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자유·수다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선진국에 비해 한국기업의 생산성이 왜 떨어질까

부활찾아서

19.04.22 00:29:57추천 7조회 4,226
155586051170366.jpg

우리나라가 어려운 이유중 하나로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말이 많아요.
교육열과 대학진학율은 세계 최고 수준에 야근도 많이 합니다.
거기서 바보 병신들만 키웠나요
아니면 병신 쪼다 같은 애들이 윗대가리로 있어서 그런가요??
우리나라의 생산성이 선진 외국에 비해 떨어지는 이유가 뭘까요?

 

잔혹한마법사 19.04.22 00:52:20

생산성을 높여야 할 이유가 없거든요.
게다가 내용을 보면 "시간당 창출하는 부가가치".. 라고 되어 있죠?
시각에따라 와장창 달라지는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누기누기 19.04.22 01:18:40

즉, 분모인 시간을 줄이면 결과값인 생산성이 높아짐.

잔혹한마법사 19.04.22 11:51:46

... ㅡㅡ...
시간 (時間) 이라고 안쓰고 시각 (視角) 이라고 쓴거임.

산에오르다 19.04.22 06:20:56

숫자놀이라서
이거 믿을게 못됨
경불진에서 이 통계오류에 대해 나온적 있었는데


금발이좋아 19.04.22 11:15:20

사실 야근이라는 단어 자체가 모순이죠

근로자는 출퇴근시간이 정해져있고

회사는 정해진 시간 내에서 근로자에게 일을 시켜야되는데

그렇게 하지않으니 노동자는 재충전 시간이 부족하고 결국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죠

우리나라 사업자들이 상식적인 노동시간을 지키지않는 이유는 국가에서 강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부에서 노동경찰과 같은 조직을 신설해서 체포권을 부여하고
상시,불시 단속을 통해
비정상적인 야근 등을 자행하는 사업장에 대해서 회생 불가능한 데미지를 줘야합니다

대표자의 징역이라든가
사업자등록 말소라든가

우리나라 병신들은 강제로 안 시키면 안 지키거든요

셀레멘더 19.04.22 20:36:18

밀레니얼 세대의 사회 진입으로 조금씩 나아질거라 믿습니다

제왕해룡 19.04.22 23:39:23

왜 직접 사업하셔서 직원들 그렇게 해주시지요 ?
혹시 자기는 리스크 있는 사업은 체질이 아니다 라고 말씀 하실건 아니죠 ?

꼬꼬뭐꼬 19.04.22 11:45:12

전세계적으로 통계내는 수치는 경향만 그렇다라고 봐야죠

보안병 19.04.22 20:58:10

1인당으로 따지면 북유럽 선진국에 비해 낮을수 밖에 없겠죠, 경제규모 자체가 한국이 룩셈부르크나 노르웨이보다 넘사벽으로 크기 때문에.

건방진호야 19.04.23 02:09:56

대한민국이 열심히만 살면 헬조선 까지는 아닌데 ㅋ

nacap 19.04.23 10:25:49

이건 구라라고 생각됩니다.지표상에 보면 미국이 두배인데 미국인이 발네개 손네개 달린건 아니잖아요.
저희 공장이 미국공장도 있어서 아니 전세계 물건납품하고 전세계 공장 다 다니지만 한국사람 만큼 일잘하고
능률좋은사람 없어요..잔대가리도 잘돌아가고...슈퍼 바이저로 가서 다른나라 작업자 일하는거 보면 속뒤집혀져 일하고 있는 본인을 확인할수 있을정도 입니다.
아마 저효율성에는 여러 가지가 합쳐져 있는게 아닐까싶어요...빨리빨리 문화에서 산업재해에가
전세계 1위인걸로 아는데...산업재해에 오는 손실을 같이 붙인건아닌지.
울나라 가정이 전기 많이 쓴다고 지랄지랄 할때 은근슬쩍 산업용전기 가정용에 합쳐서 평균 내던것처럼..

HaeJuK 19.04.23 11:11:39

누군일하고 누군 놀고... 같은 회사에도 놀고 먹는 사람들도 많조

낙동강대구 19.04.23 22:25:20

예전부터 한국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얘길 많이 듣긴 했는데, 그 분석방법이나 원인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학자나 기레기는 없지요. 그냥 추측해 보건데, 근로자 1인당 생산성이라는 것이 한사람을 투입해서 나오는 생산량이라고 본다면, 결국 근로자의 생산성은 생산/업무 자동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 예로 어떤 중소기업에선 ERP로 관리하면 아주 쉽게 처리할 일을 ERP를 도입하자니 구입비용도 많이 들고 급하지도 않으니까 그냥 엑셀로 정리시킵니다. 담당직원만 날밤새서 일하는 거죠. 회사입장에선 비싼 ERP 도입비용과 유지비용을 들이지 않고 한달에 일주일정도 담당직원 야근시키는 것이 비용면에선 더 저렴하니까요.

흠냐 19.04.25 09:47:44

이게 제조업중에 어떤거냐에 따라 다르죠..
고단가 고부가가치 제품만 만드는 경우랑 하청에 하청으로 인건비 딱먹기 하는 회사들이랑.. 똑같이 볼수가 없음..

당연히 하청에 하청 인건비 따먹는 회사는 인건비 제외하고 거의 남는게 없기때문에 부가가치는 엄청 낮죠

Socas 19.05.30 02:26:17

답글들을 봐도 알수있네요. 댓글도 정답만 찾으려고들 하네요.
고질적인 정답주의적 교육의 폐해로 직장에서조차 성과를 수치화하고 순위를 매깁니다. 업무는 그 숫자를 어떻게든 높이려고만 하고 실제 생산 혹은 창의적 아이디어로 실질적 이득 창출같은건 못하고 있는 기업문화가 우리나라의 현주소이죠.

선진국은 생산성이다 뭐다만 따지는 것 뿐 아니라 새롭고 다양한 업무시도와 접근방식으로 일의 효율화를 증대시키지만,
우리나라에선 상명하복식, 상사 눈치보기, 성과 숫자놀이 등 실제 이윤과는 동떨어진 일들을 많이 하게되는 것이 원인같아요.

제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니까 이것도 정답은 아닐겁니다 참고만 하죠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