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자유·수다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컴퓨터 부품선택에 관한 고찰

Gigan

13.10.24 17:21:22추천 10조회 1,954

138260274488379.jpg

 뭐 저도 잘 알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나 그래도 구매자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끄적여 봅니다.

물론 저보다 훨신 잘아시고 이쪽에 종사하시는분들도 두루 계시는것 같으니 댓글로 추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설을 좀 섞어 보자면 많은 분들이 문의하실때 뭐 가격선이 어느정도에서 어느정도까지 여유가 있다 라고 말씀하시면 답변하시는분들도 좀더 세부적으로 답변이 가능합니다.

물론 시세나 동향등을 좀더 검색하셔서 구입을 고려하시면 더욱이 좋겠지만...바쁘고 관심도 없고 그냥 성능이 어느정도 맞춰지면 되는데 하시는분들이 많으시니 답변을 구하는 글이 많은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대략 저가 PC들은 다나와 맞춤PC가 더 사양이 좋은경우도 있으니 잘 비교해 보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장사하시는분들이 뭐 부품선택에 있어서 어느정도 빠지는 제품들을 사용하는건 사실이나 몇십년 쓸것도 아니니 적당한 선에서 합의보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분류는 7가지로 나누겠습니다. CPU / 메인보드 / 램 / 그래픽카드 / SSD / 파워 / 케이스및 쿨러

 

1. CPU 선택

i3는 논외로 치고 AMD는 사용경험이 없기에 인텔제품 위주로 갑니다.

i5 와 i7의 선택... 물론 i7이 좋습니다!!! 당연한거죠...

그런데 가성비가 문제입니다. 사실상 i7급으로(k제품포함)가시면 상급으로 가시는게 좋다고 보는게 좋습니다.

그외에 뭐 게임이나 영상관람용?!등으로 가시면 i5가 좋습니다. 쉽게 풀어서 i7은 전문가용 i5는 보급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굳이 그래픽 작업이나 초고사양 게임을 돌리실게 아니시라면 i5만으로 충분합니다. 요즘은 1150소켓 통일로 가다 보니 나중에 필요에 의해 CPU만 교환하셔도 되는부분이라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그리고 CPU선택에서 K가 붙으면 오버클럭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이제품은 일반 제품보다 보통 4만원정도의 차이가 있으므로 선택시에 보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오버클럭에 대해선 아래쪽에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2. 메인보드(마더보드)의 선택

보통 아수스 & 기가바이트 입니다. 나머지 제품들은 솔직히 논외라고 보고 끄적이겠습니다.

메인보드 선택시 메인이 되는것은 칩셋입니다. 현제 나오는 제품에서는 Z87 / H87 / B85 / H81 제품들이 있는데

순서대로 보시면 됩니다. Z87은 현제 보드에서 유일하게 오버클럭을 지원하는 모델입니다. 그러니 K제품선택을 안하시면 갈 필요가 없습니다. 고가제품이겠죠?!

보통 H87이나 B85제품입니다. H81은 최저가 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램슬롯2개 그래픽슬롯1개) H87경우 Z87에서 오버클과 DSA라는 기능을 뺀 제품입니다. DSA는 SSD의 속도를 올려주는 기능입니다.(설명은 여기서 끝내겠습니다. 서술하면 너무 본문이 길어질듯;;검색해보세요~) 그리고 B85 H81보다 좀더 높은보드로 램슬롯이 4개와 SRT라는 저용량SSD를 탑재해서 시스템의속도를 전체적으로 올려주는 기능입니다. 물론 순서대로 그기능들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론은 오버클럭하면 Z87 SATA3를 6개 쓰고 싶은데 돈이없다 H87 걍 보급형쓰겠다 B85 그런거 다 필요없고 가격이 젤싼거 h81가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iBORA / STCOM / 제이씨현 뭐 이런것들은 유통사입니다.(AS와 관련된 것이니 검색해보시고 선택하세요)

[추가] 메인보드 보시다가 예를들어 H87m이나 H87mi나 h87i가 붙는 재품들이 있는데 이것은 메인보드의 규격입니다. 폼펙터라고 하며 보통은 조립시 ATX를 많이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무것도 없다 하는것은 ATX사이즈이고요 M은 마이크로ATX로 슬림PC등에 사용되는보드입니다.

mi나 i는 미니ITX라는것으로 초소형PC에 사용되는 보드이며, 플렉스ATX도 비슷한 종류인데 거의 안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익스텐드ATX는 서버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3. 램(메모리)의 선택

걍 간단하게 말하겠습니다.

삼성이나 팀그룹모델이 저렴합니다.

그리고 그냥 8기가 2개 낑구세요....

왜 8기가로 2개 낑구라고 말씀드리냐면 나중을 위해서입니다. 나중에 컴사양이 대폭적으로 변경되었을때 분명 그때면 기본으로 쓰는 메모리가 8기가가 될겁니다. 현재는 4기가가 기본으로 갑니다.(제 기준에선;;)

사람도 두명일떄가 좋은것이므로?! 듀얼로 가는게 정석이다!라고 생각하세요.

결론은 고사양 8기가 x 2

보급으로 가시면 4기가 x 2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4. 대망의 그래픽의 선택!

선택이 가장 어려운 부분입니다. 다른부품들의 경우 필요에 의해 선택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래픽의 경우 애매한부분들이 많습니다. 요즘같은경우 그래픽카드의 순환이 굉장히 빠르다 보니 몇달만에 신제품들이 쏟아 지고 있어서 선택이 더욱 힘든부분이 아닐수가 없습니다.

예전에는 게임이면 무조건 엔당 그래픽 작업이라면 암당이였습니다만 현재는 이런것도 많이 무너졌기때문에 그것도 문제고요. 현재 많이 사용을 하시는부분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보급형 750부터 고급형 780 또는 그이상의 그래픽카드의 선택시에 가장 중요한건 돈! 입니다.

가장 많은 돈이 들어가는 부분으로 자신과의 타협이 중요합니다. 현재 가격대가 760이 30만원대로 형성되었고

770이 50만원때 형성 780이 80만원때 입니다. 대력 25만원잡고 뛴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여기서 오버클럭사양으로 가시면 좀더 비싸지는건 당연한거고 Ti버젼같은경우 700시리즈의 경우 아직 출시가 안되었으니 말을 안하겠습니다.

굳이 700시리즈 안가셔도 600시리즈중에 성능이 비슷하지만 좀더 저렴?!하기 때문에 그쪽으로 눈을 돌려보시는것도 좋습니다.사실상 700은 600라인 업그레이드 버젼이라고 보시는게 편합니다. 30만원 이상 넣기 싫다 하시면 600시리즈로 찾아보시는걸 권합니다.

그리고 AMD(ATi)의 경우 현재 R9 280x제품이 770이랑 성능은 동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카탈리스트가(ATi의 그래픽드라이버)예전에 문제가 많았으나 요즘은 많이 좋아졌다 하더군요;;

앞으로 나올 290x가 나오게 된다면 현재 엔당에서는 완전쪽박차게 됩니다. 290x의 예상가격은 60만원때 중후반정도가 예상되어지는데 780Ti가 780과 티탄의 중간 가격선으로 나온다고 하네요.

그러니 하이엔드 싸움에선 암당이 우세하다고 생각됩니다.

헛소리 그만하고 결론만 말하면 현재 700시리즈 구입하시지 마시고 적당한 사양에서 놀고싶다 하시면 650TiBOOST제품으로 찾아보세요 그리고 하이엔드나 준하이엔드 시리즈가고 싶다 하시면 290x출시를 기다리시거나 280x가세요.

벤치마크도 찾아보시고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라는점을 염두하고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5. SSD의 선택

요즘은 거의 기본옵션이 되었다고 봐도 무방할정도로 다들 SSD를 선택하십니다.

한가지만 이야기 할께요. MLC사용하는 프로모델 아니면 보지도 마세요...뭐 요즘 EVO니 뭐니 TLC강화모델로 나오는데 아직 아닌듯합니다.

삼성, 플렉스터로 가시길 추천(한가지 말씀드리면 현재 삼성은 SSD A/S안합니다. 시게이트에서 A/S하니 참고하시길)

 

6. 파워

파워 선택시 중요한것은 안정적인 전원공급입니다.

파워도 제조사가 많은데 이것만 생각하고 구입하시면 됩니다.

FSP급 이상의 파워제조사를 선택(FSP는 파워의 메인구성품을 판매하는곳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곳에서 제품을 구입 외관포장및 기능추가 등을 더하여서 유통사에서 판매하는형식으로 나옵니다)

제품의 무상 수리기간은 얼마나 되는가?(길수록 좋겠죠)

브론즈급 이상의 제품인가(요 등급은 파워의 전력효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전기기에 보시면 등급있는거랑 같은것)

사실상 콘덴서나 뭐 그런것까지 깊게 따지면 머리아프기 때문에 그냥 이정도 선에서 보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이 3가지만 조합하셔도 선택폭이 그리 많지는 않을것이므로;;

 

7. 케이스 및 쿨러의 선택

케이스 선택에 있어 가장 많이 보시는 순서가 돈 > 디자인 > 기능(쿨링성능 및 슬롯 케이블정리의 용이함등등)

하지만 기능 > 돈 > 디자인으로 보시면 기능이 따라와 주면 어짜피 가격이 높습니다. 그리고 디자인도 어느정도 따라와 주고요. 제질또한 다르고 고급스러움이 느껴집니다. 당연한거지만...

이게 처음에는 괜찮지만 나중에 가서는 하드를 확장하고 사제쿨러를 장착할시에 케이스가 작아서 결국 케이스도 다시 지르는 사례들이 종종 계실겁니다. 그럴바엔 그냥 처음부터 좋은 케이스 사서 끝까지 가지고 가시는게 좋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쿨러의 선택에 있어서는 저같은 경우엔 오버클럭을 안하여도 취향에 따라 넣으시거나 벌크제품이 시끄럽다 느끼시면 넣으면 되는거라고 봅니다. 저도 보드 변경하고 나서 설치가 귀찮아서 벌크쿨러를 사용해 봤는데 너무 시끄러워서 다시 장착했습니다. 결국 취향입니다. 필요에 의해서 좋은제품 찾아서 넣으시면 되고 아니면 그냥 사용하셔도 되는 부분입니다.

수냉식같은경우엔 좀더 지식을 쌓으시고 넣으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공랭만으로도 충분히 조용하다고 느끼는 편이며, 오버클럭이나 추후에 좀더 지식등을 쌓으시고 설치해도 늦지 않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추가로 오버클럭 같은경우가 아니고서는 램에 방열판 달려있는 모델...정말 쓸때 없습니다;;
뭐 구입하시는분이 멋있네!하고 지르시는건 마음이시지만 그게 싼것도 아니고;; 그리고 오버를 하실생각이 있으시면 처음부터 잘 알아보시고 구입을 하셔야 합니다. 안되는 모델을 구입해서 오래 썼는데 오버클럭 한번 해봐야지~했다가 안되면...결국 내가 잘못한것이고 후회만 할뿐이므로 잘생각하시고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추가] 요즘은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H78이나 B85모델도 오버클럭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쓸때없는 말들이 많이 들어가서 엄청 장문이 되었는데;;

저보다 고수분들도 많고 하시니 좋은 댓글 달릴거라고 생각하고 글 마칩니다.

       

법인_카드 13.10.24 20:13:28 바로가기

CPU
게임을 전혀 안한다. GXXXX 시리즈 - 가격대 5~8만 : 보통 그래픽카드까지 사용않는 경우가 많음,
게임을 하지만 고사양으로 즐기진 않는다. i3 - 가격대 15만 : 듀얼코어지만 하이퍼스레딩 지원으로 같은 듀얼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을 내보여줌.
게임을 하며 고사양도 즐긴다. i5 - 가격대 20만 중 후반 : i7급 이상의 성능을 요하는 게임 자체도 드물고 이정도 수순에 오르면 그래픽카드에 투자를 함이 더욱 옳다.
난 돈이 많아서 고사양게임 즐겨도 되거나 특별한 고성능을 요한다. i7 - 30만원 중반 : 더 올라갈만한 고지가 그다지 없다. 이 이상 올라가는 사람은 이 글을 읽지 않아도 되는 사람들이다.

메인보드(회사설명은 잘 모르겠음 ㅠ_ㅠ)
구성 : 알파벳, 숫자1, 숫자2. 알파벳 - 보드의 특성, 숫자1 - 세대를 의미. 소켓구분으로 사용가능, 숫자2 - 성능차(?)
알파벳 - Z : 오버클럭이 필요하다. 그럼 Z 시리즈. 성능, 가격 모두 동 세대 중 비싸다.
H : 슬롯이나 내부 구성 등을 조절한 보드. 쓰기에 유용하지만 굳이 성능이 나아지는 것은 아니기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그다지 선택지 않는 보드.
B : 일반적인 보급형을 의미. 허나 성능상 H와 차이가 거의 없으며 내부 구성이 조금 빈약하기도 함. 그카나 CPU사제 쿨러 장착 시 간섭의 영향을 염두해야함.
숫자1 - 8 : 1150 소켓을 지원함. 현재 나오는 하스웰을 의미. 7 : 1155소켓을 지원함. 아이비브릿지를 의미. 6 : 1155소켓을 지원함. 샌디브릿지임. 하지만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아이비브릿지 적용가능.
숫자2 - 사실 큰 의미 없음.

그래픽카드 - 개인적으로 중요시 생각하는 건 A/S와 정숙성. 저는 엔비디아는 컬러풀, 라데온은 사파이어를 추천.
지포스 구성 : 숫자1 숫자2 숫자3 - 숫자1 : 세대를 의미.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전성비가 좋다. 숫자2 : 그래픽카드의 등급을 의미. 높을수록 동 세대 그래픽카드 대비 성능이 좋다. 숫자3 : 그닥 필요없다. 거진 0임.
라데온 구성 : 숫자1 숫자2 숫자3 숫자4 - 숫자1 : 세대를 의미.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전성비가 좋다. 숫자2 : 그래픽카드 등급의 첫번째. 높을수록 같은 숫자3 대비 성능이 좋다. 숫자3 : 그래픽카드 등급의 두번째. 높을수록 같은 숫자2 대비 성능이 좋다. 숫자4 거진 0이다.
저사양 유저 - 지포스 650, 라데온 7750 추천. - 싼 맛에 쓰는 카드들로 성능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개인적으로 비추.
중사양 유저 - 지포스 660, 라데온 7850 추천. - 가성비로 가장 좋았던 그카들. 지금은 조금 과거의 영광이 되어가는 중.
고사양 유저 - 지포스 760, 라데온 신형 r9 290 추천. - 신형 그카로 단연 가성비가 높음.(이정도면 거진 왠만한 게임은 다 된다고 보면 됌.)
초고사양 유저 - 이 글을 읽을 필요가 없다. 자기가 알아서 잘 맞춘다.

SSD
추천은 2가지. 플렉스터와 삼성.
64기가 제품은 사용성에 비추천. 128기가 제품을 현재 필자도 사용중.
ssd는 안정성이 가장 중요. 그런 면에서 두 회사 제품을 추천하며 대략 15만원 안쪽.

파워
파워 = 브랜드라고 해도 될 만큼 브랜드 파워가 쌔다고 생각함. 믿고 쓴다고 보면 됌.
FSP,마이크로닉스,슈퍼플라워,Topower 등이 일반적으로 많이 나오는 추천 회사 제품. 가격도 적절하고(100W에 만원), 브론즈등급 이상의 제품을 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도 많음.
시소닉, 안텍은 조금 더 고급 파워를 지향함. 가격대도 두 회사 제품에 비해 높으며 성능도 그러하다고 함. 하지만 써* 못함. 현재 필자는 슈플 사의 제품을 사용 중.

RAM
8기가 이상되면 큰 차이 못느낀다는 얘기는 많지만 역시 경험해* 못해서 모름. 허나, 4기가와 8기가는 충분히 체감이 가능하다고 여김. 게다가 64bit 운영체제를 택한다면 필히 8기가는 구비하도록 하자. 또한 8기가 단일보다는 4기가 듀얼구성이 더욱 좋다는건 말할 필요가 음슴체. (i7 1세대의 x보드들을 쓰는 경우는 트리플 구성이 가능하다고 함. i7 1세대 쓰는 사람은 이미 그런 거 다 알고 있음!) 회사는 윗 글쓴 분과 마찬가지로 두 회사 제품 추천. 램에 다는 방열판 얘기도 공감함.

케이스
개인적으로 윗 글쓴 분과는 달리 케이스 - 디자인>가격=성능 이라 여기는 지라, 필자는 흰색 7만원 케이스를 고름.
3rsystem, 다양하고 많이들 사용하는 브랜드.
한정테크, 현재 필자가 사용 중.
abko 제품은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평이 좋지 않아서 염두에 두지 않았음.
케이스가 비싸니 좋은 점을 몇 가지 말해보자면, 구성이 잘 짜여서 내부 정리나 간섭에 비교적 수월하고 쿨링 성능, 하드 진동 등도 잘 잡아준다고 생각함. 게다가 디자인은 말할 것도 없고 강판의 두께 또한 두꺼워 단단한 느낌을 줌. 물론, 저렴한 회사 제품을 산다고해서 컴퓨터 성능이 급 저하 되는 건 아님. 개인적으로 뽀대성이 가장 많이 쓰이는 제품이라고 생각함.

CPU사제쿨러.
사용해보진 못했으나, 검은나라에선
노오버(CPU쿨러 자체의 성능에 좀 불만족하거나 소음에 불만족) - 바다 2010 많이 추천했음. 정숙성이 좋다함.
오버(CPU쿨러 성능으론 무리가 가기 시작) - 잘만 9900max 제품 추천이 많았음. A/S계의 삼성이라 불리는 잘만이기에 더더욱 그랬는 듯.

참치나주시죠 13.10.24 17:50:37

약간 의견 공유하자면 i5는 보급형이라기에 i3와 펜티엄 시리즈가 아직 잘 있는편이고 20만원대 이상이기때문에 보급형으로 불리기는 무리가 있을듯 합니다. SSD같은경우도 TLC제품인 에보같은경우도 성능은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TLC가 수명이 짧다는 분들 몇백년 사실지는 모르겠으나 벤치상에서 100년넘게 사용이 가능한 수명이 나왔는데도 수명예기를 하는거보면 답답하지요. 그렇게 치면 기업용 SLC제품말고는 써서는 안되는데 말입니다.

Gigan 13.10.24 18:22:08

뭐 몇백년 사용할건 아니지만서도 쓰기속도 차이도 있고 해서 PRO가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EVO가 아무리 좋아봐야 MLC보단 안좋다고 생각되네요.

풍운~ 13.10.24 17:57:03

안그래도 컴터 맞출려고 했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i5 4세대 4670으로 갈려고 하는데.. h87 아수스 어떤모델이 좋나요???
h87 프로 플러스 87i등 몇가지 있네요....
(그런데.. z87이랑 오버된다는거 차이뿐인가요?? 오버에 관련된 부품만 좋은걸로 해서 비싼건가? --)

Gigan 13.10.24 18:11:30

H87뒤에 붙은 M i는 폼펙터 약자입니다. M은 마이크로ATX로 슬림PC에 사용되고요 i가 붙는건 MINI-ITX입니다.
M-ITX보드는 초소형PC를 조립할때 사용하는 보드이니 보통은 ATX인 플러스나 프로제품을 사용합니다.

풍운~ 13.10.24 18:13:17

아.. 그런거였군요;;;;; 잘못구입할뻔했네... 감사합니다;;;

Gigan 13.10.24 18:23:56

폼펙터에 대해서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울한토깽 13.10.24 18:24:29

잘못..까진 아니고 본인 원하는 사양에 맞게사면됩니다.

일반 데스크탑 미들케이스에 설치한다쳐도 마이크로버전에 필요한기능 다잇고하면
그냥 M짜리 사서 달아도 무방하거든요 (가격도 싸구요)

니나아냐 13.10.24 18:40:44

메인보드에서 아수스 기가바이트만 언급하는데, 이쪽 보드는 조금 비싸죠. 가격을 낮추고 싶다면 애즈락이나 이엠텍 보드 추천합니다.

Gigan 13.10.24 18:46:23

ASrock 보드 사자마자 3번교환받은 안좋은 추억이 있어서;;

니나아냐 13.10.24 18:49:53

저는 오버클럭해서 쓰고 있는데 에러뜬 적은 없네요.

Gigan 13.10.24 18:53:43

뭐든 결국 뽑기 인것 같네요;;

법인_카드 13.10.24 20:13:28

CPU
게임을 전혀 안한다. GXXXX 시리즈 - 가격대 5~8만 : 보통 그래픽카드까지 사용않는 경우가 많음,
게임을 하지만 고사양으로 즐기진 않는다. i3 - 가격대 15만 : 듀얼코어지만 하이퍼스레딩 지원으로 같은 듀얼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을 내보여줌.
게임을 하며 고사양도 즐긴다. i5 - 가격대 20만 중 후반 : i7급 이상의 성능을 요하는 게임 자체도 드물고 이정도 수순에 오르면 그래픽카드에 투자를 함이 더욱 옳다.
난 돈이 많아서 고사양게임 즐겨도 되거나 특별한 고성능을 요한다. i7 - 30만원 중반 : 더 올라갈만한 고지가 그다지 없다. 이 이상 올라가는 사람은 이 글을 읽지 않아도 되는 사람들이다.

메인보드(회사설명은 잘 모르겠음 ㅠ_ㅠ)
구성 : 알파벳, 숫자1, 숫자2. 알파벳 - 보드의 특성, 숫자1 - 세대를 의미. 소켓구분으로 사용가능, 숫자2 - 성능차(?)
알파벳 - Z : 오버클럭이 필요하다. 그럼 Z 시리즈. 성능, 가격 모두 동 세대 중 비싸다.
H : 슬롯이나 내부 구성 등을 조절한 보드. 쓰기에 유용하지만 굳이 성능이 나아지는 것은 아니기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그다지 선택지 않는 보드.
B : 일반적인 보급형을 의미. 허나 성능상 H와 차이가 거의 없으며 내부 구성이 조금 빈약하기도 함. 그카나 CPU사제 쿨러 장착 시 간섭의 영향을 염두해야함.
숫자1 - 8 : 1150 소켓을 지원함. 현재 나오는 하스웰을 의미. 7 : 1155소켓을 지원함. 아이비브릿지를 의미. 6 : 1155소켓을 지원함. 샌디브릿지임. 하지만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 아이비브릿지 적용가능.
숫자2 - 사실 큰 의미 없음.

그래픽카드 - 개인적으로 중요시 생각하는 건 A/S와 정숙성. 저는 엔비디아는 컬러풀, 라데온은 사파이어를 추천.
지포스 구성 : 숫자1 숫자2 숫자3 - 숫자1 : 세대를 의미.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전성비가 좋다. 숫자2 : 그래픽카드의 등급을 의미. 높을수록 동 세대 그래픽카드 대비 성능이 좋다. 숫자3 : 그닥 필요없다. 거진 0임.
라데온 구성 : 숫자1 숫자2 숫자3 숫자4 - 숫자1 : 세대를 의미. 높을수록 일반적으로 전성비가 좋다. 숫자2 : 그래픽카드 등급의 첫번째. 높을수록 같은 숫자3 대비 성능이 좋다. 숫자3 : 그래픽카드 등급의 두번째. 높을수록 같은 숫자2 대비 성능이 좋다. 숫자4 거진 0이다.
저사양 유저 - 지포스 650, 라데온 7750 추천. - 싼 맛에 쓰는 카드들로 성능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개인적으로 비추.
중사양 유저 - 지포스 660, 라데온 7850 추천. - 가성비로 가장 좋았던 그카들. 지금은 조금 과거의 영광이 되어가는 중.
고사양 유저 - 지포스 760, 라데온 신형 r9 290 추천. - 신형 그카로 단연 가성비가 높음.(이정도면 거진 왠만한 게임은 다 된다고 보면 됌.)
초고사양 유저 - 이 글을 읽을 필요가 없다. 자기가 알아서 잘 맞춘다.

SSD
추천은 2가지. 플렉스터와 삼성.
64기가 제품은 사용성에 비추천. 128기가 제품을 현재 필자도 사용중.
ssd는 안정성이 가장 중요. 그런 면에서 두 회사 제품을 추천하며 대략 15만원 안쪽.

파워
파워 = 브랜드라고 해도 될 만큼 브랜드 파워가 쌔다고 생각함. 믿고 쓴다고 보면 됌.
FSP,마이크로닉스,슈퍼플라워,Topower 등이 일반적으로 많이 나오는 추천 회사 제품. 가격도 적절하고(100W에 만원), 브론즈등급 이상의 제품을 구할 수 있으며 사용자도 많음.
시소닉, 안텍은 조금 더 고급 파워를 지향함. 가격대도 두 회사 제품에 비해 높으며 성능도 그러하다고 함. 하지만 써* 못함. 현재 필자는 슈플 사의 제품을 사용 중.

RAM
8기가 이상되면 큰 차이 못느낀다는 얘기는 많지만 역시 경험해* 못해서 모름. 허나, 4기가와 8기가는 충분히 체감이 가능하다고 여김. 게다가 64bit 운영체제를 택한다면 필히 8기가는 구비하도록 하자. 또한 8기가 단일보다는 4기가 듀얼구성이 더욱 좋다는건 말할 필요가 음슴체. (i7 1세대의 x보드들을 쓰는 경우는 트리플 구성이 가능하다고 함. i7 1세대 쓰는 사람은 이미 그런 거 다 알고 있음!) 회사는 윗 글쓴 분과 마찬가지로 두 회사 제품 추천. 램에 다는 방열판 얘기도 공감함.

케이스
개인적으로 윗 글쓴 분과는 달리 케이스 - 디자인>가격=성능 이라 여기는 지라, 필자는 흰색 7만원 케이스를 고름.
3rsystem, 다양하고 많이들 사용하는 브랜드.
한정테크, 현재 필자가 사용 중.
abko 제품은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평이 좋지 않아서 염두에 두지 않았음.
케이스가 비싸니 좋은 점을 몇 가지 말해보자면, 구성이 잘 짜여서 내부 정리나 간섭에 비교적 수월하고 쿨링 성능, 하드 진동 등도 잘 잡아준다고 생각함. 게다가 디자인은 말할 것도 없고 강판의 두께 또한 두꺼워 단단한 느낌을 줌. 물론, 저렴한 회사 제품을 산다고해서 컴퓨터 성능이 급 저하 되는 건 아님. 개인적으로 뽀대성이 가장 많이 쓰이는 제품이라고 생각함.

CPU사제쿨러.
사용해보진 못했으나, 검은나라에선
노오버(CPU쿨러 자체의 성능에 좀 불만족하거나 소음에 불만족) - 바다 2010 많이 추천했음. 정숙성이 좋다함.
오버(CPU쿨러 성능으론 무리가 가기 시작) - 잘만 9900max 제품 추천이 많았음. A/S계의 삼성이라 불리는 잘만이기에 더더욱 그랬는 듯.

Gigan 13.10.24 21:41:34

자세한 댓글 감사합니다.
3R시스템은 국내회사중에 정말 좋은 상품을 내놓은 회사중 하나인것 같습니다. 한정테크제품은 안써봐서 모르겠는데 CORSAIR제품도 급을 높게 잡아서 가면 좋은제품인듯 합니다. 결국 개인의 취향인듯하지만요ㅎㅎ
파워 같은경우엔 FSP에서 파생되어 나온제품들도 나열해 주셨음 좋았을텐데 저도 그렇지 못했지만 안텍 잘만 넥서스 SPI제품들은 FSP그룹제품군이라 믿음이 가는제품들입니다.
CPU같은경우 짱공유 유저분들은 i5부터 잡고 가시는 경우가 많아서 저렇게 써봤습니다.

굿성 13.10.24 21:56:57

ㅊㅊ

난아닐꺼야 13.10.25 10:27:18

오,,이런 등급이 있었군요..

나중에 컴 조립시 봐야지..

일롸맴매맞자 13.10.24 20:28:14

기본적으로 ssd는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는데다 정말 빡세게 쓰기작업을 반복 (ex. 테라급 이상 용량의 파일을 토렌트를 돌린다거나....) 하지 않는 이상 일반적인 용도로 쓴다면 MLC, TLC를 구분하는건 그닥...

뽑기운이 안 좋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메인보드는 아수스꺼 별로 추천하고 싶지가 않네요. 기가바이트나 msi나 asrock 다 써보았지만 아수스꺼는 진짜 최악 중에 최악이었어요. 메인보드 자체 불량 때문에 교환을 몇 번을 받았는지...;;;

Gigan 13.10.24 21:43:00

뽑기운은 어디나 있는것 같아요ㅎㅎ
저도 쓰다 보디 메이저급 회사제품이라도 불량나서 교환 몇번 받음 정내미 떨어지고 하니;;

굿성 13.10.24 21:56:19

좋은정보네요.. ㅊㅊ

Gigan 13.10.24 23:00:44

ㅊㅊ엔 ㅊㅊ으로 답하라 들었습니다ㅎㅎ

삼복구타법 13.10.24 23:20:08

컴퓨터 셋팅 관련 글 ㅊㅊ

noir96 13.10.25 00:07:32

ㅊㅊ 컴퓨터

팽긴3 13.10.25 01:31:25

오 유용하네요!!

kha 13.10.25 01:52:09

ㅊㅊ 컴퓨터 셋팅

cheri 13.10.25 07:07:28

메모리 16기가는 전문작업 하는거 아니면 거의 의미 없어요.
엋년 지나면 DDR4로 바뀔 확률이 높고요.
고사양 게임 정도면 8기가로 충분합니다.

Bz_비즈 13.10.25 12:26:45

좋은글 추천 ㅊㅊㅊㅊ

찬다카 13.10.25 14:31:52

추천 저장

희오로 13.10.28 21:17:31

추천 드렸어요~ 나중에 컴퓨터 맞출때 참고하겠습니다~^^

COURT 13.11.03 17:36:36

정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