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자유·수다 게시판 글쓰기 게시판 즐겨찾기

이 헤드셋 어떤가요?

뉴질라이프

17.08.07 01:25:12추천 2조회 3,252
150203655613119.png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298896461&frm3=V2 

 

헤드폰 좌표

 

삼성 SHS-150v만 쓰다가 이제 내 귀에도 선물을 해주고싶어서요..

 

주로 쓰는 용도는 아이유의 달달하고 욕구를 건들여주는 목소리를 듣기 위함입니다. 

 

김윤아님의 저음과 고음을 넘나드는 리드믹컬한 세미락도 좋아하구요.

 

그리고 오버워치할때 초딩들과 싸워야해서요 마이크있는거 맞겠죠?

 

아래에서 직구할려는데 어떨까요?

 

도와주세열~~~ 

미래가보여 17.08.07 02:07:17 바로가기

해당 모델은 비츠 스튜디오 2.0 wired over-ear 로 13년 모델이고, 현재는 단종되었습니다.

비츠, 닥터드레 헤드폰으로 유명한 이 회사는 한때 디자인과 마케팅으로 유명해졌고, 이후 창렬한 가성비와 원가 14달러라는 충격적인 뉴스에도 살아남아 지금도 꽤나 잘 팔리고 있는데요.

이런 과거때문에 음덕들에게서 닥드레기라고 불리며 외면받는 헤드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14년에 "애플"에 인수되어 제품들을 재정돈하고 음질 등에 집중한 결과 현재 가성비는 그래도 "제 값은 한다" 정도가 되었습니다.

결론은요?
사지마세요ㅋ
제 값은 한다지만, 더 좋은 헤드폰들 많아요.
본인과 일반인이 보기엔 좋은 액세서리.
음덕이 보기엔 극혐 아이템.
결국 헤드폰으로써 가치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추천 브랜드

젠하이저
슈어
AKG
보스
베이어다이나믹
포스텍스

정도가 되겠구요..

음.. 잘 모르겠다 싶으면, 그냥 "소니"꺼 사시면 됩니다.
시계로 치면 세이코 급? 아무거나 사도 후회는 안하는 브랜드.

미래가보여 17.08.07 02:07:17

해당 모델은 비츠 스튜디오 2.0 wired over-ear 로 13년 모델이고, 현재는 단종되었습니다.

비츠, 닥터드레 헤드폰으로 유명한 이 회사는 한때 디자인과 마케팅으로 유명해졌고, 이후 창렬한 가성비와 원가 14달러라는 충격적인 뉴스에도 살아남아 지금도 꽤나 잘 팔리고 있는데요.

이런 과거때문에 음덕들에게서 닥드레기라고 불리며 외면받는 헤드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14년에 "애플"에 인수되어 제품들을 재정돈하고 음질 등에 집중한 결과 현재 가성비는 그래도 "제 값은 한다" 정도가 되었습니다.

결론은요?
사지마세요ㅋ
제 값은 한다지만, 더 좋은 헤드폰들 많아요.
본인과 일반인이 보기엔 좋은 액세서리.
음덕이 보기엔 극혐 아이템.
결국 헤드폰으로써 가치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추천 브랜드

젠하이저
슈어
AKG
보스
베이어다이나믹
포스텍스

정도가 되겠구요..

음.. 잘 모르겠다 싶으면, 그냥 "소니"꺼 사시면 됩니다.
시계로 치면 세이코 급? 아무거나 사도 후회는 안하는 브랜드.

미래가보여 17.08.07 02:14:46

아 그리고 PC에 쓰실거면 음악 감상용 "헤드폰"이 아닌, PC용 "헤드셋"을 쓰셔야 합니다.
헤드폰의 경우 마이크와 사운드 단자가 통합되어 휴대폰이나 MP3에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는데,
PC는 마이크와 사운드 단자가 분리되어 있죠. 아니면 USB로 연결해야되던가요.
즉, 호환이 안됩니다.

또한 지향점이 아예 다릅니다.

PC용 헤드셋 : FPS 사플, 입체 음향으로 인한 총격 원점 파악 등에 초점
음악용 헤드폰 : 브랜드에 따른 다양한 음색, 또는 HiFi 추구, 싸구려 헤드폰에서 안들리던 초고음역대 또는 초저음역대 악기 소리까지 들리도록 음질의 극한을 추구.

뉴질라이프 17.08.07 10:24:39

정성이 담긴 긴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럼 음악감상과 pc게임용 헤드폰(셋)은 고급지게 공유할수가 없는모양입니다. ㅠㅠ 제가 바라는건 컴터에 usb꼽아두고 유선으로 pc게임때 쓰고 뽑아서 무선으로 음악감상을 할려는 취지였는데.. 혹시 이쪽으로 추천해주실만한 제품 있을까요? 저 조건을 충족하고 오래착용해도 편안하기만하면 됩니다.

부탁드립니다.. 제가 이쪽으론 전혀 1도 몰라서요..

잔혹한마법사 17.08.07 12:53:33

뉴질라이프 //
원론적이라면 미래님의 말이 맞아야 하는데 이론상으로 잘 안돌아 갑니다.
그냥 음감용헤드폰을 사는 쪽을 추천합니다.
저도 정말 우연히 소리가 좋은 PC용 헤드셋을 구했었는데..
오래되서 조금씩 부서져 가는데 이 제품이 이젠 단종이 되서 구할 수도 없고..
새로 사는 헤드셋은 한번 듣고 팔아치우기를 반복 중이네요.

미래가보여 17.08.07 13:56:39

혹시 pc가 노트북이면 블루투스가 있으실거고, 아니면 pc용 블루투스 4.0이상의 동글을 구입하여, 무선 헤드폰을 쓰시는 것도 괜찮을듯 합니다.

동글 제품은...잘 몰라서 추천은 못드리겠구요,
무선 헤드폰은 위에 말씀드린 브랜드 중에서 할인행사하거나 디자인 맘에 드시는 걸로 골라서 사시면 됩니다. 보통은 소니가 디자인이 덜 매니악하고 금액에 적당한 음질을 들려주니, 이쪽부터 보시는게 좋을겁니다. 슈어는 제 취향에 맞게 튜닝되어 있는데, 아무래도 밖에 쓰고 나갈 디자인은 아니고 유선이라.. 저도 밖엔 소니 걸로 들고 나갑니다. 젠하이저도 모멘텀 보시면 아시겠지만, 조금 디자인이 호불호 갈리고..
포스텍스는 헤드폰을 취미로 만드는 회사라 라임업이 적습니다. 베이어다이나믹은 가격이 다이나믹. 솔직히 akg는 잘모르겠어요. 디자인은 이쁜편.

보스나 소니에서 찾아보시길 추천합니다.

미래가보여 17.08.07 14:08:20

그리고 노이즈캔슬링 제품은 사지 않으시길 추천드립니다.

패시브 노이즈캔슬링 : 헤드폰 차음을 강화, 그냥 개나 소나 다 갖다붙이는 옵션이므로 무시.

액티브 노이즈캔슬링 : 외부 소음을 분석하여 음파를
역으로 쏘아 소음을 상쇄시키는 첨단 기술. 보스 qc35(유선 제품 qc25), 소니 mdr-1000x, 젠하이저 hd 4.50brnc
위 세 제품이 노캔 3대장이고... 전부 40~50만원 대의 고가 제품입니다. 또.. 이 세 제품 말고는 액티브 노캔으로 쓸만한 제품이 없습니다. 1000x 사면서 청음샵에서 여러가지 노캔 제품을 두시간 정도 청음했는데, 보스 qc35, 소니1000x이 아닌 하위 라인들은 실망스러웠습니다. 젠하이저는 비치가 안되어 있어 못들어봤구요.

그리고 이렇게 비싼 소니 1000x도 노캔을 제외한 음질만 따지면 20만원 대 성능입니다. 슈어 940이랑 비교하니, 940이 압도적이더군요.

10~20만원대에서 노캔에 현혹되지 마시고, 배터리와 디자인, 그리고 골든이어스 리뷰 참고해서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블루투스 동글로 연결하면 무선 헤드폰 제품은 보통 마이크 내장되어 녹음도 될겁니다..ㅠ 근데 이건 뮨의해보고 사세요ㅠ 이건 안해봐서 저도 장담은 못하겠어요ㅠ

Irem 17.08.07 11:08:50

게임용 헤드셋은 보통 튜닝이 다 되있어요
게임할때 사플이나 아니면 폭발음의 저음 튜닝 현장감을 느끼게 해주려는 용도죠
대부분 다 튜닝이 되있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게임용 헤드셋은
그래서 음감용으로는 잘 안 쓰이죠 저음이 너무 부스팅 되있다보니깐

음감이랑 게임용을 둘 다 잡기는 솔직히 힘들죠
저도 게이밍용 헤드셋만 쓰다가
최근에 젠하이저 하나 영입했는데요
게임용 헤드셋을 비교적 저렴한걸 쓰기도 했지만(모델명이 정확하진 않지만 로지텍 g430이었을거에요)
아예 느낌이 완전 달라요 두 종류의 지향점이 완전 다릅니다

게임용 무선 헤드셋은 보통 거론되는게 아스트로, 커세어 보이드, 로지텍 g933, 시베리아 800 이정도였던거 같아요
음감용으로 하신다면야 레퍼런스 3대장 있는데 그쪽을 알아보시면 후회는 하지 않을거 같아요
(음감용으로 나온 무선제품은 전 못 들어본거 같아요~_~)

vcol 17.08.07 11:42:12

로지텍 g430이 저렴한 모델이군요....ㅜㅜ 저는 큰맘먹고 샀는데

Irem 17.08.07 11:56:14

비교적 저렴한 편이라는거죠~_~
저도 그 당시에는 그렇게 비싼 헤드셋 처음 사봤던 거라서요

편지할께요 17.08.07 11:55:12

헤헤 전 그냥MDR-XD100.... 2만3000원인가 주구 샀는데...맘에 들어서 하나 더 살려고 했더니 가격이 10만원대로 껑충....

잔혹한마법사 17.08.07 12:41:26

윗분들이 답을 잘 해 주셨는데요.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헤드폰 자체는 음감용을 사용합니다. 일단 소리의 질 자체가 다릅니다.
마이크가 필요한 경우 많이 지저분 하지만 가장 싼 마이크 달린 2천원 정도 되는 헤드셋을 마이크만 연결해서
목에 걸고 사용합니다.

뉴질라이프 17.08.07 15:09:09

제품하나 딱 추천좀 해주세요
ㅠㅠ

잔혹한마법사 17.08.07 15:56:39

.. 그게... 쉽지가 않아요.. ㅡㅡ;;;;
소리는 취향이라 제가 좋은게 님도 좋다고 볼 수 없거든요.
들어 볼 수 있는 곳에서 직접 들어보고 사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것은 에티모틱 리서치사의 ER-4S와 가나 웨이브 사의 MCH-501(? 7년전거라 맞는지 확인차 검색도 안되는) 헤드폰인데요.
ER-4S는 헤드셋도 아닌 커널형 이어폰인데다 둘 다 이젠 완전히 단종이거든요.

뉴질라이프 17.08.07 16:07:26

아..... 전 좋은 헤드셋을 써본적이없어서 일단 하이엔드급까지도 안가도 만족할것 같아서요.. 암튼 신경써서 댓글 달아주시니 감사합니다!

잔혹한마법사 17.08.07 17:47:19

하이엔드.. 라는 선이 좀 웃기는 것이..
2만원짜리 기기를 사용할 땐 8~10 만원이 엄청 비싼것.. 이었는데
10만원을 넘어가는 순간 20만원 이하는 저렴한 기기가 되고 엄청 비싸려면 50~100 만원 선으로 급격하게 올라가 버립니다.
거기다가 추가적인 부분이..
20~40 만원 수준의 기기를 사용하다 10만원 이하의 기기를 사용해 보면 분명히 들리던 소리중 몇개가 빠지는 것을 느낍니다. 먹먹하다고 표현하면 가까울 것 같은데요.
귓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듣는 듯한 소리가 난다는거죠.
영상으로 보자면 비온 뒤 맑은 날의 풍경만 보다가 미세 먼지가 잔뜩 낀 날을 보는 정도의 차이죠.
그래서 위로는 올라가도 밑으로는 못내려갑니다.

신체 구조상 헤드폰은 사용하기 어려워서 사용을 못해봤지만 브랜드로는 미래가 보여님이 추천해준 것 중 상위 3개사면 무난 할겁니다.
다만 보스는 대체로 중저음이 강화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취향을 조금 탈겁니다.

ps :
20~40 만원정도의 헤드폰은 한번쯤 사용해 볼 만 합니다.
짱공식으로 하자면 백딸이 불여 일떡 입니다.

SauLaBi 17.08.07 21:13:54

이미 해외에는 지금 애플이 인수한 비츠 뿐아니라 닥터드레때도 터무니 없는 가격과 그 가격에 한참 미치지도 못하는 성능으로 유명했어요.

自視自聽 17.08.08 03:42:26

뱅엔올롭슨(B&O) H시리즈 헤드폰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닥터드레로 아이유 음악 듣는거 아닙니다.
물론 닥터드레로 들어도 상관없는데??주로 듣는 음악이 힙합아니라면 비춥니다.??거의 패션용이죠.
닥터드레는 중저음 영역 ,둥둥 치는 비트에 충실해서 힙합쪽에 어울립니다.
그런데 뱅엔올롭슨은 해상도가 높아서 고음영역에선??맑고 청
아하고 청명한 소리를 표현해낼 수 있어서?
김윤아 아이유같은 발라드??노래에 잘 어울려요..
가수의 달달한 목소리나 3단 고음까지 완벽하게 처리합니다.
대부분 좀 부른다는 유명 가수들이 B&O끼고 다녀요.
이어폰 헤드폰은 좋은거 투자하세요.??

해상도가 뭐냐?
비유하자면 화면에도 해상도가 있듯이 높으면 높을수록 선명한 것처럼??5인치 핸드폰 화면으로도??유투브 스타동영상만 봐도 선명하게 보이고 작은 글자까지 담아낼수 있자나요???
그런 것처럼 소리도 마찬가지입니다
해상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풍부한
음질을 영역대를 즐길 수가 있어서?? 듣다보면 이어폰 번들같은거 싼거 못 씁니다.
가수의 본연의 음질과 음역대를 청명하게 들을 것인가?
아니면 3단 고음도 지르다 만것을 듣고 이게 진짜다하며
만족할 것인가?
그 차이죠.

뱅엔올롭슨 H4 또는 H6 추천요??이어폰도 좋고요
전혀 가격은 좀 나가긴해도 뱅엔 가성비 좋아서 후회안해요
매장안에 청음삽도 있으니 들어보시고 사세요..

돈만있으면 사고 싶네요 ㅠ

Redblast 17.08.08 08:57:59

훔..
다른분들이 이것저것 추천해 드렸으니 저는 다른거 하나.
FOCAL SPIRIT CLASSIC
전 이거 추천해 드립니다.
가격은 와싸다에서 20만원 중반대이고요
AKG / 젠하이져 요렇게 제가 써봤는데..
20~30만원대 헤드폰중에서는 포칼이 맘에 들더군요

청음을 해보실 수 있으시다면 청음샵 가서 이것저것 다들어 보시고 사는걸 추천해 드리지만,
시간적, 물리적인 게 아니라면..
20~30만원대 헤드폰중에는 전 포칼 강추 합니다.

날더울때 쓰는 이어폰은
오픈형 이어폰 : B&O A8 / 젠하이저 MX 985
커널형은 전 모르겠습니다~ 커널형쓰면 귀가 좀 아퍼서 안쓰거든요 ㅎㅎ

그리고, 10만원대 이상 넘어가는 제품들은 국내 정품을 추천해 드립니다.
직구하면 A/S가 안되고, 내부 단선에 따른 잡음 또는 소리안들림 은 사설에서도??수리가 가능하지만,
헤드폰의 경우 파손 / 솜 해짐 같은건 사설에서는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AKG같은 경우에는 A/S가 최악이라는 말이 너무 많아.. 저도 요즘 머리속에서 지워가는 추세 입니다.
헤드폰은 A/S가 정말 중요합니다.
이어폰은 특정 브랜드제외하곤 소모품 취급하기 때문에 A/S가 잘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참고하세요~

혹시 블루투스 헤드폰 추천해주실분 계신지요? ㅠㅜ
사진첨부
목록 윗 글 아랫 글
*/?>