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인생상담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퇴직급 방식을 dc로 바꾼다고 하네요.

고칼슘바나나

18.01.03 18:36:38추천 0조회 2,092
현재 4년차 설계직입니다.
판금설계이고요. 주로 캐드사용합니다.
솔리드웍스 쓸줄 알지만 거의 안쓰고요.
일을 늦게 시작해서 현재 33...34살이 되었네요ㅠ
다름이 아니고 요즘 회사에서 사장이 퇴직금 방식을
db에서 dc로 바꾼다고 하네요.
갑자기 오늘 들은거라 뭔소린가 하루종일 찾아봤네요.
db는 기존에 알던 퇴직금 방식이고
dc는 퇴직금을 회사에서 직원에게 매년 정산하고
끝내는 건데 그 퇴직금을 이용하여 투자등을 통한
이익은 직원이 갖는다. 이거 같은데 맞나요?
갑자기 사장이 이러니 아무래도 뭔가 꿍꿍이가
있어 보여서요. 직원 잘되길 바라는분은 아닌지라
의심이 가네요. 안바꾸는게 낫겠죠?
요즘 안그래도 이직하고 싶은데 왜 이러는지....
혹시 설계쪽 요즘 이직 분위기 어떤가요?
저같은 중고똥차 받아줄곳 있을까요?
결혼도 해야하는데...걱정입니다.
형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질럿키3미터 18.01.03 22:48:14

dc는 근로자가 운영하고 그로 인한 수익과 손실은 근로자에게 귀속됩니다.

즉 퇴직연금 상품 분배를 잘만하면 db보다 나을 수 있습니다. db의 경우 정기예금에만 들어가지만 dc는 취향에 따라 투자상품에 많이 넣기도 하니깐요.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니 상품 잘 골라서 분배해보세요
저는 참고로 신영증권상품에 거의 몰빵하는데 8-10프로입니다

고칼슘바나나 18.01.04 08:05:54

근데 그게 원금손실은 없나요?
그리고 그퇴직금을 irp통장으로반 받을수있나요?
다른 통장계좌는 안돼나요?
ir라는게 여러가지 제약이 많더라고요

질럿키3미터 18.01.04 16:36:34

원금손실은 당연히 가능성이 있죠
그래서 주식과 채권의 비율을 잘 보고 가셔야 하고
금융쪽 관심 0이면 db가 맘 편합니다

Helloo 18.01.15 23:06:07

퇴직금을 개인형 irp계좌 이외로 받기위해서는 만55세 이상 이거나 퇴직금이 300만원 이하면 가능합니다. 그런데 큰차이 없습니다. 개인형 irp로 수령하시고 자산 미운용(고유대)로 놔두신다고 하시고 해지하시면 3일 정도 더 늦게 수령한다는거 말고는 똑같습니다.

언변의마술사 18.01.04 00:07:16

DC는 연봉 인상률이 3프로 미만이거나 거이 안오를때는 이익이 발생 할 수있음 하지만 연봉인상이 3프로 이상이라면 무조건 DB가 좋음... DC는 퇴직연금 싸이트가서 펀트 매번 갈아타면서 수익률 관리해가면서 해도 5프로 넘기가 쉽지않아여 ... 2017년은 경재 호황이라 DC가 더 좋을 수있었음 끝~

고칼슘바나나 18.01.04 08:08:05

연봉 인상률은...0.3프로?
이런 사장이라 딴생각이 있는거 아닌가 싶네요.
근데 dc는 원금손실이 있을수 있잖아요?

장수마늘소 18.01.05 01:42:43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DC형 상품중에서 원금보장형퇴직연금계좌도 있을것같습니다.
DB형의 경우 회사가 매년 퇴직연금관련 세무조정을 해야 손금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귀찮아서 그랬을수도있고 현제 퇴직금추계의 경우 보험수리적기준등 다양한 기준이 있지만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퇴직일 전 3개월간의 평균월급 X 근무년수 입니다. 그러므로 오래 근무한경우 마지막에 기여해야할 금액이 높아지는 일이 생기는데. 이것과 관련이 있을지는 확답드리기 어렵네요.
오히려 DC형의 경우 회사에서 기여한 부분외에도 본인이 스스로 납입한경우 소득세기납부후 납입한 퇴직금을 연금형태로 받으실경우 비과세되기도 하고요.
회사기여금외에 본인 납입분에 대해서 소득공제되는 부분도 있으니. 꿍꿍이가 있나 싶으시면 오히려 더좋은 계획으로 이겨내심이 옳다고 보여집니다.

고칼슘바나나 18.01.05 08:40:08

얼마전에 9년 일하신 부장님이 그만두셨거든요.
그때 아마도 생각보다 많은 금액에 놀란거 같더라고요.
회사에서 제때 납입했으면 안그랬을건데...
아무래도 바뀌면 최종받는 금액이 차이가
나더라고요. 저희 회사가 대부분 오래 일하신
분들이 많아서 다들 7년 8년 이러시거든요.
방패막이 부장님 나가시고 회사가 영 별로네요.
제 개인차를 쓰겠다고 하질 않나
퇴직금을 바꾸겠다고 하질 않나....
본인 손해는 어떻게든 안보려하니
배알이 꼴리네요ㅋ

와이프짱공함 18.01.06 01:04:50

장점으론 dc는 은행에서 관리하기때문에 나중에 오래 다니다 회사가 망해도 퇴직금은 보전됨

은행이자보다 임금 상승률이 낮다면 dc가 좋아요

사장이 오히려 매년 정산해서 은행에 넣어줘야 하기때문에 더 안좋기도 해요

언변의마술사 18.01.14 22:36:50

dB형도 은행에서 관리하는데요.. 저희 회사는 은행에서 관리하는데...-_- 이상하군요. 매년 금액이 다시 책정 대고요.. 연봉인상률에 맞쳐서.. 신한투자쓰고있어요.

와이프짱공함 18.01.15 02:31:44

Db형이 기존 퇴직금처럼 최종임금 기준으로 주는것 아닌가요?

Dc형은 매년 임금으로 중간정산해서 은행에 넣어두고 그래서 투자 중간정산 가능하고

언변의마술사 18.01.17 02:33:48

회사에서 예치금을 넣고 퇴사하면 월급여 책정한 금액 X 근속년수 해서 은행에서 저한데 직접 주는걸로 알고있어요.

Helloo 18.01.15 23:02:32

DB DC 모두 은행에 넣어둡니다. DC형의 경우 윗분 설명이 있으니 생략하고 DB형만 말씀드리면 통산을 통해 계산된 금액을 은행에 예치하게 됩니다. 일정 비율 미달시 사내 게시판에 게시하고 노동조합에 통보하고 있고요. 윗분이 정확히 설명해주셨는데 임금상승률 > 투자수익률일시 DB가 유리하며 투자수익률 >임금상승률일시 DC가 근로자에게 유리합니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초저금리 현상에서는 DB가 매우 유리합니다. DC형이 중간정산이 가능한 이유는 DC형 같은 경우는 근로자 개인명의로 퇴직연금계좌가 갈라져 있기 때문이고(그래야 투자의 결과도 귀속이 가능하죠) DB형 같은경우 회사명의로 통산된 퇴직금의 70%? 80%이상?(현업에서 멀어진지 좀 되서 죄송...) 예치하게 됩니다.

브롤터 18.01.14 12:42:41

퇴직금중도정산은 dc형만 가능해요

보스엘리먼트 18.03.03 22:12:50

성형외과 운영했었는데 중간에 직원들 동의 받아 DC형으로 전환했었죠. 딱히 고민해서 바꾼게 아니라 업계 분위기 보고 전환했을뿐입니다. 수익형, 원금보장형 다 있으니 그닥 문제는 없었네요.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될듯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