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자유·수다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결혼식 축의금 접수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무회전라이프

15.12.04 14:32:47추천 0조회 10,468

144920624218951.jpg 

 

주말에 친구 결혼식이 있는데

저랑 다른 친구 둘이서 축의금을 받기로 했습니다. 

 

주변이나 친구중에 축의금 받아본 친구가 없어서 

모이면 한두푼하는것도 아니고 사실 좀 고민입니다. 

그래서 나름 검색도 해봤는데요. 

 

검색해보고 나서 드는 궁금증이 좀 있습니다. 

 

1. 

봉투에 일련번호를 쓰고 방명록에도 번호랑 축의금 낸사람 이름과 일련번호를 적은다음에

나중에 봉투에서 돈꺼내 확인할때 방명록 일련번호랑 액수 확인하라는데 

축의금 접수용 방명록이 따로 있는지요?

 

2.

검색해서 나온 글이 그냥 번호라고 하는게 아니라 

일련번호라고 써있어서 그러는데 그냥 봉투랑 방명록에 순서대로 1,2,3,4 이렇게 적으라는건가요?

그리고 봉통에 일련번호랑 액수도 같이 적나요??

 

3.

사람이 한번에 많이 몰리면 방명록에 쓰고 이름적고 할 겨를이 없을 수도 있을거 같은데 

일단 봉투 받는대로 번호 써두고 차례대로 방명록에 옮겨적으면서 확인해도 될까요?

 

4.

검색하다보니 돈 안내고 식권이나 주차권 받는 경우 조심하라고 하는데요. 

사실 저도 일행중에 늦게 오거나 하는 사람있으면 식권을 미리 받아놓고 있기도 한데 

이 글 보니 결혼과 관계없는 사람이나 예식장 직원이 하객을 가장하여 식권을 요구한다고 한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심지어는 빈봉투 내고 식권받아가는 사람도 있다는데...

 

근데 막상 제가 식권을 주는 입장에서 돈부터 내면 식권을 주겠다 라고 말하는것도 좀 웃기고..;; 

한두장 달라는 경우도 결혼하는 사람과 관계 묻거나 하면서 거절하기 힘들거 같은데 

이런경우는 장수가 몇장 안되니 그냥 식권준다고 해도

 

한번에 여러장 달라는 상대에게

정중하게 거절이나 부탁말씀하는 방법 있을까요?

 

 

 

 

5.

혹시 기타 조언해주실 만한 사항들 있다면 모두 감사하게 받아들이겠습니다. 

친구 결혼식이라 돕고싶은 마음은 있는데 경험없는 일이다 보니 솔직히 좀 떨립니다. 

아무래도 큰돈이다 보니 그런거 같아요;;

 

위에 질문중 도움될만한것 어느것이라도 좋으니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희귀동물 15.12.04 14:43:53

우선 두사람이 받는다는 기준으로 한분은 식권 나눠주고

한사람은 봉투 받자마자??봉투 윗면에 조그많게 번호쓰고

돈 꺼내고 번호 적습니다 이름은 적지마세요 (다른사람 보이지않게)

그리고 노트에 번호와 금액 적어둡니다

예를들어 봉투 받아서 1번 7만원??2번 5만원..

봉투는 순서대로 놓고?? 한페이지 넘어갈때마다 합산 금액 적어도고

돈은 백만원 단위로 고무줄로 묶어둡니다..

예식이 시작되고 예식손님이 뜸할때즈음 금액 다시 확인하고

이름도 적고 그럽니다...

저는 그렇게 했었습니다

무회전라이프 15.12.04 14:47:00

감사합니다!
고무줄이나 펜같은건 예식장에서 주나요?

캡틴아메리카 15.12.04 14:51:32

1.문구점이나 팬시점에서 방명록팝니다. 다 공통입니다.
2.받은순서대로 번호를 노트에 봉투에 금액과 같이 각각 기입하시면됩니다.
3.바쁘시면 봉투를 순서대로 받은다음 수십장단위로 고무줄로 묶어두세요.
그리고 한가해지면 하나씩 풀어서 다시 작성하면 됩니다.
4.바쁘지 않으시면 금액확인하고 축의금 내는 사람확인하고 신랑측 맞는지 확인해야합니다.
보통 친구들이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모르니 혹시나 몇장 받아가는 분들은 확인하세요.
요즘 밥만 먹으러 오는 사람은 거의 없더라구요. 그래도 확인은 해야겠죠.
그리고 달라고 할때까진 웬만하면 미리 주진마세요.
여러장 달라는 사람은 모임이나 회사분들일텐데 거의 다 알지 않을까요?
저에겐 이런경우가 없어봐서...딱히 방법은 생각이 안나네요;
5.부산스럽지 않게 조용히 한 시간정도만 참으시면 됩니다.
방명록이든 노트 기입 빠지지않게 정리하시면 되구요.
돈은 꼭 수표, 5만원, 1만원 단위로 고무줄이나 봉투에 모아두시고 관리만 잘하시면됩니다.

무회전라이프 15.12.04 15:14:45

감사합니다!
큰 신경쓸일 아닌것 같은데도 신경이 쓰이지만
희귀님과 캡팁님 리플에 도움받아 부담이 덜어집니다^^

vahngo 15.12.04 15:13:43

1. 보통 결혼식장에서 제공되는 건 방명록이라기보단 축의금 적는 장부같은거고
방명록은 따로 있습니다. 그냥 아무칸도 안되어있는 게 방명록입니다. 여기는 적고싶은분들만 적고 꼭 적어야 하는건 아니라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방명록이 없는경우도 있습니다.

2. 2명이서 하면 한명은 식권 한명은 돈봉투받으면 됩니다.
몇명정도 오냐 물어보고 약 150명분이상의 돈봉투가 모인다고 하면 친구한테 얘기를 해서 3명이 할수 있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구성은 되도록이면 친척중에 한명을 쓰는게 좋습니다.
대부분 친척중 1명,친구및 직장동료 1명이 들어가있어야 축의금 걷을때 확인도 편합니다.

사람이 몰려서 축의금 장부에 적기 힘들고 금액세기도 힘들다면 돈봉투에 번호만 적어놓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조금 남는다 하면 봉투에 얼마가 들었는지 확인해서 봉투에 적어놓으면 되구요
돈은 돈봉투에서 빼기보다는 그냥 봉투에 담아놓는게 더 낫습니다.
그래야 나중에 다시 금액이 맞나 확인 하기 쉽습니다.
그후에 시간에 여유가 생긴다고 하면 그때 돈봉투에서 돈을 빼며 축의금 장부에 적어넣으면 됩니다.
절대로 빨리 빨리 하려고 하지말고
(어짜피 축의금 받는 사람은 밥도못먹는다고 생각하는게 낫습니다. 그리고 끝날때까지 돈계산 하는것도 맞구요
물론 결혼당사자의 가족분들에게 양도를 하고 밥먹으러 가도 되나 양도 과정에 당사자에게 주는게 아니라면 중간에 없어질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식권, 주차권의경운 어쩔수 없습니다. 최대한 돈봉투를 내는 분들에 한해서 몇명이냐 물어보고 주차퀀도 필요하냐고 물어보고 주면 됩니다.
그외에 와서 달라고 하는경우 아는 지인이 없는한 확인 불가능 하니 이경우 그냥 손해본다고 생각하고 주면 됩니다 다만 와서 여러장 달라고 하는경우 한분의경운 되도록이면 일행분들과 같이 와서 받아가라고 얘길하고 아닌경우엔 3-4장 이상을 원할경우 지인및 친척분들에게 확인후에 주는 방향으로 해야 합니다.

이상 축의금만 한 5년 걷어본 1인 입니다...ㅎㅎㅎ

무회전라이프 15.12.04 15:17:54

와우~배터랑이시군요!!
감사합니다!
결혼식 축하해주러만 가봤지 축의금 접수는 처음이라 부탁받았을때 당황했었습니다!ㅎ
부담이 덜어지는 군요^^

vahngo 15.12.04 16:35:00

돈은 꼭 계산할 필요는 없으니 그냥 봉투에 번호만 적어놔도 됩니다.
그리고 여유가 있을때 장부에 이름적고 금액적는거하면 되구요.
이때 돈을 잘못 셀수도 있으니 되도록이면 따로 모으기보다는 봉투안에 넣어둔채로 그냥 봉투에 얼마 적는게 더 확실합니다.
돈빼고 뭐하고 하다보면 봉투안에 돈이 남거나 빈봉투랑 섞이거나 오히려 더 정신없고 더 헤깔릴수 있어요
그리고 돈얼마 있다고 바로 확인 하는거 보기에도 안좋습니다.
하객이 몰리는 식장시작 바로전에는 그냥 봉투받아놓고 번호만 적어놓은뒤 식시작하고 나면 여유가 생기니 그때 봉투확인하고 이름 적어놓으면 될거에요..

솔직히 돈봉투 걷는 일하면 친구 결혼식은 다봤다고 생각하면되고 밥도 못먹는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좀 든든하게 먹고 가는게 좋고 정뭐하면 먹을거 좀 싸가서 먹는게 나을거에요. 물같은거도 챙겨놓고요..

만약에라도 돈계산 (식방비용 계산 )까지 하게 된다고하면 친구측에 얘기하고 정산실에서 정산하면 됩니다.

무회전라이프 15.12.04 18:11:48

예식장가서 못먹고 오면 아쉬움이 큰데 못먹게될 각오 해야겠군요;;
그래도 리플주신것 때문에 부담덜어 다행입니다ㅋ
도둑놈들 조심하라는데 .비용조금 안맞는건 제가 채우면되지만 털리면 답없기에 정신차려야겠어요ㅎ

말려군 15.12.04 18:49:30

다른건 윗분들이 말씀하셨고
정말 도둑만 조심하시면 될듯
요새 유행하는건 접수 행세하며
봉투를 받아서 가는거라고 하더군요.
딱 혼주측과 이야기해서 정해진 인원들
얼굴 체크해놓으세요. 혼주 친척인척
해서 앞에서 알짱대며 번잡하게 하고
대신 봉투 받아서 간다더군요.
사전작업으로 봉투내고 식권 여러장
받은후 봉투받고 자기가 받은 식권까지
나눠주니까 속을수밖에 없다고...

무회전라이프 15.12.04 18:53:19

별에별 도둑놈들이 판을 치는군요;;

vahngo 15.12.04 20:17:13

이런일 때문에 축의금 받는 사람을 친척이 대부분 하게되죠..(물론 친척이랑 사이가 안좋다면 안되지만요..ㅎㅎ) 저같은경운 제가 정산까지 다하고 마무리되면 돈은 친구 부모님에게 드렸습니다.
그리고 식권같은경운 대여섯장씩 달라는 경우 아니라면 그냥 좋은날이니 좋은게 좋은거라고 그냥 줬어요..
보통 밥먹고 식권 한개더받은거로 선물 받아가거나 하거든요..
그래서 식권으로 선물 교환하는건 안하는게 낫다고 식장에 신청하지말라고 결혼하는 사람에게 얘기를 해주죠..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