동끄는게 좋습니다..

브루스성 15.02.12 12:26:40

음음.. 그럼 결론은 04스포티지 제차나 요즘나오는 신차나 디젤차량이면 시동을 켜놓고 주유하는게 좋다는건가요?????

이그너스 15.02.12 14:40:48

네 디젤은 시동키고 주유하셔도 법적으로도 아무 문제없습니다.

이우이우 15.02.12 12:33:53

휘발류는 어떻고 디젤은 어떻고를 떠나 무조건 시동 끄세요..
기본매너고 주유소마다 붙어 있잖아요..주유할때 시동 끄라고..
혹시나가 한번 터지면 혼자 당하는게 아니고 남에게 까지 피해주고
뉴스 나옵니다!!

gofd 15.02.12 13:07:13

디젤차는 시동바로끄면 터보나갑니다

zacks 15.02.12 13:52:33

휘발류는 점화방식이기 때문에 시동을 끄셔야하구요
경유는 인화점도 낮고 압축착화식이기 때문에 시동 안끄셔도 무관해요

검은날개v 15.02.12 13:58:39

안달려고햇는데..음-_-
터보는 그자체가 이미 고속회전을 하기위해 나온 겁니다..
위에서 말씀하셧듯 건식터보에 들어가는 엔진오일은 터보 베어링, 샤프트의 윤활작용때문에 들어가는것이지
냉각작용 을 목적으로 두고 그 역할을 하는건 아닙니다.

터보 임펠라는 하우징과 붙어있지않고 선풍기 날개처럼 떨어져있기때문에
열이받으상태에서 바로멈추엇다고 들러붙거나 하지않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엔진 작동절차인 시동 OFF 시에도 동일합니다.

외려 엔진오일을 떨어뜨리거나, 오일펌프가 나쁘거나, 어떤이유로 오일공급이 안되엇을때
베어링과 샤프트부분이 붙지요

이런 비정상적인 이유 이외에 단순 도로주행에서 또는 시동 on/off 시의 열을 식히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터보자체의 결함밖에 없습니다.

애초 터보는 설계되어질때 고온의 환경을 견디도록 그 재질이 결정되어 나오고
별도의 냉각장치없이 자연냉각이기 때문에 윤활유만 있다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어야 맞는것입니다.

주유시의 시동 off는 터보 와의 연관보다는
1. 에너지 절약
2. 주유시 우발적인 스파크에 의한 화재위험 대비
3. 주유중 조작사고로 인한 자동차 움직임 방지
4. 연료의 연료라인 이동시의 불안정 흐름 방지 (불완전연소로 이어짐 -> 슬러지 및 매연, §#& 발생)

로 인하여 권장?사항입니다.

p.s 휘발유는 점화실 내에서 발생한 불꽃이 연료라인을 타고 탱크까지 와서 터지거나 하진않습니다.
그러나 인화점이 낮아 자그마한 불에도 불붙을 소지가 디젤보다 높기때문에 더 주의를 해야하는 이유입니다.

P.S2 : 터보의 온도는 흡입하우징쪽은 찬공기가 들어가므로 온도에 대해 걱정이없으며
배기하우징쪽의 온도는 고속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샤프트,베어링의 열보다는
엔진 연소후 나오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주된 원인입니다. 그래서 터보 배기하우징쪽은 배기매니폴더와함께
항상 페인팅나 도금이 벗겨집니다. 육안으로도 엔진 고RPM시 벌겋게 되는게 확인가능하구욤

젠장 15.02.12 17:20:56

터보가 고온일시 베어링에있는 오일들은 탑니다 그래서 후열을 하는것이고요 타면서 베어링이 고착되는것이고요
굳이 터보가 윤활작용만 한다면 순정차중에 자동후열 기능을 넣지는 않겠죠 순정차가 후열 기능있는 차들 있습니다

커피는블랙 15.02.12 14:52:52

저도 디젤차를 얼마전에 뽑아서 알아보고 다녔는데요.
예열과 후열 관리를 해줘야 한다고 하네요.
그래서 전 예열은 800~850rpm까지 해주고, 후열은 고속도로 주행후 휴게소 갈때는 터보상한다고 후열을 꼭해주라고 하고, 그 외 시내주행에서는 굳이 안해줘도 된다고 하네요. 어차피 주차할때 천천히 시간을 두고 하기 때문 자연스럽게 후열이 된다고 합니다.
참~ 주유소에서는 전 시동 끕니다.

노드님 15.02.12 16:21:10

안꺼도 되긴하는데 정말 위험하죠
주유소에서 담배펴도 되긴하는데 위험해서 안피는것과 같은 이치ㅠ

고구마고 15.02.13 10:40:45

디젤인데 터보 안 달라붙던데.. 매번 바로 시동 풀가속 바로 끔 히히 성격이 급해서..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