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 짱공일기장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공상) AI의 태생적인 결함

사과맛요플레

24.03.19 15:17:41추천 18조회 370,559
a5d76123cdb2ef0a1b0c0b731a5c7549_493381.jpeg

 

 

ChatGTP4.0 버젼이 나온지도 이제 막 1년이 지났다.

너무나 자연스러운 이 일반언어 인공지능의 기능은

심지어 사실 사람이 채팅하고 있는거 아니냐부터 이제 스카이넷 초기 모델이 만들어진거 아니냐는 호들갑까지

단연 23년도의 화재의 중심에 있었다.

 

0594ad334bc18cb7e216c4f43d46f6f8_577556.jpg
가만히 있어라 휴먼

 

99b7a29fb0b9bc38a00cf9c34adbd03b_390247.jpg
이젠 네티즌 다 된 우리 지티피짜응

 

 

그런데 최근,

 

한국에선 “특이점이 온다” 의 저자로 유명한 레이 커즈와일 선생께서 AI의 태생적 결함에 대해서 언급을 하여 큰 파장이 일고 있다.

 

1cf7339023e6c66d8d3a6189e2ea2189_317211.jpg
레이 커즈와일 선생

 

미래학자이기도 한 그는, 

“특이점이 온다”를 비롯한 그의 서적에서 2029년에는 모든면에서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ai의 출현을 예측하였고

2045년에는 인간은 스스로 창조해낸 인공지능과 융합하는 해, 이 시점을 특이점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그의 이런 예측이 단순한 예언이 아닌 이유는 나름의 합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ac31740868650fdc7b148c3c32fa816d_789950.png
지난 110년 동안 인류의 컴퓨터의 연산능력표
(1000불 인풋 대비 초당 연산능력)

 

이 표에서 보여지는거 처럼 인류의 컴퓨터 연산 기술은 경제, 사회, 전쟁 등등의 요소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아주 완만한 우상향 선을 그리고 있다.

이 연산표의 지속을 상정하고 나온 예측의 커즈와일 선생의 예측이다.

 

 

 

 

그런 그가 최근 말한 ai의 환영 (hallucination), 

현재 모든 학습형 ai 모델들의 태생적 한계점을 말하여 화제가 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AI는 태생적으로 “나는 그걸 모릅니다.” 라고 답을 할 수가 없다는 점이다.

 

 

항상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해답을 찾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현존하는 딥러닝 방식의 ai는

근본적으로 모른다고 답을 못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점이다.

 

대중에게 공개된 오픈 ai들이 혹여나 모른다고 대답하는 것은 공개된 버젼들에 걸려진 일종의 lock 때문에 그렇게 반응 하는 것일 뿐, 이런 제한이 걸려있지 않은 순정 개발자 버젼으로는 절대로 “나는 모릅니다.” 라고 대답을 하지 않는 다고한다.

 

 

809abdf0ddbebd7a330fb2198be51305_333652.jpg
AI: 어…음…모르겠는디유?

 

이게 무슨 문제가 되는가?

 

커즈와일 박사에 의하면 이제 ai가 모든 면에서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날이 대략 5년 가량 남았다.

그 이후부턴 ai의 연산 이후 도달한 결론을 인간들이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그 ai 도달한 “최선”의 결론이 ai로서는 최선일지는 모르나 틀린 결론일지 아닐지 판가름을 할 능력이 인간에게서 없어진다는 의미이다.

 

전에도 언급한적 있는 예시인데,

 

해성 충돌이 지구에 확정되었고 이는 인류 멸종이 확실시 되는 가운데

인간은 스스로 이걸 막을 방법이 없어서 ai에게 물어봤더니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을 북동쪽으로 122.51m 이동시키십시오” 라는 결론을 내렸고

여느때와 다름없이 인간은 이 결론에 도달한 근거를 아무리 설명을 들어도 이해가 되지 않았음.

 

하여 이게 복잡계의 수많은 확률을 계산한 이후에 이렇게하면 인간의 종말을 막을 수 있는 진짜 수단인지

아니면 ai의 “최선”의 결론이지만 결국 인류의 종말은 막을 수 없는 틀린 결론인지 알 방법이 없어진다는 점인데,

 

현재 딥러닝 기반으로 탄생할 인류의 인공지능은 인간의 직관을 벗어나는 결론을 내릴때 마다 이 의문점에 직면할 점이라는 것이다.

 

 

 

커즈와일 박사의 “특이점” 이후로는 인간이 ai의 결론을 이해하고 아는 게 아닌 “믿어야” 하는 영역이 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신종 종교의 탄생을 의미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필자의 ai 신흥종교 공상 에피소드 :

 

https://www.jjang0u.com/board/view/writer/15297521/1?search=%EA%B3%B5%EC%83%81&search_type=title_content

 

https://www.jjang0u.com/board/view/writer/15297621/1?search=%EA%B3%B5%EC%83%81&search_type=title_content)

 

526b73b83a4b338e823f6f493cbb66ee_919307.png
성모 GPT 이십니다. 예를 갖추세욧!

 

 

 

 

 

터미네이터의 스카이넷 미래가 아니라

 

이제야 겨우 스스로 만든 덫인 종교에서 자유로워질까 하는 시점에서

 

다시 스스로 노예가 되는 선택을 하게 되는 인류가 미래일 가능성은 한층 더 높아졌다.

 

 

 

 

 

 

 

 

 

 

 

 

 

 

 

 

 

 

 

 

 

 

 

 

 

 

 

 

 

 

 

 

 

 

 

 

 

-끄읏-

븞새 24.06.22 13:58:48 바로가기

모르겠다는 말을 할 수 없어 어떻게든 해답을 주워 섬겼는데 듣는 입장에서는 그것이 진실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없다는게 뭔가 부모와 자식의 관계 같기도 하네요

배팅겨 24.06.22 15:53:14 바로가기

ai : 알아먹지도 못할거 가만히 있으세요

븞새 24.06.22 13:58:48

모르겠다는 말을 할 수 없어 어떻게든 해답을 주워 섬겼는데 듣는 입장에서는 그것이 진실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없다는게 뭔가 부모와 자식의 관계 같기도 하네요

민주내꺼 24.06.22 14:00:42

왜냐고 물어보면 되지 않을까? 왜 그런 결론을 도출했어?

배팅겨 24.06.22 15:53:14

ai : 알아먹지도 못할거 가만히 있으세요

얌얌이~ 24.06.23 05:45:26

왜라고 해서 아무리 인간한테 설명을 해줘도 인간은 이해 못한다고 본문에 나왔있어요

육식코끼리 24.06.22 16:40:45

그래서 네이버 뺏기나요?

Sicut 24.06.22 17:32:11

태생적 한계 : 목적 지향일 수 밖에 없음
진정한 AI라면 로봇이 전장에서 도덕적 판단으로 살상을 거부하거나 진영 전향도 가능해야

똘뺑이 24.06.22 17:37:57

다양한 ai를 두고 교차검증 시켜야지

똘뺑이 24.06.22 17:44:09

또한 치명적이지 않은 난제를 통해 ai가 제시하는 인간이 이해하지 못하는 해결방법이 옳은 결과를 가져오누지 미리 시험해봐야징

잭프로스트 24.06.22 18:52:18

언젠가 도달할 결론은 정해져있습니다 ㅋㅋㅋ
“인간은 지구에 있어서 바이러스다”

BERT 24.06.22 20:12:23

도대체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뭔지 파악하는게 너무 힘들어

글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없음

책을 좀 많이 읽으세요

시간이 많고 쇼츠나 유튭으로 단편적 지식만 습득하는 사람인듯

사과맛요플레 24.07.12 09:54:26

어...음..걍 해룡님 능지의 문제 아닐까요? ㅎㅎㅎ
커뮤 "일기장" 게시물에서 "글 구조"를 비판하고 있는거나

본인은 맨날 병신같은 댓글이나 쓰지 글은 하나도 없는 주제에 남에 글에 이상한 소리나 처빨고 계신.... ㅠㅠ

Nobodyzo 24.06.22 20:25:05

그냥 나무위키같은 세퀴네 주저리 주저리
신빙성 있는 말만 늘어 놓지만
그게 정확한 정보냐? 하면 몰루~~로
일관하는 ㅋ

Revenant 24.06.22 21:57:25

알파고가 바둑으로 인간을 이기고 최고의 바둑기사는 이제 Ai가 되었습니다.
이제 사람의 기보를 보고 학습하지 않고 Ai들끼리 바둑규칙에 입각해 바둑을 두며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사람이 봐선 왜 저런수를 두는지 알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하네요.

이제 모든 지식산업 분야에서 이런 일이 생길 것 같습니다.

사람보다 더 뛰어난 결과물을 가져오는데 인간의 사고방식으론 그 방법이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죠.
인류는 서서히 진화해 왔고 태어나고 학습하고 죽는걸 반복하면서 문자라는 것으로 지식을 전달해 왔는데
AI는 죽지도 않고 심지어 쉬지도 않고 24시간 학습을 합니다.

그저 인간활동의 보조도구로써의 AI는 대찬성이지만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일반 인공지능의 개발은 규제해야 한다 생각합니다.
인간 복제를 막은것 처럼요.

인간을 뛰어넘는 일반 인공지능이 탄생하는 순간
인간은 더이상 만물의 영장이 아니게 됩니다.

제생각에는 24.06.23 09:41:35

이미 바둑 분야 뿐만이 아니라 모든 컴퓨터를 사용한 게임산업 안에서는 "핵" "자동사냥" 등 사람의 연산속도를 상회하는 어떠한 부분을 자동화 하는 걸로 한계를 정합니다.

자동차 분야도 이제 서서히 운전보조 > 자동추자 > 자율주행 > 자동운전으로 가겠죠.
이미 인간의 연산속도를 뛰어넘은지는 오래지났어요..

저는 AI의 마지막 한계라면, 스스로에게 질문하지 않는다는 것 하나일까요?"
인류에게 반문하는것보다.. 본인 스스로를 탐구하고 질문하여 완성시켜가는것이 인간의 모습 그자체니까요.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