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인생상담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경제학을 공부해볼까 합니다.

토인

21.12.29 23:46:18추천 9조회 2,291

제가 경제에 대해 아는것이 한참 부족하다는 생각이들어 늦은 나이지만 공부를 시작해볼까 합니다. 

예전에도 한번 도전해봤지만 어려운 책을 골랐는지 갈수록 어렵고 그러다보니 목표의식도 금새 날아가버려 중도에 포기했었습니다. 

이번에는 제대로 하고싶어 이것저것 알아봤는데 혹시 테셋 시험을 준비해보는것도 경제지식을 올리는데 도움이 될까요? 

시험을 본다는 측면에서 도전의식을 이끌어 낼수 있는 좋은 방법같기는 한데..

다만 다른 자격증들처럼 본질보다 정답만 외우는 식이 되버릴까봐 걱정이 앞서 이렇게 질문해봅니다. 

혹 더 좋은 공부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제 인생에 큰 도움이 될듯 합니다.  

 

경제학 전공자 입니다..
경제학이라는 학문자체를 공부하고 싶으신게 아니라.. 현실 경제를 좀더 이해하고 싶으신거라면 경제학을 처음부터 다시 공부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른 학문도 그렇지만 경제학은 너무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고.. 역사 철학 수학 등 모든 분야가 필요한 학문이기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실 경제의 이해를 도모하는것이라면 경제학보다는.. 매일매일 경제신문을 보시면서 거기서 나오는 내용들을 공부하시는게 좀더 원하시는 방향성에 맞다고 봅니다.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경제신문이 워낙 불친철하게 쓰여지는 경우가 많아서 원인과 결과만 간략하게 나오지.. 그 중간과정은 대부분 생략되어 있습니다. 그 중간과정을 공부해보시면 처음에는 어렵지만 나중에는 뉴스를 읽으면서 머리속에 자연스레 중간과정과 기사에 쓰여지지 않은 그 이후의 대략적인 경제상황까지 그려지실거에요. 그리고 그 예상이 맞는지 틀리는지도 꾸준히 팔로우하시면 재미도 있을거라 봅니다.

굳이 원론적인 공부까지도 하고싶으시면 거시경제학정도만 이해하시면 약간의 도움은 받을수 있을거에요.
그럼 최소한 금리의 변동에 따른 경제시장의 전반적인 변화와 금리를 조정하는 정부의 의도정도는 파악하기 용의할 거에요.

제왕해룡 21.12.31 08:21:27 바로가기

최진기 선생님의 경제상식 책 있습니다
그게 입문하기 가장 쉽습니다

교제로 시작하시면 그냥 접게 됩니다 교수님이 설명해줘도 못따라 가는걸요 ㅋㅋ 궁금하시면 k-mooc 가서 서울대교수님 강의 들어보세요

유튜브에 최진기의 생존경제(09년) 도 있을건데 한번 찾아보세요 전 예전 경제공부 시작할때 책읽고 오마이스쿨 유료강의 들으면서 했는데 요즘은 유튜브 보시면 될겁니다

미시경제학은 안파실거고 거시경제학 어느정도 공부되시면 주식, 원유, 금, 달러 서적 읽어보세요 그리고 경제신문 6개월 정도 보시면 보여줄께 완전히 달라진나~~ 하실겁니다

멍멍이3 21.12.30 02:34:27

경제 공부는 실전만큼 좋은게 없죠!!!!
주식,채권,fx,현물,부동산 등등 잘모르고 했다가
돈도 날려보고 운좋게 먹기도 하면서 부족하다 느낀거
내가 아쉬워 찾아 알아도 보고 물어도 보면서 공부해야
자격증을 따더라도 온전히 자기꺼 되고 그때그때 변화는
경제 상황에 대입해 잘 써먹을수도 있다 생각해요
농담처럼 말씀드린거지만 거의 진담 90프로 이상입니다

토인 21.12.30 08:11:42

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심해아귀 21.12.30 10:24:16

일단 개론, 원론부터 시작하세요. 학부원론수준은 맨큐의경제학을 추천드립니다. 이후에 미시, 거시, 투자론 등을 공부하시면 되고 회계와 재무공부도 이어가시면 될 듯 합니다.
만약 맨큐가 어렵다고 느껴지시면 고등학교수학 기초부터 다시 보시는게 좋고, 그것도 힘드시면 경제학이 아니라 경제학보다 일반실용경제서적을 자주 접하시면서 감각으로 익히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토인 21.12.30 10:50:18

감사합니다!!!!

제왕해룡 21.12.31 08:21:27

최진기 선생님의 경제상식 책 있습니다
그게 입문하기 가장 쉽습니다

교제로 시작하시면 그냥 접게 됩니다 교수님이 설명해줘도 못따라 가는걸요 ㅋㅋ 궁금하시면 k-mooc 가서 서울대교수님 강의 들어보세요

유튜브에 최진기의 생존경제(09년) 도 있을건데 한번 찾아보세요 전 예전 경제공부 시작할때 책읽고 오마이스쿨 유료강의 들으면서 했는데 요즘은 유튜브 보시면 될겁니다

미시경제학은 안파실거고 거시경제학 어느정도 공부되시면 주식, 원유, 금, 달러 서적 읽어보세요 그리고 경제신문 6개월 정도 보시면 보여줄께 완전히 달라진나~~ 하실겁니다

토인 22.01.02 21:13:51

네~~!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듯 합니다. 열심히해서 달라진 나를 보고싶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망고맛싫어하는사람 21.12.31 11:16:20

경제학 전공자 입니다..
경제학이라는 학문자체를 공부하고 싶으신게 아니라.. 현실 경제를 좀더 이해하고 싶으신거라면 경제학을 처음부터 다시 공부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른 학문도 그렇지만 경제학은 너무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고.. 역사 철학 수학 등 모든 분야가 필요한 학문이기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실 경제의 이해를 도모하는것이라면 경제학보다는.. 매일매일 경제신문을 보시면서 거기서 나오는 내용들을 공부하시는게 좀더 원하시는 방향성에 맞다고 봅니다.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경제신문이 워낙 불친철하게 쓰여지는 경우가 많아서 원인과 결과만 간략하게 나오지.. 그 중간과정은 대부분 생략되어 있습니다. 그 중간과정을 공부해보시면 처음에는 어렵지만 나중에는 뉴스를 읽으면서 머리속에 자연스레 중간과정과 기사에 쓰여지지 않은 그 이후의 대략적인 경제상황까지 그려지실거에요. 그리고 그 예상이 맞는지 틀리는지도 꾸준히 팔로우하시면 재미도 있을거라 봅니다.

굳이 원론적인 공부까지도 하고싶으시면 거시경제학정도만 이해하시면 약간의 도움은 받을수 있을거에요.
그럼 최소한 금리의 변동에 따른 경제시장의 전반적인 변화와 금리를 조정하는 정부의 의도정도는 파악하기 용의할 거에요.

토인 22.01.02 21:12:20

크..정말 감사한 정보 감사합니다~~!! 말씀대로 차근차근 실천해봐야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에제스르 22.01.03 00:30:05

앞으로의 경제를 알려면 과거를 보면 되더라구요.
사람들은 쉽게 바뀌지 않고, 대중의 욕망과 공황 또한 정확하게 되풀이 되죠.
심지어 코로나 같은 펜데믹 마저 이미 미적분 그래프 안에 있었다는 걸 알면 놀라울 따름이에요.

구루구루교장 22.01.05 14:43:33

자격증이라는 목표가 있으시다면 cfa 추천합니다.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